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서 작동하는 AI로 싹 바뀐다

reporter-profile
박원익 2025.11.19 14:57 PDT
알아서 작동하는 AI로 싹 바뀐다
제미나이 3 사용 예시 (출처 : 구글/ 편집: 더밀크)

[위클리AI브리핑] 2025년 11월 12일~11월 18일
🤖제미나이 3 공개 의미: 에이전트 시대
👑제프 베조스, AI+우주 경쟁 뛰어들다
💡인사이트: GPU 26만장, 수요는?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안녕하세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제미나이 3(Gemini 3)에 지난 15년간 유전학 분야 10대 혁신을 담은 인터랙티브 웹 페이지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꽤 괜찮네요.”

글로벌 결제 플랫폼 스트라이프의 창업자 패트릭 콜리슨은 18일(현지시각)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 3를 사용해본 후 훌륭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복잡하게 설명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의도와 맥락을 이해해 답을 내놓을 수 있다는 점 때문이었죠.

웹 페이지 제작은 코딩을 비롯해 여러 단계의 복잡한 사고 과정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간단한 프롬프트만으로 이런 작업에 필요한 요소들을 AI가 알아서 찾고 판단해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면 모든 것이 매우 편리해지겠죠. 순다 피차이 구글 CEO가 제미나이 3에 대해 상황을 파악하는(reading the room) 수준에 도달했다고 언급한 이유입니다. 

일일이 얘기하지 않아도 찰떡같이 알아듣는 능력을 갖춘 AI. 어떤 아이디어든 현실로 만들어주는 가장 지능적인 모델. 제미나이 3는 AI 스스로 판단해 작업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시대가 더 빨라질 것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습니다.

🤖제미나이 3 공개 의미: 에이전트 시대

팩트 요약: 구글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 3, GPT-5 압도

1. 구글이 역대 최고 성능의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 3(Gemini 3)를 18일(현지시각) 공개했습니다. 

2. 사용자 요청의 의도와 맥락을 훨씬 잘 이해하기 때문에 더 적은 프롬프트(prompt, 질문)로도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다는 점, 검색 결과에 맞춰 실시간으로 코딩을 하는 생성형 UI 등이 특징입니다. 

왜 중요한가: 

제미나이 3 프로 모델은 고난도 테스트 ‘인류의 마지막 시험(Humanity's Last Exam, HLE)’에서 최고 점수(37.5%)를, 대학원생 이상의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GPQA 다이아몬드에서도 91.9%를 기록하며 박사급 추론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제미나이 3 딥 씽크 모델은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GPT-5를 압도했죠.

이런 성능 덕분에 알아서 처리해 주는 편리함이 가능해졌습니다. 구글은 에이전트 중심 개발 플랫폼 구글 안티그래비티(Google Antigravity)까지 공개하며 에이전트 AI가 진정한 인간의 사고 및 작업 파트너로 진화하는 변곡점을 만들었습니다. 

👉더 알아보기: 제미나이 3, 왜 중요한가?

👑제프 베조스, AI+우주 경쟁 가속화

(출처 : Gemini)

팩트 요약: 제프 베조스, AI 스타트업 설립

1.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가 4년 만에 공식적인 경영 일선으로 복귀합니다. AI 스타트업 프로젝트 프로메테우스(Project Prometheus, 이하 프로메테우스)의 공동설립자 겸 공동 최고경영자 역할입니다. 

2.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프로메테우스는 이미 62억달러(약 9조원)라는 천문학적인 초기 단계 자금을 확보했죠.

왜 중요한가: 

GPU(그래픽처리장치)를 비롯한 컴퓨팅 자원, 특급 인재 확보에 천문학적 비용이 필요한 AI 업계에서 62억달러라는 큰 자금은 든든한 무기입니다. 이 자금에는 베조스 본인의 출자금도 포함돼 있습니다.

베조스가 막대한 자금을 AI 스타트업에 투입해 만들려는 것은 무엇일까요?

👉더 알아보기: 프로메테우스, AI+우주 경쟁 판도 바꿀까

💡인사이트: GPU 26만장, 수요는?

(출처 : 엔비디아 블로그, 더밀크)

오늘의 레터에서 다룬 세 가지 이슈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더밀크만의 뷰(view)를 제공해 드리는 위클리 인사이트 코너입니다. 

이번 주는 엔비디아가 한국에 공급하기로 한 GPU 26만장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고민하며 액션 플랜을 제안하는 기사를 준비했습니다. AI 혁명에 본격적으로 동참하기 위해 한국은 어떤 숙제를 풀어야 할까요?

👉위클리 인사이트: 공공 AI 수요가 중요하다… 어떻게?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월드모델 ‘마블’로 생성된 3D 영상 캡처 (출처 : World Labs)
  • 월드랩스 3D 환경 생성 월드 모델 마블 공개월드랩스는 12일(현지시각)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3D 레이아웃으로 지속적 3D 환경을 생성할 수 있는 최초의 상용 월드 모델 ‘마블(Marble)’을 공개. 구글의 지니(Genie) 모델 대비 앞선다는 평가. 월 20달러부터 시작하는 유료 요금제로 제공.

  • AI 코딩 스타트업 커서, 기업가치 43조원 달성AI 코딩 스타트업 커서(법인명: 애니스피어)는 13일 시리즈 D 투자금 23억달러를 조달하며 기업가치가 293억달러(약 43조원)에 도달했다고 발표. 2023년 설립된 커서는 300명 이상의 엔지니어, 연구원, 디자이너, 운영자로 구성된 팀으로 성장.

  • xAI, 창의성·감성 지능 강화한 그록 4.1 출시xAI는 17일 창의적, 감정적, 협업적 상호작용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는 그록 4.1을을 출시했다고 발표. 미묘한 의도를 더 잘 파악하고, 대화하기에 매력적이며, 일관된 성격을 유지한다는 설명. 

구독자 여러분들의 성공과 꾸준한 성장을 위해 더밀크는 계속해서 혁신의 현장, 미래가 바뀌는 순간을 목격하고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뉴욕에서
박원익 드림

이 기사와 관련있는 기사 현재 기사와 관련된 기사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