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뒤 승자는 이런 전략을 쓴다… GPT-5 우승 박지혁의 인사이트
[더밀크 웨비나] AI의 미래, 최전선에서 직접 듣다... 박지혁 와들 대표 강연
피봇, 또 피봇: AI 에이전트 ‘젠투’ 어떻게 탄생했나
AI 물결에 올라타다: 이커머스 시장에서 기회 발견
오픈AI와 동행: 데브데이에서 엿본 AI 제국의 전략
더밀크의 시각: 거인의 어깨 활용법… AI 발전, 한발 앞을 보라
2025년 8월 9일(현지시각), AI 산업의 심장부 미국 샌프란시스코.
창업가 커뮤니티이자 이벤트 공간인 SHACK15에 100여 개에 달하는 팀이 모였다. 이제 막 베일을 벗은 오픈AI의 최신 AI 모델 GPT-5로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대회 ‘GPT-5 스타트업 해커톤’에 참여하기 위해 전 세계에서 개발자들이 모인 것이다.
박지혁 대표가 이끄는 스타트업 와들(Waddle)팀의 아이디어는 와들의 핵심 서비스인 AI 컨시어지(Concierge, 점원) ‘젠투(Gentoo)’를 한 단계 진화시키는 것이었다. 단순히 고객 응대를 자동화하는 ‘AI 점원’을 넘어, 매장의 상품 배치나 캠페인 기획까지 제공할 수 있는 ‘AI 스토어 매니저’를 개발하는 발상이었다.
박 대표는 10월 9일(현지시각) 진행된 더밀크 스페셜 웨비나 ‘AI의 미래, 최전선에서 직접 듣다’에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을 높이는 AI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 역할을 상상하며 24시간 만에 첫 데모(시제품)를 만들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핵심은 젠투가 사용자와 나눈 방대한 대화 데이터를 GPT-5를 이용해 분석하는 것이었다. 예컨대 데이터 기반으로 사용자의 취향과 행동 패턴을 반영, 가상의 마케팅 전략을 시뮬레이션해 매출을 높이는 식이다.
결과는 놀라웠다. 와들팀은 유일한 한국 참가팀으로서 100여 개의 쟁쟁한 글로벌 팀들을 제치고 최종 1위를 차지했다. 세계 최고 벤처캐피털(VC) 중 하나로 꼽히는 세쿼이아 캐피탈(Sequoia Capital)의 알프레드 린, 컨빅션 파트너스의 사라 구오, 코슬라 벤처스의 카누 굴라티, 클라이너 퍼킨스의 리 마리 브래즈웰 등 쟁쟁한 심사 위원들이 부여한 점수였다.
“운이 좋게도 해커톤에서 1위를 하게 됐습니다. 우승 모멘텀을 받아 미국에서도 첫 온라인 쇼핑몰 고객 10개를 만드는 데 성공해 미국에서 사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박 대표는 “과거의 LLM(대규모 언어모델)로는 불가능했지만 ‘GPT-5’라는 새로운 모델이 나왔기 때문에 앞으로 상상의 영역에만 존재했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며 “며칠 전 10월 6일에 열린 오픈AI의 개발자 컨퍼런스 ‘오픈AI 데브데이 2025(OpenAI DevDay 2025)’에도 다녀왔는데, 많은 인상적인 제품, 아이디어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