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심 EV·배터리 공급망 재편의 열쇠는 원자재" E-모빌리티 혁신 포럼
지난 12월 7일(미국 현지시간) 애틀랜타에서 열린 '한미동맹과 E-모빌리티 혁신' 포럼에서 주제 발표자로 나선 최웅철 교수(국민대 자동차공학과)는 E 모빌리티의 미래에 대해 이렇게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 'EV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최 교수는 '원자재'를 개발하는 일에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한 대부분의 원자재가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서 조달된다"며 "이런 상황을 개선하지 않고는 미국 중심의 EV 산업 재편은 어렵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최 교수가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보고서를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전기차는 전기의 힘으로 회전하면서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Traction Motor)를 사용하는데, 대부분의 전기차는 작고 강력한 IPMSM 방식을 이용한다. 그리고 이 모터는 주로 중국, 베트남, 브라질, 그리고 러시아 등에 매장량이 높고, 이들 지역에서 생산하는 희토류에 크게 의존한다. 또 배터리 원자재 중 가장 중요한 리튬은 호주, 니켈은 인도네시아, 그리고 코발트는 콩고 등에서 생산되는데, 대부분의 원료 공정과 셀 부품, 배터리 셀 등의 생산은 중국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배터리 셀의 구성요소를 보면 음극재에 들어가는 리튬, 니켈, 코발트 비용이 51%를 차지하고, 양극재에 들어가는 흑연 비용이 12%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흑연 생산은 중국에서 이뤄진다. 최 교수는 "미국과 한국에서도 이런 원자재를 생산하기는 하지만 소량에 불과하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