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준 대표 "한국 기후테크가 저성장 뚫을 열쇠될 것"
임팩트 투자 전문가 이덕준 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 대표는 26일(현지시각) 뉴욕 맨해튼 록펠러 플라자에서 열린 ‘한국 기후테크 서밋(Korean Climate Tech Summit)’ 행사에서 한국이 기후기술 분야에서 독특한 조건들을 갖추고 있어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할 수 있고 주장했다. 이는 단순히 환경 정책의 변화를 넘어 기후테크가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어서 주목을 끈다.이 대표가 한국의 기후테크가 경제 성장을 견인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첫 번째 근거는 '전기화 우위'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 강점이 기후기술 시대와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현상을 보여준다. 한국이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배터리, 전장 기술은 글로벌 전기화 물결의 핵심 인프라가 되고 있다. 이는 마치 디지털 혁명 시대에 한국의 메모리 반도체가 글로벌 표준이 된 것과 같은 패턴이다. 전기차에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까지 한국 기업들이 구축한 기술적 생태계가 기후기술의 기반이 되고 있는 셈이다. 이덕준 대표는 두 번째 동력으로 'AI와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 연료 공급'을 꼽았다. 이는 한국의 기후 테크가 단순한 에너지 전환을 넘어선다는 점을 시사한다. AI가 소재 발견, 재활용 시스템, 그리드 최적화 영역에서 획기적인 돌파구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로봇 공학과 자동화 기술이 산업 전반의 확장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인 한국이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기후테 크를 융합시킬 수 있는 독특한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기술 중 일부는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게 10%에 그칠 정도로 혁신을 촉진하기 어려웠으나 AI 기술의 발전, 현재까지 축적된 역량,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 등의 여건이 갖춰지면서 상업적 성공의 기회가 높아졌다는 주장이다. 이 대표는 “특히 전력 수요의 강력한 성장이 새로운 전력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며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 및 개발도상국의 전력 수요 증가가 주요 동력이 되고 있으며 선진국 역시 AI 데이터센터 등의 영향으로 전력 수요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