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2분기 연속 AI 부문 기대 이하...AI 투자 전환점 오나?
[실적분석] 엔비디아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에도 주가 하락?…AI 인프라 투자 둔화의 신호?
엔비디아가 무너진 3가지 이유: 중국·성장둔화·AI 환상 깨졌다
AI 인프라에 대한 월가의 확신…엔비디아가 '되돌릴 수 없는' 이유
모건스탠리: 중국 없이도 70억 순증? 전례없다...AI 칩 공급난 계속된다
AI 시대의 절대강자도 시장의 까칠한 잣대를 피할 수 없었다. 엔비디아가 27일(현지시각) 발표한 2025년 2분기 실적은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을 웃돌았지만,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3% 하락했다. 매출은 467억 달러로 전년 대비 56% 증가, 조정 주당순이익(EPS)도 1.05달러로 예상치 1.01달러를 4% 넘어서는 무난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투자자들은 냉정했다.
핵심 사업부가 기대에 살짝 못 미친 것이 전체 주가를 끌어내렸다. 엔비디아 전체 매출의 89%를 차지하는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이 411억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413억 달러보다 2억 달러가 부족했다. 겨우 0.5% 차이지만 예상을 뛰어넘지 못했고 시장은 이를 성장 둔화의 신호로 받아들였다.
더욱이 데이터센터 부문이 시장 기대치를 밑돈 것은 이번이 2분기 연속이다. 전년 대비 56% 성장했다는 숫자 자체는 놀랍지만 연속적인 실망은 AI 인프라 투자 붐이 정점을 지나고 있다는 우려를 키운 것으로 관측된다.
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과의 비즈니스가 여전히 막혀 있다는 점도 우려를 키운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국과의 지정학적 우려 완화에도 엔비디아는 2분기에 중국 기반 고객에게 H20 칩을 단 한 개도 팔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약 40억 달러의 매출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엔비디아가 중국에서 벌어들인 AI 칩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는 조건으로 수출을 허가했다. 젠슨 황 CEO가 백악관을 직접 방문해 협상한 결과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들에게 미국산 H20 칩 구매를 자제하도록 권고하면서 실제 매출 회복은 여전히 불투명한 것으로 관측된다.
콜레트 크레스 CFO는 "지정학적 문제가 해결되면 이번 분기에 20억-50억 달러의 H20 매출이 가능하다"고 말했지만, 언제 해결될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 문제로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