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CEO와 CFO의 역할은 이렇게 바뀐다
"실패를 환영합니다. 그것이 문샷이니까요.""우리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실패를 환영하죠. 왜냐하면 우리가 정말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있다는 증거니까요."구글의 혁신 연구소 'X'를 15년간 이끌어온 아스트로 텔러 CEO는 더밀크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는 '문샷(Moonshot)'을 단지 거창한 목표가 아닌, 실패를 통해 학습하고 도전하는 방식이라 정의합니다. 기존의 질서를 조금씩 고치는 것이 아니라, 문제 자체를 다시 정의하고 완전히 다른 해법을 시도하는 사고법이죠.2025년, AI 기술은 우리의 예상을 초월하는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산업 구조가 재편되고, 글로벌 공급망과 경제 질서까지 흔들리는 지금, 최고위 임원에게 요구되는 역량도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제 유능한 관리자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최고위 임원(C-suite)은 기술의 방향을 이해하고, 변화를 선도하는 '설계자'가 되어야 합니다.더 이상 CEO는 전략만 짜는 사람이 아닙니다. 디지털 생태계를 통합 설계해야 하며, CFO는 숫자 중심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자로 진화해야 합니다. CTO는 기술을 넘어 혁신의 구조를 설계하고, CMO는 고객의 다음 행동을 예측하는 경험 디자이너가 되어야 하죠. CHRO 역시 조직 문화와 기술을 연결하는 인재 혁신가로 거듭나야 합니다.리드 호프먼(링크드인 공동창업자)과 래리 페이지(구글 공동창업자)가 각각 의료와 제조 산업에 AI 스타트업을 설립한 것도 이런 문샷 사고의 연장선입니다. 이들은 산업 특화형 문제를 AI로 풀어내는 새로운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점진적 개선이 아니라, 판을 바꾸는 도약입니다.문샷 사고는 더 이상 실리콘밸리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이제는 리더라면 누구나, 조직의 미래를 다시 설계할 수 있어야 하는 시대입니다. 당신은 어떤 문샷을 준비하고 있나요? 1️⃣ AI 시대, C레벨의 정의가 바뀐다: 혁신 설계자로 진화하라2️⃣ 실리콘밸리 거인들의 재창업: AI로 의료와 제조 혁신3️⃣ 아스트로 텔러, "AI와 협업하면 점진적 개선 아닌 혁명적 도약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