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코로나19 대표적 수혜주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티커: ZM)이 성장 둔화 우려를 보란듯이 깨고 또 한번의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3분기 연속 350%가 넘는 매출 성장세를 이뤘고 정상생활 복귀 가능성이 커진 올해도 매출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그야말로 ‘줌메이징(Zoom+Amazing)’한 어닝 서프라이즈다. 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장 마감 후 올해 1월로 끝나는 2021년 회계연도 4분기(2020년 11월~2021년 1월) 실적발표에서 주당순익(EPS) 1.22달러, 매출 8억8250만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전망치인 주당 79센트의 EPS와 8억1180만달러의 매출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특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69% 급증해 3분기 연속 350% 이상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로써 2021 회계연도에만 14억달러(약 1조 5710억원)의 현금을 창출해냈다. 전분기에 66.7%로 소폭 하락했던 총마진율은 69.7%로 다시 올라왔다. 또한 직원수 10명 이상을 둔 기업고객수가 전년 동기 대비 470%, 전분기 대비 354% 증가한 46만7100명을 기록했다. 줌의 또다른 주력 비즈니스인 ‘줌폰’의 성장세도 두드러졌다. 통화 경로와 음성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줌폰은 4분기 100만건 이상의 결제건수를 기록했다. 한편 시장에서 가장 주목했던 올해 실적 가이던스도 상향 조정했다. 2022년 회계연도 1분기 줌은 매출 9억~9억5000만달러, EPS 95~97센트를 전망해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 또 2020년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 3.59~3.65달러의 EPS, 37억6000만~37억8000만달러의 매출을 전망했다. 이는 전년 대비 42% 성장률이다. 에릭 위안 줌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는 줌에 전례없던 해로 강력하게 마무리지었다”며 “우리는 팬데믹에 대응해 고객과 글로벌 커뮤니티에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업을 크게 확장했다”고 말했다. 이어 “2022년 회계연도에 접어들면서 우리는 혁신적인 비디오 통신 플랫폼과 함께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브랜드, 고객에게 행복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는 팀을 통해 강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실적 및 전망에 줌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10% 가까이 급등 중이다.
송이라 2021.03.01 14:18 PDT
한편 25일(현지시간)은 도어대시(Doordash)와 에어비앤비(Airbnb)가 지난해 말 상장 이후 처음으로 실적을 공개하는 날이었다. IPO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실제 이들이 어떤 성적표를 들고 왔는지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뚜껑을 열어보니 팬데믹이란 특수상황에 큰 영향을 받았던 두 회사의 시간외 주가 방향은 엇갈렸다.도어대시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9억7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음식배송 서비스가 주요 비즈니스인 만큼 코로나19 대유행에 직접적인 수혜를 받은 결과다. 특히 경쟁사인 우버이츠, 그럽헙(Grubhub)과는 달리 레스토랑, 식료품뿐 아니라 편의점에서도 배달을 했고 최근에는 식료품점 샘스클럽(Sam's Club)의 약국에서 처방전을 배달하는 등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매출은 전망치를 웃돌았지만, 손실 규모도 급증했다. 지난해 4분기 순손실은 3억1200만달러로 직전년도 1억3400만달러보다 2배 이상 불어났다. 회사측은 “올해 전망이 매우 불확실하다”며 “팬데믹이 끝나고 정상생활로 돌아가면 일부 역풍을 예상한다”고 말하며 우려감을 키웠다. 그 결과 시간외 거래에서 도어대시는 12% 가까이 급락했다.에어비앤비는 도어대시와는 반대로 코로나19로 초반에 큰 타격을 입은 기업 중 하나였다. 지난해 2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무려 67% 감소했고 25%에 달하는 근로자를 구조조정 해야만 했다. 하지만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면서 팬데믹 상황을 기회로 전환하면서 상황은 급반전됐다. 예컨대 재택근무자들과 안전한 여행을 원하는 사람들이 필요할 만한 옵션을 제공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했다. 집이 답답해 어디든 가고 싶은 사람들은 에어비앤비를 통해 도심과 멀리 떨어진 고즈넉한 오두막 등을 장기예약하기 시작했다.그 결과 4분기 매출은 8억59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해 감소폭이 크게 줄었다. 같은 기간 총예약금액(gross booking value)은 59억달러로 전년 대비 31% 줄었다. 시장 예상보다 훨씬 선방한 수준이다. 그야말로 위기를 기회로 이용한 셈이다.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이 잦아들면서 벌써부터 여행수요가 꿈틀거리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에어비앤비에는 더할 나위 없는 청신호다. 브라이언 체스키(Brian Chesky) 에어비앤비 공동창립자 겸 CEO는 "지난해 당사의 실적은 우리가 본질적으로 적응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여행 수요는 다시 살아나고 있으며 우리는 또 이 반등을 준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그 결과 에어비앤비는 시간 외 거래에서 0.3% 소폭 상승했다.
송이라 2021.02.25 23:21 PDT
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 우려감에 약세 마감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5% 가까이 하락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0.09% 상승한 3만1521.69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S&P500지수는 같은 기간 0.77% 내린 3876.50에, 나스닥 지수는 2.46% 급락한 1만3533.05에 마감했다. 이날 시장은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며 기술주를 중심으로 증시에 부담을 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 장중 한 때 1.39% 부근까지 고점을 높이다 1.37%로 상승폭을 다소 줄였다. 지난해 2월 이후 최고 수준에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미국형님' 데이비드 리 테일러투자자문그룹 최고투자책임자(CIO)는 "10년물 국채금리가 급격하게 올랐다는 얘기는 국채 수요가 늘어난다는 뜻이고 이는 주식시장에 일부 자금이 회수돼 채권시장으로 갔을 수 있다"며 "인플레에 대한 시장의 불안심리로 그동안 많이 오른 성장주 중심으로 빠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리 CIO는 올해 들어 진행되고 있는 섹터 로테이션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도 업종별로 내구소비재와 기술, 유틸리티 업종은 2% 내외의 낙폭을 보인 반면 에너지는 3.5% 올랐고 금융과 부동산도 0.5% 이상 상승하는 등 지난해와는 다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는 "기술업종에서 항공과 석유, 여행 등으로 섹터 로테이션이 진행되고 있다"며 "각자의 포트폴리오를 테크주로만 구성했다면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미국형님' 방송 중 언급했던 종목들 중 이유 없이 하락한 기업들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큐델(티커:QDEL)과 비바시스템(티커:Veev) 등이다.
송이라 2021.02.22 17:05 PDT
소셜 미디어 서비스 페이스북(Facebook)이 2020년 4분기 사상 최대 매출과 이익 기록을 세웠다. 코로나 팬데믹에 재빠른 대응으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서 잡았다는 평가다. 페이스북은 27일(수) 2020년 4분기 실적발표에서 280억7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동기(210억8000만 달러) 대비 33%(70억 달러)가 급증한 것이다. 순이익(net income)도 52%나 수직 상승(112억2000만 달러)했다. 주당 이익은 3.88달러를 기록, 월가의 예측을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핵심 비즈니스 모델인 광고 매출이 호조를 보인 것이 어닝 서프라이즈의 비결이었다. 페이스북 광고 삭제 운동이 있었음에도 광고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31% 늘어난 272억 달러를 기록했다. 또 다른 비결은 '상거래'였다. 페이스북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에 온라인 상거래가 급증했다. 이용자도 늘었다. 4분기 일일 활동 이용자(Daily Active Users)는 1억8400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했다. 월간 이용자(monthly users)도 28억 명으로 월가 예상(27억6000명)을 뛰어넘었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속 여행이나 모임을 하지 못한 여파가 크다. 인스타그램과 왓츠앱 이용자를 합치면 이 기간 동안 페이스북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소통한 인구는 33억 명까지 올라간다.이날 페이스북은 25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3개월 동안 주가 흐름이 평균에 못 미쳤기 때문이다. 주가에는 실적과 함께 규제 이슈, 사회 문제 등이 반영돼 있다. 다시 말해 회사 미래 가치가 다소 불확실하는 의미다.
Hajin Han 2021.01.29 09:08 PDT
케이블TV 1위 사업자 컴캐스트(Comcast)가 케이블 인터넷 사업 호조로 유니버설스튜디오 테마파크, 영화사업 부진의 그림자를 지웠다. 이 회사도 스트리밍 서비스 '피콕(Peacock)'을 회사의 미래로 꼽았다. 컴캐스트는 28일(현지시간) 실적발표에서 2020년 4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33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코로나 팬데믹 속 인터넷 사업(Xfinity) 호황으로 만들어 낸 실적이다. 컴캐스트의 순이익 상승은 인터넷 사업이 이끌었다. 컴캐스트는 4분기 53만8000명의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순증을 기록했다. 전체 신규 가입자는 2020년말 기준 200만 명 수준이다. 반면, 매출은 2.4% 하락한 277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테마파크 부문과 영화 사업이 부진을 면치 못했기 때문이다.
Hajin Han 2021.01.28 22:04 PDT
이번 주(25일~30일)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지난해 4분기 성적표(실적) 공개를 앞두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을 시작으로 구글, 스냅챗, 핀터레스트 등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실적을 줄줄이 공개한다. 특히 페이스북 실적은 소셜미디어 산업의 오늘과 내일을 알려주는 신호가 될 전망이다. 페이스북은 코로나 팬데믹 와중에 정보의 중요한 유통 채널이 되며 급성장했지만 반독점 이슈, 검열 논란, 오남용 정보 유통 등으로 집중 견제를 당했다. 이런 문제가 실적에 어떻게 반영 됐는지에 대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페이스북의 27일(현지시간) 실적 발표를 프리뷰해본다.
Hajin Han 2021.01.26 17:39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