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프라에서 퀀텀 인프라로의 진화: IONQ, 풀스택퀀텀 노린다
[퀀텀 인프라] 양자컴퓨팅 인프라: 아이온큐의 전방위 통합 전략
양자컴퓨팅, 생태계 전쟁 시작됐다...아이온큐의 13억 달러 베팅
하드웨어, 보안, 위성 통신까지...'풀스택 퀀텀'으로 양자 '표준' 노린다
아이온큐의 시스코 전략: 인터넷의 과거 vs 양자의 미래
아이온큐가 맞추는 퍼즐 조각...양자컴퓨팅의 통합 지도가 공개된다
'넥스트 빅씽'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양자컴퓨팅 기업들이 이제 개별 기술 개발을 넘어 '생태계 전체'를 삼키려는 시도에 나서기 시작했다.
9월 17일(현지시각)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영국의 옥스포드 아이오닉스와 미국의 벡터 아토믹을 총 13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양자 컴퓨팅 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 중 하나로 기록됐다. 특히 이 거래는 양자컴퓨팅이라는 미래 기술이 실험실을 벗어나 실제 산업으로 진화하는 변곡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렇다면 아이온큐는 왜 지금 공격적인 인수를 하는 것일까?
답은 간단하다. 양자컴퓨터를 잘 만드는 것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는 걸 모두가 깨달았기 때문이다. 마치 스마트폰이 단순한 전화기를 넘어 카메라, 인터넷, 결제 시스템을 모두 통합했듯이 양자컴퓨팅도 이제 하드웨어만이 아닌 전체 인프라를 장악해야 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는 양자 컴퓨팅 시장이 상업화 초입 단계에 진입하면서 단일 기술 우위만으로는 시장을 지배할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이온큐가 인수 대금 대부분을 현금이 아닌 자사 주식으로 지불한 점도 흥미롭다. 옥스포드 아이오닉스 인수 대금 10억 7500만 달러 중 10억 6500만 달러를, 벡터 아토믹은 2억 5000만 달러 전액을 주식으로 지급했다. 이는 아이온큐가 현재의 높은 주가 프리미엄을 활용해 실물 기술 자산을 확보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