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는 어떻게 ‘3조 유니콘’이 됐나… AI 시대 기회를 잡는 법

reporter-profile
박원익 2025.11.10 15:53 PDT
감마는 어떻게 ‘3조 유니콘’이 됐나… AI 시대 기회를 잡는 법
감마(Gamma) 공동창업자들. (왼쪽부터) 제임스 폭스, 존 노로냐, 그랜트 리. (출처 : Gamma, 편집=Gemini)

감마, 기업가치 3조 돌파... MS가 지배하던 프레젠테이션 혁신
비결①: 파도에 올라타라… AI, 모든 하이프를 삼키다
비결②: 30년 ‘빈 슬라이드’의 종말… 감마는 무엇을 해결했나
비결③: LLM 없어도 문제없다… “영업 사이클 40% 단축”
더밀크의 시각: 한국은 어떻게? 3가지 AI 액션플랜

2023년 3월, 실리콘밸리는 혼란에 휩싸여 있었다. 벤처 대출로 성장한 ‘실리콘밸리은행(SVB)’의 갑작스러운 파산이 기술 생태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것. 2020년 샌프란시스코 투룸 아파트에서 시작된 스타트업 ‘감마(Gamma)’도 위기의 직격탄을 맞았다.

그랜트 리(Grant Lee) 감마 CEO는 JP모건과의 인터뷰에서 “가장 큰 제품 출시를 불과 2주 앞두고 당장 직원들의 급여를 줄 수 있을지조차 확신할 수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감마의 모든 자금이 SVB 파산 사태로 묶여버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절체절명의 순간, 감마는 AI 통합 기능을 계획대로 출시하며 승부수를 던졌다. 결과는 놀라웠다. AI 기능 출시 이후 감마는 불과 9개월 만에 100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며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한 치 앞도 예측하기 어려운 위기 속에서 단행한 결정은 시장의 필요를 꿰뚫었고, 회사의 운명을 바꿨다. 

감마는 10일(현지시각) 6800만달러(약 990억6000만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하며 다시 한번 시장을 놀라게 했다. 실리콘밸리 최대 벤처캐피털(VC) 안드레센 호로위츠(a16z)가 투자를 주도했고, 이 투자 유치 과정에서 감마는 21억달러(약 3조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더 놀라운 건 매출 성과다. 감마는 50여 명의 소규모 팀으로 연간 반복 매출(ARR) 1억달러(약 1400억원)를 돌파했고, 2023년 이후 2년 이상 흑자를 내고 있다. 오픈AI, 구글처럼 자체 LLM(대규모 언어 모델)도 없는 작은 스타트업이 설립 5년 만에 어떻게 이런 성과를 이룰 수 있었을까?

👉'혁신금융 아이콘' SVB 급성장과 급파산의 전말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