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 금융주 비중 대폭 축소하고 방어 자산 구축…침체 대비 전략?

reporter-profile
크리스 정 2025.02.14 18:47 PDT
워런 버핏, 금융주 비중 대폭 축소하고 방어 자산 구축…침체 대비 전략?
(출처 : Shutterstock / 크리스 정 )

[위대한 투자자] 워런 버핏 2024년 4분기 13F 분석
버크셔 해서웨이 4분기 포트폴리오 공개… 금융주 대거 정리
워런 버핏, 애플 신뢰 재확인… 신규 투자로 경기 방어주 선택
월가의 금융주 낙관론에 반기… 방어적 포트폴리오 구축의 의미는?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BRK)의 2024 회계연도 4분기 포트폴리오 변화가 공개됐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된 4분기 13F에 따르면 버크셔 해서웨이는 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적 조정을 계속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최근 시장의 분위기가 '미국우선주의'로 인한 성장의 기대로 금융주에 몰리는 것과는 반대로 금융주 비중을 줄이고 소비재 및 필수제 투자를 늘리는 등 경기 방어적인 자산 배분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버크셔의 4분기 포트폴리오 조정에서 가장 큰 변화는 금융 섹터의 비중 축소라 할 만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AC)씨티그룹(C)의 지분을 대폭 축소했고 캐피탈원(COF)도 일부 매각했기 때문이다. 버크셔는 4분기에 뱅크오브아메리카 주식을 11만 7000주를 추가 매각, 보유 지분을 8.9%로 축소했다.

씨티그룹과 캐피탈 원 금융의 지분도 각각 70%와 18% 축소하며 파이낸셜 섹터에 대한 투자를 대폭 축소했다. 최근 월가의 분위기가 미국의 성장에 대한 기대로 금융주에 대한 강세 의견을 보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두 회사 모두 대출 및 신용카드 사업 비중이 높아 금리인상과 경기 둔화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다는 점에서 워런 버핏의 시선이 미국 경기의 침체를 보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실제 워런 버핏은 2023년 실리콘밸리뱅크(SVB) 사태 이후 금융 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의 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대출 마진이 압박을 받고 있는 가운데 상업용 부동산과 채권의 붕괴로 인한 미손실 투자 금액이 3290억 달러로 계속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경기가 예상치 못한 충격을 받을 경우 금융권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점진적으로 투자 비중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주 투자는 경기 사이클 변화에 민감한 섹터로 인식된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4분기 실적이 우수했음에도 주가의 반등이 크지 않았고 버크셔는 매각을 지속했다. 특히 실적이 양호한 뱅크오브아메리카마저 매도했다는 점에서 워런 버핏의 금융 업종 전반에 대한 신뢰가 낮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형 은행주 세 곳을 모두 매각했다는 점은 워런 버핏이 신용 리스크 관리와 경기 침체 대비 전략에 나섰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