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뇌를 창의적으로 쓰는 5가지 방법

reporter-profile
손재권 2025.10.06 08:15 PDT
AI 시대, 뇌를 창의적으로 쓰는 5가지 방법
(출처 : 그록, 더밀크)

정누리 조지아텍 박사의 연구에서 배우는 인간 고유의 인지 전략
침묵과 여백: 디지털 디톡스로 뇌에 쉼표를 주면 억제성 뉴런이 작동해 통찰 발생
익숙함 타파: 루틴에 '왜?'를 묻고 매너리즘 감지 시 실험
선택적 집중: 하루 1가지 핵심만 선택, 나머지 차단
직관 신뢰와 리듬: 감정 단서 무시 말고 / 90분 몰입+15분 여백 리듬으로 뇌 최적화

AI 시대에는 인간의 '능력'이란 개념이 바뀔 것이다. '공부를 잘한다'는 개념도 바뀐다. ‘얼마나 많이 기억하느냐’가 아니라 ‘무엇이 중요한지를 판단하는 뇌’를 갖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완벽히 저장하고 검색하지만, 맥락 없이 모든 정보를 동등하게 취급한다. 반면 인간의 뇌는 억제성 뉴런을 통해 '지금 이 순간 무엇이 중요한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선택적 기억을 형성한다. 무엇이 중요한 것인가를 판단할 줄 아는 능력이 핵심이다.

챗GPT 등 생성AI의 능력을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고 사람은 챗GPT에 많은 것을 의존하게 돼 있다. 이렇게 되면 '왜 이것을 알아야 하는가'라는 질문 자체를 잃게 되고, 결국 AI가 제시하는 정보의 수동적 소비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창의성은 서로 관련 없어 보이는 정보들 사이에서 의미 있는 연결을 발견하는 것인데, 이는 무엇이 연결할 가치가 있는지를 먼저 판단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 결국 AI 시대의 경쟁력은 정보량이 아닌 '가치 판단력'. 즉,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억제하며, 무엇을 연결할지 결정하는 인간 고유의 선택 능력에 달려 있다.

정누리 박사는 더밀크와의 인터뷰에서 "억제성 뉴런이 중요한 순간에 침묵한다는 것은, 오히려 그 공간을 인식하게 해주는 열쇠였다"고 말했다. 이 연구에서 가장 놀라운 발견은 뇌가 중요한 정보를 기억할 때 활동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감소한다는 점이었다. 억제성 뉴런이 활동을 줄이는 그 '침묵의 순간'이 바로 강한 기억 형성의 신호탄이 된다.

이는 AI와 인간의 근본적 차이를 보여준다. AI는 데이터를 끊임없이 축적하고 예측하지만, 창의성은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를 아는 것에서 출발한다. 인간의 뇌는 불필요한 자극을 억제하고 틈과 여백 속에서 통찰을 낳는다. 음악에서 쉼표가 다음 악절을 더욱 돋보이게 하듯, 뇌의 침묵이 창의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 인간의 뇌는 불필요한 자극을 억제하고 ‘틈과 여백’ 속에서 통찰을 낳는다.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