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커피 한 잔 못 나르는 진짜 이유: AI의 역설은?

reporter-profile
크리스 정 2025.10.16 10:17 PDT
로봇이 커피 한 잔 못 나르는 진짜 이유: AI의 역설은?
(출처 : 미드저니 / 크리스 정)

[더밀크 웨비나] AI의 미래, 최전선에서 직접 듣다: 황민영 연구원
자동차는 46초에 조립하면서, 왜 커피 서빙은 못할까
역설의 핵심은 '연속적 의사결정'의 복잡성
로봇 학습의 진화: 따라하기에서 이해하기로의 진화
당신만을 위한 로봇: 개인화 기술...AI가 물리 세계를 이해못한다

인공지능의 능력은 우리 직관과 정반대로 작동한다. 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의 황민영 연구원이 더밀크 웨비나에서 제시한 사례가 이를 명확히 보여준다. 2023년 ABB의 산업용 로봇은 자동차 한 대를 46초 만에 완벽하게 조립했다. 하지만 같은 시기 실리콘밸리의 최첨단 로봇조차 일반 카페에서 손님에게 커피를 서빙하지 못했다.

이 역설의 핵심은 '연속적 의사결정'의 복잡성에 있다. 황 연구원은 구체적인 수치로 이를 설명했다. 99% 정확도를 자랑하는 AI 모델이라도 120번의 연속된 결정을 거치면 최종 성공률은 30% 아래로 떨어진다. 7200번의 의사결정이 필요한 작업에서는 성공 가능성이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는 뜻이다.

자동차 조립이 로봇에게 쉬운 이유는 간단하다. 부품의 위치가 정해져 있고, 조립 순서가 고정되어 있으며, 환경이 통제되어 있다. 반면 커피를 서빙하려면 매 순간 변하는 환경에 대응해야 한다. 테이블 높이, 사람의 위치, 장애물, 컵의 기울기 등 수백 가지 변수를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조정해야 한다. 인간에게는 본능적으로 쉬운 일이 기계에게는 극도로 어려운 과제가 되는 것이다.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