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도구, 인간은 전략... 전례없는 창의력 르네상스 온다
[SXSW2025 리뷰] AI와 인간의 협업, 창의성을 재정의
AI가 만들어 놓은 것을 창의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인간의 '능력'
AI는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추구하지만 인간은 때로는 비효율적인 길을 택하며 성장
인간은 단순한 ‘정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정답이 없는 문제를 고민
‘인간 + AI’ 협업 모델이 가장 창의적인 활동이 될 것
"AI로 증강되지 않으면, 뒤처질 것입니다. AI는 당신을 10배 더 효과적으로 만들어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AI와 함께 일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제레미 어틀리(Jeremy Utley) 스탠퍼드대 교수
지난 3월 7일 부터 15일까지 미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열린 SXSW(사우스바이사우스웨스트)2025.
매년 3월에 개최되는 SXSW는 기술이 아니라 그 것을 활용하는 '인간'에 초점을 맞춘 글로벌 컨퍼런스다. SXSW는 1987년 텍사스 오스틴에서 음악 페스티벌로 처음 시작된 후. 1994년부터 영화와 인터랙티브(디지털 미디어 및 기술) 부문이 추가되면서 SXSW는 음악뿐만 아니라 영화와 기술 분야까지 아우르는 종합 문화 축제로 성장했다. '기술 컨퍼런스(쇼케이스)'나 '뮤직 페스티벌' '영화제'를 합친 이벤트다. 그래서 매년 40만명이 참가한다. 올해(2025년)도 새 스타트업, 독립 예술가, 유명 연예인, 기술 혁신가 등이 한자리에 모여 각 분야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창의적 협업이 이루어지는 혁신의 장이었다.
여기에 코로나 팬데믹 이후엔 기술 중심의 미래를 예측하는 이벤트로 자리매김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래학자들과 기술 전문가들이 총출동한다. 에이미 웹 FTSG 대표, 스캇 갤러웨이 뉴욕대 교수 등이 다가올 혁신적 변화에 대해 인사이트를 제시했다.
특히 올해 SXSW에서는 오픈AI(챗GPT), 엔트로픽(클로드), 구글(제미나이), 퍼플릭시티 등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인간의 역할'은 무엇이며 AI 시대에 '창의성'은 어떻게 발현되는가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과거 SXSW 가기술 혁신 자체에 초점을 맞췄다면, 2025년 세션들은 기술이 인간 경험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방점을 찍었다던 것. 특히 CES, MWC, GTC 등 글로벌 이벤트들이 '기술'과 '비즈니스'에 초점을 맞추는 것에 비해 SXSW2025에서는 ‘AI를 활용하는 인간’'에 대해 활발히 논의됐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