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경록 대표 "AI 시대엔 스피드가 '해자'다"
인공지능(AI)이 단순 도구를 넘어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에이전틱 AI' 시대가 열리면서 일자리 생태계가 요동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속도가 새로운 경쟁력"이라며 기업과 개인 모두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글로벌 기술 허브이자 벤처 기업들이 몰려있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10년 넘게 벤처, 스타트업 생태계를 지켜본 공경록 아시아2G(A2G) 캐피털 대표 역시 AI 시대 기업들의 경쟁력은 '속도'에 있다고 강조했다. 공 대표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 위치한 KDB 실리콘밸리 오피스를 방문한 전북 지역 대학원들을 대상으로 강연했다. 이날 '에이전틱 AI 핵심 트렌드'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공 대표는 "실리콘밸리에서 기술적 차별화 포인트를 모트(Moats), 해자라고 표현하는데, AI 시대에 들어오면서 이제 스피드가 새로운 해자(경쟁 우위)가 됐다"고 말했다. 기업들의 실적이 이를 반영한다. 공 대표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AI 프로그래밍 회사 커서(Cursor)는 21개월 만에 1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또 전문 지식 없이도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수 있는 플랫폼 러버블(Lovable)은 2개월 만에 10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공 대표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를 클라우드 시대라고 하는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인력이 상당히 많이 필요했다"며 "이제 이런 허들이 깨지면서 새로운 현상이 이렇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공 대표는 이런 스피드의 시대가 '데이터'를 통해 발현됐다고 분석했다. AI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데이터가 클라우드 시대에 쌓이면서 빅점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것. 공경록 대표는 "이제 AI 시대로 접어들면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이 다 자동화되고 있기 때문에 사람이 필요 없어졌다. 스타트업 뿐만이 아니다. 대기업도 스피드가 뉴 모트가 되는 시대"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