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AI는 21세기의 핵무기인가? ... 미중 AI패권 전쟁의 배경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CEO인 젠슨 황. 그가 상징과도 같았던 가죽 점퍼를 벗어던졌습니다. 황 CEO는 16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 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개막식 특별 연사로 등장했습니다. 가죽점퍼 대신 그가 선택한 것은 중국 전통의상이었는데요. 축사에서 그는 "나는 중국인이지만 미국에서 자랐다"면서 뿌리가 중국임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더욱 주목할 부분은 그의 메시지였습니다. 황 CEO는 연설 말미 딥시크와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빅테크 AI 모델들을 치켜세우면서 "중국 AI 기술른 세계적인 AI 발전의 원동력이다. 엔비디아는 계속해서 (중국에서) 운영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미국 정부가 규제해온 고성능 AI 칩 'H20'의 중국 판매가 최종 승인되었다는 깜짝 발표까지 덧붙였습니다. 젠슨 황의 이번 행보는 기술 기업이 이제 단순한 비즈니스 주체를 넘어, 글로벌 지정학의 핵심 행위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미국은 바이든 행정부 이후 고성능 AI 반도체의 대중 수출을 엄격히 제한해왔는데요. 이러한 기조는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엔비디아의 AI 칩은 단순한 기술 제품을 넘어, AI 패권을 결정짓는 ‘디지털 석유’로 간주되는 전략 자산으로 부상했습니다.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 미국은 기술력과 인재, 인프라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중국은 방대한 시장 규모와 데이터 자산이라는 강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양국은 상호 취약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규제와 규제 우회 전략을 병행하며, 공급망 재편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됩니다.미국과 중국 간 AI 패권 경쟁은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AI 제국주의'로 세계 질서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서 있는 미국의 핵심 전략을 심층적으로 살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