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교과서에 갇힌 한국 교육 ... 미국은 대대적 'AI 교육 전환' 실험 중
인공지능(AI) 기술이 미국의 공교육 환경을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과거 노트북과 태블릿이 교실 한 켠을 차지하던 시대를 지나, 이제는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Gemini) 같은 생성 AI가 학생들의 학습 파트너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미국 오하이오주가 대표 사례다. 오하이오는 지난 6월 8일 주 내 모든 공립 K-12 학교(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서 AI 활용에 대한 정책을 내년 7월까지 수립하도록 의무화했다. 챗GPT 등 생성형 AI 도구의 확산에 따른 교육 현장의 혼란을 줄이고, AI를 교육 혁신의 도구로 적극 활용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에서도 선도적인 입법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그동안 여러 주가 교직원 및 학생의 AI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수준의 권고안을 발표한 바 있지만, 실제 정책 수립을 의무화한 것은 이례적이다.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시 교육청의 크리스토퍼 록하트 최고정보책임자(CIO)는 지난 6월 교육위원회 회의에서 “AI는 다른 기술과 빠르게 융합하며 발전하고 있다"며 "지나치게 경직된 기준은 오히려 교육 혁신을 가로막을 수 있다. 유연하고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미국 교육계의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워싱턴주의 켈소(Kelso) 지역 중·고등학교는 올해부터 구글 제미나이를 활용, 학생들이 조사 과제나 글쓰기 활동을 수행하도록 했다. 또 뉴저지주 뉴어크의 초등학교에선 칸아카데미의 AI가 학생의 수준에 맞는 학습 그룹을 자동으로 편성하고 수업 중에는 실시간으로 학생 질문에 응답하는 ‘AI 조교’ 역할을 맡고 있다. 조사나 글쓰기를 넘어 아예 수업 디자인과 보조 역할까지 AI에게 맡긴 확장 사례다. 대학교도 예외는 아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CSU) 시스템은 46만 명의 학생에게 챗GPT 접근권을 제공하는 계약을 오픈AI와 체결했다. 약 1700만 달러(약 230억 원) 규모다. 주정부의 예산 삭감 속에서도 대학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는 명확하다. 코딩, 디지털 아트, 에세이 첨삭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실질적인 학습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