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원짜리 생산 수단이 모두의 손에” 트렌드쇼에서 배운 것들
지난 10년간 나는 실리콘밸리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 슈퍼파워를 가지고 살았다. 나의 한시간은 다른 사람의 한시간보다 월등히 많은 가치를 생산했다. 한줄 한줄의 코드가 전 세계 트위터, 에어비앤비 사용자에게 전달되었고, 내가 만든 백엔드가 수많은 결제를 처리했다. 나는 그렇게 같은 시간 동안 평균보다 많은 돈을 벌어왔다.그런데 AI 시대가 오면서 나의 슈퍼파워에 두 가지 극적인 변화가 생겼다.첫째, 내 슈퍼파워가 전에 비해 100배 이상 강해졌다. 이전에 10명이 1년동안 만들던 앱을 혼자서 1주일이면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그러면서 여러 앱을 동시에 만들기도 하고, 음악도 작곡하고, 영상도 만들고, 책도 쓸 수 있게 되었다. 상상도 못하던 능력들이 나에게 주어졌다.그런데 둘째, 내 슈퍼파워를 누구나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의 가치는 급전직하한다. 내가 100억을 가지고 있어도 모두가 100억을 가지고 있으면 현금의 가치가 떨어질 뿐이다. 옛날에 다른 사람이 천만원씩 가지고 내가 1억을 가지고 있을 때에 비해 내가 가진 가치는 떨어지고 돈 자체의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이것이 바로 김대식 KAIST 교수가 트렌드쇼2026에서 경고한 "노동 가치 제로의 시대"다. 그는 2022년 말 ChatGPT 등장 이후 소프트웨어 개발자 일자리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신입과 경력이 적은 개발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공지능을 사용하지 않는 개발자들은 더 이상 생존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그의 진단은 내가 현장에서 체감하는 현실 그 자체다.👉김대식 교수, "노동가치 제로되고 자본만 남을 것"...2045 생존 시나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