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의 5년 레터에 담긴 5가지 투자 원칙과 교훈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지난 11월 10일 "조용히 떠난다"며 마지막 투자자 편지를 공개했다. 이 서한은 형식상으로는 "더 이상 연례보고서를 쓰지 않겠다"는 선언과 함께 주주들에게 보내는 연례 투자설명 레터였다. 하지만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워런 버핏의 유언장과 같은 레터였다.워런 버핏은 버크셔 해서웨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1977년부터 주주레터를 보내고, 이를 공개해왔다. 그 중 지난 다섯 해(2021~2025)에 걸친 워런 버핏의 주주서한은, 그의 60년 투자 여정의 ‘마지막 장(章)’으로서 단순한 투자 보고가 아니라 인생철학·자본주의·인간관계에 대한 유언으로 읽힌다.지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AI 중심의 기술 격변의 시대였다. 하지만 버핏의 5년간 주주서한을 분석하면, 흥미로운 패턴이 드러난다. 오픈AI가 몇 년 만에 1,570억 달러 밸류에이션을 기록하고, 엔비디아가 5조 달러 시총을 돌파하는 동안, 버핏은 여전히 1988년에 매수한 코카콜라와 1995년에 산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이야기를 하고 있다.더밀크는 지난 2022년 대규모 취재단을 파견,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주주총회에 다녀오기도 했다. '유행'과 '트렌드'가 지배하는 기술 및 투자 세계 속에서 워런 버핏이 투자자 레터를 통해 조언하는, 한국이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놓치지 말아야 할 5가지 원칙을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