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어떻게 돈벌까?... 오픈AI의 경제학

reporter-profile
박원익 2025.04.02 11:24 PDT
AI로 어떻게 돈벌까?... 오픈AI의 경제학
(출처 : 샘 알트만, GPT-4o 이미지 생성기, 애질리티 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 로봇 ‘디지트)

[위클리AI브리핑] 2025년 3월 26일~4월 01일
💸‘챗GPT 매출 30% 급증’ 오픈AI 전략 분석
🤖빅테크 모두 참전… 에이전트가 미래
🧑🏻‍💻실리콘밸리를 휩쓸다 ‘MCP’ 중요한 이유
💡인사이트: 지브리 스타일과 AI 저작권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10만 개 GPU(그래픽 처리 장치) 용량 가지고 계신 분은 최대한 빨리 연락주세요!”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각) 소셜미디어를 통해 “용량 이슈로 일부 서비스가 느려지거나 중단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GPT-4o 모델에 추가한 이미지 생성 기능에 대한 반응이 폭발적이어서 어쩔 수 없이 일부 지연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 것입니다. 

오픈AI는 현재 이미지 생성 기능을 챗GPT 무료 사용자에게도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통상 이미지 생성은 텍스트보다 훨씬 많은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합니다. 챗GPT 사용자는 5억 명에 달하죠. 오픈AI는 전력 사용, GPU 용량 확보에 따른 비용 급증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요?

💸‘챗GPT 매출 30% 급증’ 오픈AI 전략은?

샘 알트만 오픈AI 창업자 겸 CEO (출처 : 오픈AI)

팩트 요약: 오픈AI, 역대 최대 투자 유치… 스페이스X이어 2위 

1. 챗GPT의 개발사 오픈AI가 31일(현지시각) “400억달러(약 59조원) 규모의 투자 유치 라운드를 마무리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상 최대 규모의 비상장 기술 스타트업 자금 조달로 기록됐습니다.

2. 투자 정보 업체 CB인사이츠(CB Insights)에 따르면 오픈AI의 기업가치는 스페이스X에 이어 비상장 기업 중 두 번째에 해당합니다. 

왜 중요한가: 

오픈AI의 역대 최대 규모 투자 유치는 미국 주식 시장 하락,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진행됐습니다. “AI 비즈니스 중 실제로 돈을 버는 건 엔비디아밖에 없다”는 비판적 시각이 팽배한 가운데 또 한 번 놀라운 성과를 낸 것입니다. 

오픈AI의 손실 규모 및 매출 전망, 제품 출시와 사용자 확대 전략을 살펴보는 게 중요한 이유입니다. 투자자들이 오픈AI에 돈을 투자한 근거가 여기에 있을 것입니다.

👉더 알아보기: 이익보다 성장? 오픈AI, 필승 전략은(무료)

🤖빅테크 모두 참전… 에이전트가 미래

(출처 : GPT-4o 이미지 생성기, 박원익)

팩트 요약: 아마존, 노바 액트 출시… 애플 ‘프로젝트 멀베리’

1. 아마존이 31일(현지시각) 웹 브라우저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AI 모델 ‘노바 액트(Nova Act)’를 출시했습니다. 노바 액트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활용하면 AI 에이전트(agent, 대리인)를 쉽게 구축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2. 애플 역시 ‘프로젝트 멀베리(Project Mulberry)’라는 코드명으로 AI 에이전트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왜 중요한가: 

아마존의 노바 액트 출시는 오픈AI의 ‘오퍼레이터(Operator)’, 앤트로픽의 ‘컴퓨터 사용(computer use)’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됩니다. 

아마존과 애플의 참전으로 AI 에이전트 생태계가 더 빠르게 확장될 것이란 게 업계 전문가들의 관측입니다. 특히 쇼핑, 건강 영역에서 AI 에이전트 기반 자율 서비스가 곧 현실화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더 알아보기: 빅테크발 ‘에이전트 혁명’ 가속화

🧑🏻‍💻실리콘밸리를 휩쓸다 ‘MCP’ 중요한 이유

AI 커뮤니티 ‘AGI 하우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한 MCP 해커톤 현장 (출처 : AGI House)

팩트 요약: 실리콘밸리 MCP 열기 뜨거워… 데이터, 도구, AI 모델 통합

1. MCP(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는 최근 실리콘밸리에서 급부상한 프로토콜(protocol, 컴퓨터 또는 전자기기 간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규약)입니다. 앤트로픽이 지난 11월 말 오픈 소스로 공개했습니다.

2.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실제 작업을 수행하려면 방대한 외부 데이터베이스, 비즈니스 도구, 컨텐츠 저장소, 개발 환경(IDE) 등과 원활하게 연결되어야 하는데 MCP는 이 작업을 쉽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왜 중요한가: 

통상 연결이나 통합을 위해서는 각 데이터 소스에 대한 사용자 지정 코드가 필요합니다. MCP는 이러한 단편화된 커넥터를 범용 인터페이스(interface)로 대체, 개발자가 여러 데이터 소스와 함께 작동하는 ‘하나의 커넥터’를 구현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더 알아보기: AI 에이전트 잠재력 폭발... 왜?

💡위클리 인사이트: 지브리 스타일과 저작권

걸그룹 블랙핑크 사진을 기반으로 생성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출처 : 4o Image Generation, 더밀크)

오늘의 레터에서 다룬 세 가지 이슈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더밀크만의 뷰(view)를 제공해 드리는 위클리 인사이트 코너입니다. 

이번 주는 소셜미디어를 휩쓴 ‘지브리 스타일’에 대한 기사를 준비했습니다. AI 이미지 생성기로 제작한 이미지가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의견과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입니다.

👉위클리 인사이트: AI 이미지 저작권 ‘공정 이용’이 핵심(무료)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애질리티 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 로봇 ‘디지트(Digit)’ (출처 : Agility Robotics)
  • 애질리티 로보틱스, 4억달러 투자 유치디인포메이션은 31일(현지시각)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애질리티 로보틱스가 4억달러(약 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보도. 투자 전 기업가치는 17억5000만달러(약 2조5800억원)로 평가. 애질리티 로보틱스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디지트’는 아마존 창고 등에 배치된 것으로 알려짐. 

  • 일론 머스크의 xAI, 330억달러 가치로 X 인수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8일 X를 통해 “xAI가 X를 인수했다. 합병 과정에서 xAI의 기업가치는 800억달러(약 117조6800억원), X는 330억달러(약 48조5400억원)로 평가됐다”고 밝힘. X의 데이터와 xAI의 AI 모델이 완전히 통합되는 절차가 진행될 전망.

  • 런웨이, 새로운 비디오 생성 모델 Gen-4 공개AI 스타트업 런웨이가 새로운 비디오 생성 모델 젠4(Gen-4)를 공개. 4세대 모델인 젠4는 영상에 등장하는 사물, 인물, 위치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1080p 해상도에서 5~10초 분량의 정교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음.

🥳AIR 13호 엔비디아 GTC 특별판 발간!!!

AIR 13호 GTC 2025 특별 리포트 (출처 : 더밀크)

더밀크 AI인사이트리포트(AIR) 13호 GTC 2025 특별 리포트 [엔비디아, 왕조시대를 선언하다]는 오직 더밀크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프리미엄 컨텐츠입니다.

더밀크 혁신원정대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열린 GTC 2025 현장을 발로 뛰며 취재한 정보를 담았습니다. 젠슨 황 CEO 기자 간담회 분석, 산업 전문가 인터뷰, 더밀크만의 인사이트를 담은 핵심 시사점, 더밀크 리서치팀의 깊이 있는 산업 분석까지 ‘엔비디아 GTC 2025’를 총망라한 스페셜 리포트 입니다.

더밀크 기업 회원에 가입하시면 매월 발행되는 AIR을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AIR로 앞서가세요!

👉엔비디아 특별 리포트 받아보기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