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앱’ 챗GPT, 미래 OS인 이유

reporter-profile
박원익 2025.10.08 07:14 PDT
‘슈퍼앱’ 챗GPT, 미래 OS인 이유
오픈AI 데브데이 2025 & 리사수 AMD CEO와 샘 알트만 (출처 : 오픈 AI / 편집: 더밀크)

[위클리AI브리핑] 2025년 10월 1일~10월 7일
💬챗GPT, 미래 OS 되다: 상호작용 혁신
⛓️‘AI 인프라 제국’ 오픈AI-AMD 동맹
🎥Sora가 촉발한 AI 영상 시대 ‘3대 이슈’
💡인사이트: 손영권 하만 의장 단독 인터뷰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안녕하세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강아지 산책 비즈니스를 위한 포스터를 만들어줘. 밝고 기발한 느낌에 산세리프 폰트를 사용해 줘.”

2025년 10월 6일(현지시각) 샌프란시스코 포트 메이슨(Fort Mason), 오픈AI 개발자 컨퍼런스 데브데이(DevDay) 2025 현장. 

시연을 지켜보던 청중이 예상했던 ‘텍스트 기반 답변’ 대신 놀라운 광경이 펼쳐졌습니다. 챗GPT의 대화창 안에서 글로벌 디자인 툴 ‘캔바(Canva)’가 자연스럽게 구동된 것이죠. 시연을 담당한 엔지니어 알렉시 크리스타키스는 캔바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별도의 앱을 실행하지 않은 채 챗GPT 화면에 머물러 있었고, 챗GPT는 알아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완벽하게 반영, 여러 개의 포스터 시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날 시연은 단순한 신기능 발표가 아니었습니다. 인간과 컴퓨터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변화를 선포하는 자리였습니다. 오픈AI가 이날 공개한 앱 인 챗GPT(Apps in ChatGPT)는 개별 앱을 사용자가 찾아가야 할 목적지가 아니라, 필요에 따라 AI가 호출하는 도구로 바꾸었습니다.

💬챗GPT, 미래 OS 되다: 상호작용 혁신

샘 알트만 오픈AI CEO (출처 : OpenAI, 이미지 편집=Gemini, 박원익 )

팩트 요약: 오픈AI 데브데이 2025 핵심 분석

1. 오픈AI 데브데이 2025의 핵심 발표는 단연 ‘앱 인 챗GPT(Apps in ChatGPT)’였습니다.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이 챗GPT 대화창 안에서 직접 실행될 수 있게 만드는 게 핵심입니다. 

2. 기술적 기반은 새롭게 공개된 ‘앱스 SDK(Apps SDK)’와 앤트로픽의 오픈소스 표준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MCP)’이며 부킹닷컴, 캔바, 코세라, 익스피디아, 피그마, 스포티파이, 질로우 등 다양한 앱이 첫 번째 파트너로 참여했습니다. 

왜 중요한가: 

앱 인 챗GPT 생태계는 애플과 구글이 구축한 앱 스토어 독점 체제에 대한 실존적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오픈AI가 개발자를 위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사용자를 위한 앱 디렉토리(App Directory)를 제공하며 마치 모바일 OS(운영체제) 같은 전체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변화의 본질은 컴퓨팅의 중심축이 ‘앱’에서 ‘의도(Intent)’로 이동한다는 점입니다.

👉더 알아보기: 의도 계층을 장악하라… 오픈AI의 비전

⛓️‘AI 인프라 제국’ 오픈AI-AMD 동맹

(출처 : AMD, OpenAI, 편집=Gemini, 박원익)

팩트 요약: 거래 핵심은 6기가와트와 10% 지분 옵션

1. 이와 같은 오픈AI의 신기능·신모델 개발 전략은 강력한 AI 인프라 파트너십으로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2. 오픈AI는 6일 차세대 AI 인프라 구축에 6기가와트(GW) 규모의 AMD GPU를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양사의 이해관계를 강력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오픈AI는 AMD 주식의 약 10%인 최대 1억6000만 주에 대한 워런트를 단계적으로 받게 됩니다.

왜 중요한가: 

AMD는 AI 연산에 활용되는 GPU(그래픽처리장치)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독주 속에서도 유일하게 유의미한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엔비디아에 이어 AMD와도 강력한 파트너십을 발표함으로써 오픈AI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AI 반도체를 가장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입지를 확보했습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AI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엔비디아라는 막강한 동맹군에 더해 AMD라는 또 하나의 핵심 파트너를 확보하는 ‘양면전략’을 구사한 셈이죠.

👉더 알아보기: 위험 분산과 공급망 다변화… 한국의 기회는?

🎥Sora가 촉발한 AI 영상 시대 ‘3대 이슈’

X에 바이럴 되고 있는 소라 2로 제작된 샘 알트만이 등장하는 가짜 영상 (출처 : X @bearlyai, @K8292288065827, @Eleven_Hologram)

팩트 요약: 폭발적 반응… ‘카메오’ 기능 주목

1. 미국 앱스토어 인기 순위 3위. 오픈AI가 9월 30일 출시한 AI 영상 생성 앱 소라(Sora)가 단 이틀 만에 기록한 성과입니다. 

2. 제미나이와 챗GPT는 누구나 사용 가능한 앱인 반면, 소라는 초대 코드가 있어야 접속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폭발적인 반응이죠.

왜 중요한가: 

차세대 영상 생성 모델 ‘소라 2(Sora 2)’ 기반 소셜미디어 앱 소라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영상 제작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란 평가를 내놓고 있습니다. 

영상 속에 자신과 생성에 동의한 친구를 쉽게 등장시킬 수 있는 카메오(Cameo) 등 놀라운 퍼포먼스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AI 영상 아바타와 실제 인물을 구별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기술이 발전했습니다. 

이런 급격한 변화에는 부작용도 따르기 마련입니다. 피카츄, 마리오 같은 닌텐도 캐릭터부터 스폰지밥, 미국의 인기 애니메이션 ‘사우스 파크’의 등장인물, 맥도날드 캐릭터 로날드 등 저작권으로 보호받는 다양한 캐릭터가 영상에 등장하며 저작권 위반 이슈가 부상했습니다.

👉더 알아보기: “성적 딥페이크 생성 확률도 존재” 소라의 명과 암

💡위클리 인사이트: 손영권 하만 의장 단독 인터뷰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더밀크와 만나 인터뷰하는 손영권 하만 의장 (출처 : 더밀크 박원익)

오늘의 레터에서 다룬 세 가지 이슈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더밀크만의 뷰(view)를 제공해 드리는 위클리 인사이트 코너입니다. 

AI 인프라 경쟁에 따른 AI 반도체, HBM 등이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글로벌 반도체 산업 리더이자 구루인 손영권 하만(HARMAN) 의장의 인사이트를 준비했습니다. 

삼성전자 수석 고문, 글로벌 전장 기업 하만 이사회 의장, 세계 최대 반도체 IP 기업 Arm 이사회 멤버, TSMC와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식 EDA(전자 설계 자동화) 파트너사인 케이던스 이사회 멤버, 립 부탄 인텔 CEO와 함께 설립한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 월든 카탈리스트의 매니징 파트너를 맡고 있는 손 의장은 한국의 AI 3강 목표, K반도체의 미래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위클리 인사이트: AI 쓰나미 속 한국의 생존 전략은 이것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의 공동 창업자 마크 앤드리슨(Marc Andreessen) (출처 : Stripe 유튜브 캡처, a16z, Gemini 편집)
  • 세계 최대 벤처투자자가 본 AI시대 성공법세계 최대 벤처캐피털(VC) 중 하나인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의 공동 창업자 마크 앤드리슨(Marc Andreessen)이 1일(현지시각) 현재의 AI 열풍과 미래 기술의 방향에 대해 심도 깊은 진단을 내놓음. 특히 “닷컴버블은 거의 전적으로 통신(Telco) 버블이었고, 통신 붕괴였다”며 현재 AI와는 상황이 다르다고 강조.

  • AI 시대 미래 트렌드, 경쟁력 제고 3대 전략블리츠스케일링 벤처스의 제너럴 파트너로서 초기 단계 AI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제레미아 오양이 인터뷰를 통해 실리콘밸리에서 성공하는 AI 스타트업의 특징을 설명. 그가 이끄는 AI 펀드는 링크드인 공동 창업자이자 블리츠스케일링의 공동 저자인 리드 호프만이 특별 고문이자 주요 출자자(LP)로 참여.

  • 오픈AI, 스페이스X 제치고 세계 최대 비상장 스타트업 등극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오픈AI는 5000억달러(약 708조원)의 회사 가치로 직원들이 주식을 매각하는 거래를 완료. 이 거래로 직원들은 약 66억달러 규모 주식을 스라이브 캐피털, 소프트뱅크 그룹 등 기관 투자자에 매각. 이로써 오픈AI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를 제치고 세계 최대 비상장 스타트업에 등극.

구독자 여러분들의 성공과 성장을 위해 더밀크는 계속해서 혁신의 현장, 미래가 바뀌는 순간을 목격하고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뉴욕에서
박원익 드림

이 기사와 관련있는 기사 현재 기사와 관련된 기사들 입니다.
박원익  기자의 기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