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의 다음 챕터가 시작됐습니다."더밀크는 지난 4월 22일부터 25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 2025)'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단순한 신기술 전시를 넘어, 물류 산업 전체가 '자율화(Autonomization)'라는 거대한 전환점에 진입했음을 알리는 무대였습니다. 이날 대기업,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들이 다수 전시했는데요. 가장 주목받은 기업은 CJ대한통운이었습니다. 물류 전 영역의 자율화라는 강력한 비전을 선포, 눈길을 끌었습니다. 단순한 자동화가 아닌, AI 에이전트와 휴머노이드 로봇을 활용해 인간 개입을 최소화하는 '완전 자율 운영 체계'를 제시한 것입니다.특히 CJ대한통운은 레인보우로보틱스와 공동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통해 수작업 공정의 자동화를 실험 중이며, TES물류기술연구소(TES)가 주도하는 에이전틱 AI 기반 스마트 물류 시스템도 함께 공개했습니다.이번 국제물류산업대전에서 파악한 주요 인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에이전틱 AI 기반 운영 체계 도입: 기존의 자동화 설비를 넘어, 실시간 학습과 의사결정을 통해 스스로 최적 경로와 작업 방식을 선택하는 시스템이 도입된 현장이 나타났습니다. 휴머노이드 기반 작업 혁신: 단순 반복 작업뿐만 아니라, 섬세한 수작업까지 대응 가능한 로봇을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현장 데이터 학습 혁신: 물류 현장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를 AI가 실시간 분석하고 학습하는 구조로,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 가능한 상황이 시연됐습니다. 물류의 모든 순간에 AI가 개입하고, 사람과 협업하는 '물류의 미래'를 볼 수 있었습니다. 산업 전반으로 번지는 '자율화 전환'은 CJ대한통운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글로벌 주요 물류 기업들도,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 기반 자율 운영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이는 몇 가지 트렌드와 맞물려 있습니다:모바일 앱 시대의 종말: 앱을 통한 수작업 명령 체계가 무너지고,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의 요청을 대신 이해하고 실행하는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AI-로봇 통합 플랫폼 경쟁: 물류뿐 아니라 제조, 리테일, 보안 등 산업 전반에서 로봇과 AI 통합 플랫폼 구축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데이터 기반 실시간 최적화: 사후 분석이 아니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상황을 인식하고 조정하는 시스템이 표준이 되고 있습니다.이번 KOREA MAT 202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물류는 이제 '물리적 이동'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자율 운영'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누가 더 많은 트럭을 보유했는가가 아니라, 누가 더 빠르게 AI 기반 자율화 체계를 구축하고, 누가 더 정교한 데이터 운영으로 효율을 극대화하는가가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는데요.'물류=운송'이라는 고정관념은 빠르게 무너지고 있습니다. AI가 이끄는 산업 지각변동, 지금 그 최전선을 주목해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