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호재 vs 신용등급 쇼크…이번 주 증시가 결정될 5가지 분수령
[밀키스레터] 연준의 구조적 변화 경고..."프레임 전환의 순간"
파월, 통화정책의 '구조적 패러다임' 전환 시사
비트코인ETF의 전성시대 열린다
'투자성향별'로 본 주목해야 할 Top 5 종목
'공포와 탐욕'
주식시장을 단 두 개의 단어로 정리한다면 바로 이것일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두 가지를 모두 단 한 달 만에 경험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투자심리를 보여주는 CNN '공포와 탐욕' 지수는 단 한 달 전, '극도의 공포'에 있었으나 현재 투자심리는 '극도의 탐욕'에 단 한 발자국이 남아있습니다.
지난 주말 미국과 중국의 전격적인 관세 휴전은 투자심리를 극적으로 반전시키는 데 성공했고 주식시장은 이례적인 상승 랠리를 펼치고 있습니다. 어느새 나스닥은 다시 강세장으로 돌입했고 S&P500 역시 전고점에서 단 3% 이내로 접근했습니다.
하지만 제롬 파월 연준의장의 경고와 실물경제 지표의 둔화는 불안한 균형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번 밀키스레터에서는 관세전책의 숨겨진 이면과 통화정책의 구조적 전환이 시장에 어떤 신호를 보내는지 그리고 우리는 어떤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하는지 짚어봅니다.
🌟 Best Story of the Week
파월, 통화정책의 '구조적 패러다임' 전환 시사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세계화 후퇴와 공급망 충격을 이유로 통화정책의 근본적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이는 5년 단위로 재검토하는 연준의 프레임워크에 대한 단서입니다.
Key Points
세계화 약화로 공급망 재편, 가격 안정성 약화
제로금리 시대 재현 어려움 강조
실질금리의 구조적 상향 가능성 지적
Strategic Conclusion
이제 투자자는 낮은 금리 환경을 전제로 한 전략을 재고해야 할 시점입니다. 중장기적으로 금리 민감형 자산의 포트폴리오 비중 조정이 필요합니다.
💵 ETF Radar
비트코인ETF의 전성시대 열린다
블랙록의 IBIT가 20일 연속 자금 유입을 기록하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의 제도권 편입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Key Points
블랙록 ETF, 하루 최대 9.7억 달러 유입 기록
금과 비트코인을 합친 복합형 ETF의 탄생
높은 변동성을 우려하는 하락 방어형 ETF
Strategic Conclusion
정부 규제정책의 변화, 기관 투자자들의 진입으로 암호화폐가 이제는 전통 자산의 보완재로 포지셔닝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금과 함께 투자하는 복합형 ETF와 높은 변동성을 헤지하는 방어형 ETF까지 등장하며 개인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Stock Analysis
'투자성향별'로 본 주목해야 할 Top 5 종목
관세 완화와 금리 인하 기대는 기술주의 반등을 이끌고 있습니다. 관세 완화와 기술 중심 투자 선호가 맞물리며 시장은 주목 종목 재편에 나서고 있습니다.
Key Points
고성장형: 1분기 실적에서 AI 매출 39% 급등하며 최고가 경신
배당성장형: 경기 사이클의 저점에서 기회를 발산하는 두 기업
고성장형: 방위산업 혁신의 최전선에 있는 첨단 전자방위 시스템 기업
Strategic Conclusion
AI는 이제 단기 트렌드를 넘어 미래 산업의 축으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시장의 반등을 기술주가 주도하는 지금, 투자 성향별로 나눈 성장성 중심의 투자전략 재구성이 요구되고 있는 시기입니다.
관세휴전, 그 이면에 숨겨진 5대 시그널
미중 관세휴전은 단기 반등 이상의 구조적 변화를 암시하며 글로벌 공급망과 투자 전략 모두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더보기
🚨 투자노트: 데일리 핵심 인사이트
1️⃣ 미-EU 무역협상: 교착상태가 이어지던 미국와 유럽연합이 관세 협상에 착수하며 유럽의 주요 교역 파트너와 협력 가능성 확대. 미중 90일 휴전에 이어 낙관론 확산
2️⃣ 트럼프 리스크: 트럼프 대통령이 "개별국과 협상할 시간 없다"며 향후 2~3주 내로 개별 협상 대신 '통보식' 관세 부과를 예고. 지정학 리스크 재점화 가능성 확대.
3️⃣ 인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의 예상 밖 하락에 이어 4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0.5%로 큰 폭 하락. 특히 서비스 가격은 16년래 최대 하락폭 기록.
4️⃣ 공포와 탐욕: S&P500이 4월 저점 대비 23% 이상 급등하면서 단기 과열 우려 확대. RSI 지표는 지난 12월 이후 최고 수준. 공포와 탐욕 지수는 '극단적 탐욕'에 접근.
5️⃣ 소비 기대: 관세 완화 시그널로 소비재와 레저 섹터가 급반등하며 관세 완화로 인한 소비심리 기대 시그널 확대. 테슬라는 1조 달러 클럽에 복귀하며 기술주 주도형 반등 완성.
🚨 지난주 가장 뜨거웠던 월가 투자의견
📌 보잉(BA) - 울프리서치: "카타르 에어웨이즈 대규모 계약, 목표가 상향"
투자의견: 아웃퍼폼(Outperform) 유지
목표주가: $230 (기존 $195 → 상향)
주요 포인트:
카타르 에어웨이즈와 최대 210대, 약 1,000억 달러 규모의 대형기 계약 체결.
지정학적 이벤트(트럼프 전 대통령 방문)와 결합된 상징성.
투자 전략: 항공기 수주 회복세와 지정학적 이벤트 활용이 강세 전환 계기. 중장기 보유 가치 유효.
📆 이번 주 증시 핵심 일정(Market Watch)
🔻 미 신용등급 강등: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하며 36조 달러를 넘어서고 재정 적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을 우려.
🏛️ 감세 법안: 미 하원에서 대규모 감세 법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예산위원회에서 일부 법안이 부결되며 불확실성 확대. 감세가 통화될 경우 단기적으로 증시에 호재, 하지만 재정적자 확대 우려도 증가.
🛍️ 소매업체 실적: 홈디포와 로우스, 타겟, TJX, 로스 스토어, 랄프 로렌 등 주요 소매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 소비자 지출 동향과 관세 영향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것.
🚀 기술주: 지난주 나스닥이 7.2% 상승하며 불마켓으로의 재진입을 성공한 가운데 AI 종목들이 주도. 이번 주에도 스노우플레이크와 팔로알토 등 실적 발표가 예정.
🎤 연준 발언: 연방준비제도의 미셸 보우만 이사와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등의 발언이 예정. 이들의 발언은 향후 금리 정책 방향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형성하는데 영향.
Important Not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