‘AI 수학 천재’ 만든 연구원 세 명, 메타로... 계속되는 인재 쟁탈전

reporter-profile
박원익 2025.07.23 14:11 PDT
‘AI 수학 천재’ 만든 연구원 세 명, 메타로... 계속되는 인재 쟁탈전
순다 피차이 구글 CEO(왼쪽),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생성 AI (출처 : 더밀크 편집)

[위클리AI브리핑] 2025년 7월 16일~7월 22일
🥇구글·오픈AI, 수학 천재 수준 도달하다
👲메타 초지능팀 분석: AI 인재 3대 키워드
🤖챗GPT 에이전트 출시… 무엇이 다른가
💡인사이트: 모든 앱은 에이전트가 된다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안녕하세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수학 문제를 형식적 증명 언어(Lean)로 변환해야 했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문제를 자연어(natural language) 그대로 받아들여 자연어로 해답을 내놓았습니다.”

구글 딥마인드의 최고 과학자(Chief Scientist) 제프 딘은 21일(현지시각) X를 통해 “제미나이 딥 씽크(Gemini Deep Think) 모델이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2025’에서 금메달 수준의 성적을 거둬 매우 기쁘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 딥 씽크는 IMO 2025 대회에서 42점 만점에 35점을 획득, IMO의 공식 금메달 인증을 받았습니다. 각 국가를 대표하는 엘리트 예비 대학생들이 참가해 대수, 조합론, 기하학, 정수론 분야의 매우 어려운 문제를 풀기 위해 경쟁하는 국제 대회에서 ‘다른 참가자들과 같은 조건’으로 최고 성적을 거둔 것입니다. 

올해 IMO에는 미국, 한국, 중국 등 110개국에서 630명이 참가했습니다. 그중에서도 금메달은 약 8%만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예입니다. ‘수학 천재’ 수준에 도달한 AI는 미래를 어떻게 바꿀까요?

🥇구글·오픈AI, 수학 천재 수준 도달하다

IMO 2025 대회 점수 분포 (출처 : IMO)

팩트 요약: 1년 만에 은메달에서 금메달… 범용 모델로 달성

1. 구글 딥마인드는 “하나의 선형적인 사고 사슬을 따르지 않고, 여러 가지 가능한 해결책을 동시에 탐색하고 조합한 후 최종 답을 도출하는 ‘병렬 사고’ 기법으로 올해의 결과를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 추론 모델과 강화 학습 기법의 발전으로 1년 만에 성적이 은메달에서 금메달로 개선됐다는 것입니다. 오픈AI 역시 자체 테스트를 통해 범용 모델로 IMO 금메달 성적을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왜 중요한가: 

구글과 오픈AI가 보여준 성과는 다양한 영역에 걸친 작업을 인간 수준으로 처리할 수 있는 범용인공지능(AGI)이 멀지 않았음을 암시합니다. 바둑에서 인간을 능가한 ‘알파고’처럼 특정 좁은 영역에서 뛰어난 AI 모델, 즉 수학 전용 모델이 아니라 범용 모델로 이뤄낸 성과이기 때문입니다. 

탕 루옹 구글 딥마인드 수석 개발자는 “수학에 기여할 수 있는 AI의 잠재력은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며 “자연어의 유창성과 엄격한 추론을 결합한 에이전트(agent, 대리인)는 수학자, 과학자, 엔지니어, 연구자에게 귀중한 도구가 돼 AGI로 가는 길에서 인간의 지식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줄 것으로 믿는다”고 했습니다.

👉더 알아보기: AI 허준이 나올까... 교육의 미래

👲메타 초지능팀 분석: AI 인재 3대 키워드

메타 초지능 연구소 팀원 44명 상세 정보 (출처 : 디디 다스 X)

팩트 요약: 중국계 인재 압도적 비중… 박사 학위 보유자 75%

1.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슈퍼인텔리전스 랩(Superintelligence Lab)을 설립, AI 인재를 흡수하고 있는 가운데, 19일(현지시각) 연구소 구성원 44명의 정보가 공개됐습니다. 

2. 상세 정보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성은 중국 출신 인재의 압도적인 비중입니다. 44명 중 중국 국적자는 21명으로 전체의 절반(47.7%)을 차지했습니다.

왜 중요한가: 

중국 성을 가진 중국계 미국인까지 포함하면 전체의 약 60%(26명)가 중국계 인재로 파악됩니다. 이는 미국 내 최고 수준의 AI 연구 조직에서 중국계 인재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중국계 연구원들이 초특급 AI 인재로 평가받고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데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중국의 강력한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교육 시스템이 주요 배경으로 지목됩니다. 학문적 배경 측면에서 메타 슈퍼인텔리전스 랩의 인재 구성을 살펴보면 75%(33명)가 박사 학위(PhD)를 보유자, 70%(31명)가 연구 과학자(Research Scientist)였습니다. 

👉더 알아보기: 최다 인원 명문대 어디? 특급 AI 인재 지형도

🤖챗GPT 에이전트 출시… 무엇이 다른가

(출처 : ChatGPT 이미지 생성기, 박원익)

팩트 요약: 딥리서치+오퍼레이터=챗GPT 에이전트

1.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7일 X를 통해 “오늘 챗GPT 에이전트(ChatGPT agent)를 출시했다”며 “컴퓨터가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을 보는 것은 진정한 AGI를 느끼는 순간”이라고 밝혔습니다.

2. 리서치 도구인 ‘딥리서치(Deep research)’, 웹사이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에이전트(agent, 대리인)인 ‘오퍼레이터(Operator)’에 챗GPT의 대화 기술을 조합해 챗GPT 에이전트를 구축했다는 설명입니다. 

왜 중요한가: 

알트만 CEO는 “이 제품은 생각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 오랫동안 생각하고, 여러 도구를 사용하며 추가로 생각하거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며 “예를 들어 친구의 결혼식을 준비하기 위한 의상 구매, 여행 예약, 선물 선택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분석해 업무용 프레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순한 정보 제공의 수단으로 챗GPT를 활용하는 걸 넘어 자율적인 작업 수행으로 기능을 확장한 것입니다. AI가 사용자의 지시를 이해하고, 필요한 도구를 스스로 선택하며 복잡한 다단계 작업을 처음부터 끝까지 완료하는 에이전틱 AI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더 알아보기: 생산성 소프트웨어 시장 판도 바뀐다

💡위클리 인사이트: 모든 앱은 에이전트가 된다

스와미 시바수브라마니안 AWS 에이전틱 AI 담당 부사장이 16일(현지시각) 뉴욕 재비츠 센터(Javits Center)에서 열린 ‘AWS 서밋 뉴욕 2025’에서 기조연설 하고 있다. (출처 : 더밀크 박원익)

오늘의 레터에서 다룬 세 가지 이슈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더밀크만의 뷰(view)를 제공해 드리는 위클리 인사이트 코너입니다. 

이번 주는 16일(현지시각) 뉴욕 재비츠 센터(Javits Center)에서 열린 AWS 서밋 뉴욕 2025(AWS Summit New York 2025) 현장 소식을 준비했습니다. 스와미 시바수브라마니안 AWS 에이전틱 AI 담당 부사장이 “AI 에이전트는 인터넷의 탄생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변화”라고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더 알아보기: 에이전트 활용 전략 수립하라(무료)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텍사스 애빌린(abilene)에 건설 중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부지 (출처 : Sam Altman X)
  • 샘 알트만, 4.5GW 데이터센터 개발 계획 공개샘 알트만 오픈AI CEO가 22일(현지시각) 오라클과 함께 4.5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추가로 개발, 인공지능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힘. 이 프로젝트는 스타게이트의 일환이며 거대한 인프라 프로젝트라고 강조. 

  • 알리바바, 큐원 모델 오픈 소스 최고 성능 주장중국 빅테크 알리바바가 21일 자체 개발한 큐원(Qwen) 3 업데이트 모델의 성능이 키미 K2를 능가하고, 앤트로픽의 클로드 오푸스 4 수준의 성능에 육박한다고 주장. 새로운 버전은 2350억 개의 매개 변수를 가진 모델로 GPQA, 수학, 코딩 벤치마크에서 우수한 점수를 기록.  

  • 아티피셜 애널리시스, AI 채택 설문 리포트 발표AI 모델 평가 기업 아티피셜 애널리시스(Artificial Analysis)가 15일 ‘AI 채택 설문 리포트’를 발표. 리포트 데이터에 따르면 수요 측면에서 구글 제미나이가 2024년에 비해 2025년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냄. 딥시크, 그록은 약진한 반면 메타 라마, 미스트랄은 부진.

22일(현지시각) 전해진 소식에 따르면 구글 딥마인드에서 제미나이의 IMO 금메달 획득에 기여한 연구원 세 명이 메타로 이직했습니다. 

텐허 유(Tianhe Yu), 코스모 두(Cosmo Du), 웨이유 왕(Weiyue Wang) 세 사람입니다.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지난 한 달 동안 메타는 오픈AI, 앤트로픽(Anthropic), xAI 등 경쟁사의 연구원들을 고용했습니다.

구글 딥마인드에서는 이들 세 명을 포함해 6명 이상을 영입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현재 데미스 허사비스 CEO가 이끄는 구글 딥마인드 직원은 총 5600명 정도입니다.

구글에서 놀라운 성과를 만들어 냈음에도 이들이 이직을 결정했다는 건 실리콘밸리의 AI 인재 전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보여줍니다. 특급 인재들의 이동은 AI 산업의 지형도를 계속해서 바꿀 것입니다. 

👉관련 기사: 기업가치 < 개인가치... 조 단위로 거래되는 두뇌들

구독자 여러분들의 성공과 꾸준한 성장을 위해 더밀크는 계속해서 혁신의 현장, 미래가 바뀌는 순간을 목격하고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뉴욕에서
박원익 드림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