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스타트업 성공 조건은 '기술력' 아닌 '조직 문화'
‘스타트업은 자금 부족이 아니라 전략 부족으로 실패한다.’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통용되는 이 격언은 비단 스타트업에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모든 비즈니스, 기업 활동의 핵심이 ‘인사 및 조직 관리 전략’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제품, 마케팅, 영업, 기획, 자금 등 기업의 핵심 가치는 결국 ‘사람’에 의해서 창출된다. 핵심 인재 채용, 기존 팀원과 신규 팀원의 융합,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비용 및 갈등 조정 능력 등에 따라 기업의 성패가 갈릴 수 있다. 삼성전자, 야후 미국 본사 등 글로벌 대기업을 비롯해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 유데미(Udemy) 등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8곳을 거친 한기용 산호세 주립대 교수의 조언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한 교수는 다양한 규모, 단계의 조직을 경험하며 리더십과 조직 관리의 정수를 몸으로 익힌 베테랑 리더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시작한 데이터, 머신러닝(ML) 전문가이기도 한다. 몰로코(Moloco), 팀블라인드, 쿼리파이 등 다수의 스타트업과 SKT 등 대기업에 자문을 제공했고, 업젠(UpZen) 대표로서 다양한 스타트업에 엔젤투자도 하고 있다. 25일(현지시각) 롯데벤처스와 더밀크가 진행한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엘캠프 실리콘밸리 4기’ 연사로 참여한 한 교수는 “자문을 하다 보면 잘 되는 조직과 잘 안되는 조직의 차이점이 보인다”며 “고속 성장하는 모든 회사는 성장통을 겪게 되는데, 이를 잘 극복하면 더 좋은 회사로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롯데벤처스와 더밀크는 2021년부터 국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실리콘밸리 현지에서 엘캠프 실리콘밸리를 진행해 왔다. 성공하는 스타트업, 성장하는 조직을 만들기 위해 놓치지 말아야 할 한 교수의 핵심 조언을 세 가지로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