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우려 완화...하지만 "중국과의 합의 없이는 지속적인 랠리도 없다"

reporter-profile
크리스 정 2025.04.28 16:44 PDT
관세전쟁 우려 완화...하지만 "중국과의 합의 없이는 지속적인 랠리도 없다"
(출처 : 미드저니 / 크리스 정 )

[투자노트 라이브] 2025년 4월 28일
미·중 무역긴장 완화 기대감 확산, 그러나 구체적 진전은 부족
‘Mag 7’ 중 4개 기업(아마존,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실적 발표 예정
텍사스 제조업지수 급락...경기 둔화 우려로 기업들 '혼돈'과 '광기' 표현

미국 증시가 마감 직전 유입된 '딥 바잉(dip buying)' 매수세에 힘입어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가장 긴 연속 상승으로 평가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기업 실적에 미칠 영향을 가늠하기 위해 다가오는 기업 실적과 주요 경제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주요 증시 지수의 부침 속에서 보잉과 IBM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상승을 주도한 반면, 엔비디아는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가 신형 AI 칩 테스트에 나선다는 소식에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메타, 아마존 등 시가총액 상위 기술주들은 이번 주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반면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윌슨 전략가는 달러 약세가 미국 기업 실적을 뒷받침하여 미국 증시가 글로벌 시장 대비 우수한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럼에도 S&P500 지수는 5000~5500 범위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며, 더 큰 상승을 위해서는 중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 기업 실적 전망 개선, 통화정책 완화 가능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지나 마틴 아담스 수석 주식 전략가는 "블룸버그 이코노믹스가 모델링한 22% 관세율 적용 시 낮은 매출총이익으로 인해 S&P500 기업들의 2025년 순이익은 약 7%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현재 증권사들의 컨센서스 전망인 12% 성장과 현저한 괴리를 보인다.

실제 일부 경기 선행 데이터는 미국 경제가 약세로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텍사스 제조업 활동 지표는 크게 악화되었으며,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임원들은 관세 정책 혼란을 설명하기 위해 "혼돈"과 "광기"라는 극단적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