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에어 디자인보다 중요한 것

reporter-profile
박원익 2025.09.10 07:11 PDT
아이폰 에어 디자인보다 중요한 것
(출처 : Apple, 편집 : 더밀크)

[위클리AI브리핑] 2025년 9월 03일~9월 09일
🏭ASML은 왜 미스트랄 AI에 투자했나?
🔑AI 비용 절감의 열쇠는 ‘이것’
🗺️엔비디아 독점 흔들 3가지 변수는?
💡인사이트: OS 차원 변화에 대비하라

안녕하세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스마트폰 카메라 앱 Lux의 공동창업자이자 디자이너인 세바스티안 드 위드는 9일(현지시각) X에 “아이폰 에어(iPhone Air)가 이렇게 멋질 줄 몰랐다. 프로와 에어 둘 중 하나를 고르기가 어려울 것 같다”고 썼습니다. 

애플이 이날 발표한 아이폰 에어가 최고 사양 모델인 아이폰 17 프로만큼 매력있다는 평가였죠. 실제로 아이폰 에어는 역대 가장 얇은 5.6mm의 두께, 반짝이는 광택(양면 세라믹 실드2), 세련된 색상의 디자인으로 이날 공개된 제품 중 가장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디자인보다 더 중요한 게 있습니다. 새 제품에 적용된 애플 실리콘, A19 Pro, N1, C1X 칩입니다. 배터리 용량을 줄여 슬림한 스마트폰을 만들려면 강력한 성능을 내면서도 전력 소모가 적은 칩이 필수죠. ‘실시간 번역’ 등 스마트폰 핵심 기능으로 자리잡고 있는 생성형 AI 기능을 구동하기 위해서도 칩 성능의 뒷받침이 필요합니다. 

애플 뿐만 아닙니다. AI 혁명이 가속화할수록 이와 같은 AI 반도체, AI 인프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AI 인프라 기술, 산업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ASML은 왜 미스트랄 AI에 투자했나?

(출처 : ASML, Mistral AI, 편집: Gemini, 박원익)

팩트 요약: 반도체 슈퍼을, 유럽의 희망과 손잡다

1. 글로벌 AI 및 인프라 산업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소식이 같은 날(9일) 전해졌습니다. 네덜란드의 세계적인 반도체 장비 기업 ASML이 프랑스 AI 스타트업 미스트랄 AI(Mistral AI)에 투자, 최대주주가 됐다고 발표한 것이죠.

2. 이번 투자 유치로 미스트랄 AI의 기업가치는 117억유로(약 19조원)으로 껑충 뛰었습니다. 2023년 4월 설립, 2년 여 만에 이룬 성과입니다. 

왜 중요한가: 

이번 투자는 단순한 대규모 AI 스타트업 투자를 넘어서는 의미를 지닙니다.

미국과 중국의 기술 대기업이 장악해 온 AI 패권 구도에 유럽이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내민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되기 때문입니다. 유럽 최고의 하드웨어 기업(ASML)과 소프트웨어 기업(미스트랄 AI)이 손을 잡음으로써 자체 수직 통합 생태계 구축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더 알아보기: 로드맵 미리 본다… 소버린 AI의 미래

🔑AI 비용 절감의 열쇠는 ‘이것’

팩트 요약: 더 좋은 더 많은 GPU, 해결책 아니다

1. GPU로 AI 반도체 시장을 사실상 독점 중인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산업의 핵심 플레이어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실리콘밸리 AI 스타트업 애니스피어(Anysphere, 바이브 코딩 툴 ‘커서’ 개발사), 스탠퍼드 AI 연구소에서 활동하는 설형욱 머신러닝(ML) 과학자는 하드웨어에 대한 지나친 의존을 경계했습니다. 

2. 단순히 더 많은 GPU, 더 좋은 GPU를 확보하는 게 능사는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왜 중요한가: 

GPU는 전략 자산으로 취급될 만큼 중요하지만, GPU 확보에는 큰 비용이 들고, GPU가 많아질수록 네트워크 통신 시간 급증하며 에너지 낭비 같은 부작용도 생길 수 있다는 설명이죠. 

설 과학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실리콘밸리에서 부상하고 있는 GPU 커널(kernel, GPU 호출 기본 단위) 최적화라는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더 알아보기: AI 경쟁력 올리고, 비용 낮추는 최적화의 마법

🗺️엔비디아 독점 흔들 3가지 변수는?

권석준 성균관대 교수 (출처 : 김현지 )

팩트 요약: 중국 AI 반도체, 구글 TPU 생태계 흔든다

1. 반도체 분야 최고 전문가인 권석준 성균관대 교수도 AI 반도체, 인프라 산업의 지형 변화를 예측했습니다. 현재 AI 반도체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지배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2. GPU가 너무 전력을 많이 잡아먹고 가격도 비싸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도전,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왜 중요한가: 

새롭게 부상하는 핵심 플레이어는 중국 AI 반도체 기업들입니다. 권 교수는 “중국 정부가 반도체 기술 내재화와 공급망 생태계 자급화를 위해 추진해 온 ‘반도체 빅펀드’ 전략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화웨이 같은 풀 스택 AI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실리콘밸리 빅테크인 구글이 자체 개발해온 TPU(텐서처리장치)를 향후 시장에 어떤 형태로 공급할지도 중요한 변수라고 강조했습니다.

👉더 알아보기: “대만 하청업체 전락할 수도” 위기의 한국 반도체

💡위클리 인사이트: OS 차원 변화에 대비하라

(출처 : Apple, Google, Atlassian, Gemini 편집)

오늘의 레터에서 다룬 세 가지 이슈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더밀크만의 뷰(view)를 제공해 드리는 위클리 인사이트 코너입니다. 

이번 주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강자 아틀라시안(Atlassian)의 AI 웹 브라우저 개발사 인수, 애플의 생성형 AI 기반 웹 검색 도구 개발 소식으로 본 실리콘밸리 시그널을 준비했습니다. 위클리 인사이트로 산업 변화의 흐름을 포착하세요!

💡위클리 인사이트: OS 차원 변화에 대비하라

구독자 여러분들의 성공과 꾸준한 성장을 위해 더밀크는 계속해서 혁신의 현장, 미래가 바뀌는 순간을 목격하고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뉴욕에서
박원익 드림

이 기사와 관련있는 기사 현재 기사와 관련된 기사들 입니다.
박원익  기자의 기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