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내 몸의 면역을 지키는 수호자: 2025 노벨 생리의학상의 의미
우리의 몸은 매일 수많은 미생물, 바이러스, 세균과 싸워야 한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면역계는 잘못 작동하면 자기 몸의 세포나 조직을 공격할 수도 있다.그래서 면역계는 ‘방어’와 ‘관용(자기 세포를 공격하지 않음)’ 사이의 섬세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예전에는 이 균형이 주로 흉선(가슴 중앙의 면역기관) 안에서 이루어진다고 생각했다. 즉, 자기 몸을 공격할 위험이 있는 T세포는 흉선에서 미리 제거된다고 믿었던 것이다.하지만 사카구치 박사와 그의 연구진은 이런 기존 생각에 도전했다. 그는 몸의 말초 조직에서도 면역 조절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라는 특별한 면역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유전자 퍼즐, Foxp3와 조절 T세포의 연결 고리사카구치 박사의 초기 발견 이후, 메리 브런코와 프레드 램즈델은 유전학을 이용해 중요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들은 일부 생쥐가 자가면역 질환에 잘 걸리는 이유가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그 유전자는 Foxp3라고 불리며,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연구 결과, 이 유전자가 조절 T세포의 발달과 기능에 꼭 필요하다는 점이 드러났다.더 나아가 인간에서도 Foxp3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아이펙스 증후군(IPEX 증후군) 같은 심각한 자가면역 질환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확인됐다.이후 사카구치 박사는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해, Foxp3 유전자가 조절 T세포의 형성과 작동 원리를 조정한다는 메커니즘을 확립했다. 이로써 면역계가 '스스로를 공격하지 않는 법'을 배우는 원리가 명확해졌다. 이 발견은 단순한 과학적 호기심을 넘어, 자가면역 질환 치료의 길을 여는 결정적인 단서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