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해방의 날' 앞두고 무역정책 불확실성 사상 최고치로 상승
뉴욕증시는 약한 제조업 및 고용 지표에도 불구하고 대형 기술주들의 반등에 힘입어 상승세로 전환했다.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를 앞두고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더 큰 비중을 두는 모습이다.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bp 하락한 4.17%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상승했음에도 투자자들은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 부진을 근거로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고 있는 양상이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의 금리선물 시장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6월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확률을 76%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한 날에 상호적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밝힌바 있다. 백악관 대변인은 이 관세가 발표 즉시 효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확인했다.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가 보호무역주의의 대표적 사례인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보다 더 광범위한 무역 분야를 대상으로 할 것이란 전망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무역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최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그럼에도 월가의 많은 전문가들은 시장의 회복세에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실제 블룸버그가 추적하는 월가의 주요 투자은행들이 여전히 올해 말까지 S&P 500 지수 상승을 예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트럼프의 정책이 경제 성장과 소비자 심리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면서도, 광범위한 시장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