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델 무한경쟁 시대... 트럼프는 왜 ‘반도체 청구서’를 꺼냈나?

reporter-profile
박원익 2025.08.06 10:39 PDT
AI 모델 무한경쟁 시대... 트럼프는 왜 ‘반도체 청구서’를 꺼냈나?
5일(현지시각) 하루 동안 오픈AI(gpt-oss), 앤트로픽(4.1 opus), 구글(genie)이 새로운 AI 모델을 쏟아내자 가열되는 모델 무한경쟁, 글로벌 AI 패권 경쟁을 따라가기 어렵다는 내용의 만평이 X에 공유됐다. (출처 : 일론 머스크 X(@elonmusk) 캡처)

[위클리AI브리핑] 2025년 7월 30일~8월 05일
💰왜 지금 AI에 모든 걸 걸어야 하나?
🤖초지능 전쟁 온다: 저커버그 vs 알트만
🚗중국산 자율주행 두뇌, 바이두의 전략
💡인사이트: 피그마 성공의 3요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안녕하세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반도체와 칩(semiconductors and chips)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5일(현지시각) CNBC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해당 품목이 미국에서 생산되길 원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상호관세와 별도로 적용되는 품목별 관세를 이르면 다음 주에 발표한다는 것입니다. 

반도체는 1997년 세계무역기구(WTO)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현재 회원국 간 무관세가 적용되는 품목입니다. 작년 기준 반도체는 한국의 대미 수출 3위 품목.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8000만달러(약 14조8100억원)에 달합니다. 

👉관련 기사: 트럼프 미 대통령, 다음 주 ‘반도체 관세’ 예고... 세계 질서가 바뀐다(무료)

중국의 오픈 웨이트 모델과 미국 오픈 웨이트 모델 성능 추이. 중국과 미국의 AI 패권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오픈형 모델에서는 여전히 중국이 미국에 근소하게 앞서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한 중국의 오픈 웨이트 모델은 알리바바가 큐원3(Qwen3 235B 2507)이다. 미국의 경우 오픈AI가 5일 공개한 gpt-oss-120b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출처 : Artificial Analysis)

28년 만에 WTO(세계무역기구), FTA(자유무역협정) 기반의 세계 질서가 바뀌고 있습니다. 변화를 추동하는 배경 중 하나는 AI와 관련 인프라를 둘러싼 패권 경쟁입니다.  

이날 쏟아져 나온 새로운 AI 모델 역시 이런 움직임과 연관이 있습니다. 미국의 빅테크와 AI 연구소들이 첨단 AI 모델을 내놓을 수 있는 배경에 강력한 AI 인프라가 있기 때문입니다. 

오픈AI는 알리바바, 딥시크 등 중국의 오픈 웨이트(weight, 가중치) 모델을 견제할 수 있는 ‘gpt-oss-120b, gpt-oss-20b’를 선보였고, 앤트로픽은 강력한 코딩 성능을 가진 첨단 모델 ‘클로드 오푸스 4.1’를 출시했습니다. 구글은 실시간 인터랙티브 3D 환경 생성이 가능한 새로운 월드 모델 ‘지니(Genie 3)’를 공개했습니다. 

💰왜 지금 AI에 모든 걸 걸어야 하나?

(출처 : Google Imagen, 박원익)

팩트 요약: 빅테크 AI 인프라 지출액 557조 육박

1. 31일 월스트리트저널의 분석에 따르면 빅테크 4개사(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메타)가 올해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은 약 4000억달러(약 557조원)에 육박합니다. 

2. 이는 지난해 유럽연합(EU)이 국방에 지출한 금액보다 더 많은 액수입니다. 천문학적 규모의 자본이 흘러가는 곳은 AI의 근간을 이루는 AI 데이터센터입니다. 

왜 중요한가: 

빅테크 기업들이 국가 단위에서나 볼 수 있었던 큰돈을 데이터센터에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AI 경제 생태계 전체를 뒷받침하는 기반 계층(foundational layer) 소유가 중요하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AI 인프라를 전력망 같은 사회 기반 시설이자 핵심 전략 자산으로 취급하고 있는 것이죠.

AI 모델 개발과 서비스에는 막대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고, 대부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이뤄집니다. 강력하고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보유한 기업은 유틸리티, 에너지, 통신 같은 필수 서비스 제공자 역할을 하는 동시에, 물리적 영토를 넘어 전 세계에 AI를 공급하는 AI 패권 기업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관세를 동원, 반도체 제조 리쇼어링 정책을 추진하는 배경에도 ‘반도체는 핵심 AI 인프라’라는 인식이 존재합니다.

👉더 알아보기: ‘AI 인프라’ 시장은 역사적 판단 내렸다

🤖초지능 전쟁 온다: 저커버그 vs 알트만

(출처 : Grok, 박원익)

팩트 요약: AI 미래 위한 두 거인의 전면전… 개인 초지능 vs GPT-5

1.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30일 스레드를 통해 개인 초지능(Personal Superintelligence)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AI를 개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일종의 ‘개별화된 도구’로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2. 다른 한쪽에는 범용인공지능(AGI)을 추구하는 오픈AI가 있습니다. 오픈AI는 AGI, 즉 초지능에 가장 가까운 모델인 GPT-5를 8월 중 공개할 예정입니다. 

왜 중요한가: 

메타와 오픈AI의 경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들이 내세우는 기술적 비전과 로드맵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메타와 오픈AI가 그리는 미래 사회의 청사진은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앞으로 수년간 수천억 달러의 자본이 투입될 기술적 방향성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개인 초지능으로 저커버그가 달성하려는 미래, GPT-5를 통해 그리는 알트만의 청사진은 무엇일까요?

👉더 알아보기: 디바이스 기반 비서 vs 최고 에이전트

🚗중국산 자율주행 두뇌, 바이두의 전략

운전대 탈부착이 가능한 바이두의 자율주행차 Apollo RT6 (출처 : Baidu)

팩트 요약: 자율주행 굴기... 세계의 문 두드리는 바이두

1. 중국 거대 기술 기업 바이두(Baidu)는 4일 북미 2위 차량 공유 업체 리프트(Lyft)와 손잡고 유럽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2. 양사는 2026년부터 독일과 영국을 시작으로 바이두의 6세대 로보택시 ‘아폴로 RT6’ 수천 대를 리프트 플랫폼을 통해 유럽 전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할 계획입니다.

왜 중요한가: 

이번 발표는 중국의 자율주행 AI 기술이 주요 차량 공유 업체를 통해 서구 모빌리티 시장의 심장부로 수출되는 첫 대규모 사례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닙니다. 소프트웨어, 알고리듬, 센서 활용 등을 포함한 AI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은 미래 모빌리티의 ‘두뇌’로 평가되기 때문입니다. 

더 큰 관점에서 보면 지정학적 함의도 찾을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의 글로벌 표준을 차지한 국가는 향후 빠르게 성장할 관련 산업의 패권을 쥐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유럽, 아시아로 확장하는 중국 AI 기술 기업이 미국을 위협할 수 있는 것이죠. 심화하는 미국과 중국의 AI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더 알아보기: 미중 AI 패권 향방… 한국의 전략은?

💡위클리 인사이트: 피그마 성공의 3요소

딜런 필런 피그마 CEO(가운데)와 팀원들이 뉴욕 증시 상장을 기념하며 오프닝벨을 울리고 있다. (출처 : NYSE X )

오늘의 레터에서 다룬 세 가지 이슈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더밀크만의 뷰(view)를 제공해 드리는 위클리 인사이트 코너입니다. 

이번 주는 7월 31일 성공적으로 뉴욕 증시에 상장한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 피그마(Figma) IPO 분석 리포트를 준비했습니다. AI 퍼스트 전략, 제품 주도 성장, 협업을 통한 네트워크 효과로 역전극을 만들어 낸 피그마의 놀라운 스토리를 확인하세요!

💡위클리 인사이트: 피그마, 70조 신화의 비밀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클로드 오푸스 4.1 코딩 벤치마크 성능 비교 (출처 : Anthropic)
  • 앤트로픽, 클로드 오푸스 4.1 출시: 앤트로픽은 5일(현지시각) 최신 AI 모델인 클로드 오푸스 4.1을 출시. 코딩 벤치마크(benchmark, 성능 평가) SWE-벤치 베리파이드(SWE-bench Verified)에서 74.5%의 높은 점수를 기록. 오푸스 4의 72.5% 대비 개선. 

  • 오픈AI, 5년 만에 개방형 모델 출시: 오픈AI는 5일 GPT-2 이후 5년 만에 처음으로 개방형 모델 2종을 출시. 1200억 개의 매개 변수(parameter)를 가진 gpt-oss-120b, 200억 개를 가진 gpt-oss20b 두 가지로 출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연구의 결과물인 이 모델을 전 세계에 공개해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이 AI를 사용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밝힘.

  • 구글, 실시간 3D 환경 생성 월드 모델 지니3 공개: 구글은 5일 텍스트 프롬프트 기반으로 다양한 3D 인터랙티브 환경을 생성할 수 있는 범용 월드 모델(general purpose world model) ‘지니3(Genie 3)’를 미리보기 버전으로 공개. 

구독자 여러분들의 성공과 꾸준한 성장을 위해 더밀크는 계속해서 혁신의 현장, 미래가 바뀌는 순간을 목격하고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뉴욕에서
박원익 드림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