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AI 스타트업 앤트로픽이 35억달러(약 5조1000억원) 규모의 시리즈 E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이번 투자 유치로 앤트로픽의 기업가치는 615억달러(약 89조원)로 껑충 뛰었다. 앤트로픽은 3일(현지시각)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Lightspeed Venture Partners)의 주도로 35억달러를 유치했다. 투자 후 기업가치는 615억달러”라고 공식 발표했다. 앤트로픽은 이로써 스페이스X,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오픈AI, 스트라이프, 중국계 이커머스 스타트업 쉬인(SHEIN), 데이터 통합 플랫폼 데이터브릭스에 이어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기업가치가 큰 비상장 스타트업에 등극했다. 국내 상장 기업 시가총액과 비교하면 3위에 해당하는 규모다. 삼성전자(325조원), SK하이닉스(138조원) 보다는 적고 LG에너지솔루션(82조원) 보다 크다.
박원익 2025.03.03 12:16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매주 수요일 발행하는 ‘AI인사이트’를 통해 AI 리더들의 전략, 글로벌 테크업계 최신 흐름 및 중요 시그널을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오픈AI는 매물로 내놓은 기업이 아니다(It's not for sale).”샘 알트만 오픈AI 공동창업자 겸 CEO는 11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 ‘AI 액션 서밋’ 현장에서 진행된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머스크는 우리의 속도를 늦추고 싶어 하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투자자 컨소시엄이 오픈AI 비영리법인(nonprofit)을 인수하겠다고 나서자 강하게 응수한 것입니다. 머스크는 전날 974억달러(약 141조원) 규모 인수 제안이라는 카드를 꺼내며 세계 최고 AI 기업 중 하나인 오픈AI를 세차게 흔들었습니다.
박원익 2025.02.12 11:52 PDT
윤송이 NC문화재단 이사장이 1억달러(약 145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AI 투자 펀드를 조성했다. AI 기술의 높은 잠재력을 활용해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 갈 AI 스타트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윤 이사장은 오는 1월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VIP 네트워킹 컨퍼런스 ‘K-이노베이션 나이트’의 기조연설을 맡아 AI 기술의 잠재력과 미래, 한국 AI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공유할 예정이다. 20일 확인한 SEC 공시에 따르면 PVP(Principal Venture Partners)는 스탠퍼드대가 위치한 실리콘밸리 팔로알토에 사무실을 두고 있으며 윤 이사장이 제너럴 파트너를 맡고 있다. 윤 이사장은 “창업자들은 다양한 관점을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조언자를 원한다”며 “높은 AI 이해도, 연구 경력을 갖춘 PVP 투자팀이 창업자들에게 AI 기술 및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박원익 2024.12.20 11:07 PDT
‘챗GPT는 전 세계에서 8번째로 큰 웹사이트입니다. 지난 2년간 우리는 정말 많은 일을 했습니다.”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1월 8일 X(옛 트위터)를 통해 이렇게 말했다. 2022년 11월 30일 출시된 대화형 AI, 챗GPT가 세계 최대 트래픽을 가진 웹사이트 중 하나로 성장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챗GPT의 등장은 전 세계에 AI 광풍을 일으켰으며 생성 AI는 지금 이 순간에도 기술업계 지형도를 바꾸고 있다. 챗GPT 2주년을 맞은 미국 기술업계는 현재의 생성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박원익 2024.11.25 17:47 PDT
오픈AI가 사상 최대 규모의 벤처캐피털(VC)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오픈AI는 2일(현지시각) 회사 블로그를 통해 66억달러(약 8조7000억원) 규모의 투자금 조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기업 가치는 1570억달러(약 208조1800억원)로 평가받았다. 이번 투자 계약은 역대 최대 규모의 비상장 기업 투자(private investments)로 기록됐다. 이번 투자는 조시 쿠슈너가 이끄는 VC인 스라이브 캐피털(Thrive Capital)이 주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스라이브 캐피털은 13억달러를 투자했으며 기존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기존 투자금 130억달러에 더해 7억500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했다. 코슬라 벤처스, 피델리티 매니지먼트 & 리서치, 엔비디아, 소프트뱅크그룹,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 알티미터 캐피털 등도 투자에 참여했다. 투자 협상을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진 애플은 참여하지 않았다.오픈AI는 블로그 게시물에서 “모든 인류에게 AI로 혜택을 준다는 미션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며 “매주 전 세계 2억50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업무, 창의성,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해 챗GPT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이어 “자금 조달을 통해 첨단 AI 연구 분야의 리더십을 강화하고, 컴퓨팅 능력(capacity)을 확대하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를 지속적으로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최첨단 AI를 널리 이용되는 자원(resource)으로 만드는 게 오픈AI의 목표”라고 덧붙였다.
박원익 2024.10.02 15:45 PDT
페이페이 리 스탠퍼드대 교수 겸 월드랩스 CEO는 “시각적 공간 지능(Visual spatial intelligence)은 언어만큼이나 근본적(fundamental)”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5억4200만 년 전 고생대 캄브리아기가 시작되며 다양한 생물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처럼 ‘공간 지능’ 기반의 폭발적 혁신, 기회가 창출될 것이란 주장이다. 리 CEO는 19일(현지시각) 공개된 실리콘밸리 VC a16z와의 대담에서 자신이 창업한 AI 스타트업 ‘월드랩스(World Labs)’와 월드랩스가 추구하는 공간 지능의 의미 및 잠재력에 관해 설파했다. 인간의 지능에는 여러 측면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언어 지능이며 언어 지능만큼 근본적인 게 공간 지능이라는 주장이다. 공간 지능은 시각 정보를 인식, 처리하는 능력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공간 지능을 통해 인간은 주변 세계를 이해하고, 직관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리 CEO는 “더 많은 가능성, 미지의 세계를 열어준다는 게 좋은 기술의 마법”이라며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것이다. 가능성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창작, 디자인, 학습, AR/VR, 로봇 공학 등에 공간 지능이 활용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월드랩스는 이를 위해 ‘대규모 월드 모델(LWM)’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리 CEO의 대담한 비전에 a16z, NEA 등 실리콘밸리 톱 VC(벤처캐피털)들은 2억3000만달러(약 3000억원)를 초기 투자로 쏟아부었다. 2006년 이미지넷 프로젝트를 시작, 딥러닝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긴 ‘AI 대모(Godmother)’와 월드랩스 공동창업자들이 공간 지능을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
박원익 2024.09.27 18:09 PDT
오픈AI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미라 무라티가 6년 반 만에 회사를 떠난다.무라티 CTO는 25일(현지시각) 회사 팀원들에게 보낸 메모를 통해 “많은 고민 끝에 오픈AI를 떠나는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며 “소중한 곳에서 떠나기에 이상적인 시기는 없지만 지금이 바로 그 순간인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저만의 탐구(exploration)를 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만들고 싶어서 물러나려고 한다”며 “지금은 우리가 쌓아온 모멘텀을 유지하면서 순조로운 전환을 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원익 2024.09.25 13:52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