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의 공격적인 통화 정책에 대한 두려움이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여기에 기대를 걸었던 4분기 기업실적발표 시즌에서 나타나는 기업들의 실적은 비용상승 압박에 흔들리는 회사들의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 12월부터 비용상승과 금리인상에 대응할 수 있는 요인으로 가격결정력, 그리고 밸류에이션에 대해 노래를 불렀는데요. 이번 4분기 기업실적발표 시즌에서 주가의 향방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그걸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바로 웰스파고와 JP모건, 그리고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입니다.현재 시장은 연준이 정책 기조를 아주 빠르게 전환하면서 시장이 완전한 방어모드로 돌입한 모습입니다. 예를 들면 연준이 쏜 화살들이 하늘을 새까맣게 덮으며 쏟아져 내리는 형국이죠. 방패를 들지 않으면 쓰러질 수밖에 없습니다. 먼저 공격을 가하는 건 연준의 정책 전환입니다. 올해 최소 3번에서 이미 4번의 금리인상이 시장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작년 10월만 해도 올해 1번의 금리인상을 예상했다는 것에서 이게 얼마나 급하고 정신없는 연준의 정책 전환인지 잘 아실 수 있을 겁니다. 한마디로 연준이 정책 오류를 인정하고 이를 급하게 시정하려고 하면서 시장이 나가떨어지는 형국이죠.급한 금리인상은 기업과 투자자에게 모두 좋지 않죠. 먼저 기업으로서는 차입금이 늘어나기 때문에 안 좋은데요. 대출을 많이 받고 부채가 많은 성장주에는 특히 안 좋겠죠. 제로금리 하에서는 이자를 적게 내고 채권을 발행해도 이자가 적기 때문에 최상의 환경이지만 금리가 오를수록 이자도 많이 내야하고 자금 조달도 어려워집니다. 이전에는 100을 벌어 이자로 1을 냈다면 이제는 이자로 5에서 10도 낼 수 있으니 순수익을 만들기도 어려워집니다. 반대로 투자자로서도 좋아질게 없습니다. 어떤 성장주의 미래 가치를 100을 보고 투자를 했다면 제로금리에서는 100의 미래가치가 지금도 100이지만 금리가 오를수록 미래가치의 100은 현재의 90이 됩니다. 왜냐하면, 현재의 10은 미래에는 금리를 적용받으면 12도 되고 15도 될 수 있기 때문이죠. 일종의 할인율이 적용되는 겁니다. 당연히 금리인상 기조가 강해질수록 순수익이 없고 손실만 나는 기업, 그리고 부채가 많은 기업은 밸류에이션의 조정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기름이 쭉 빠지는 거죠. 바로 순수익이 약한 성장주가 그렇습니다.
크리스 정 2022.01.20 22:27 PDT
전일(19일, 현지시각) 미 증시는 급속도로 상승해 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미 국채금리에 나스닥이 공식적인 조정장에 진입하는 등 투자심리가 극도로 악화되며 하락세로 마감했다. (다우 -0.96%, 나스닥 -1.15%, S&P500 -0.97%, 러셀2000 -1.60%)나스닥은 연준의 공격적인 정책 전환에 대한 두려움으로 기술 성장주가 무너지며 지난 11월 이후 10% 이상 하락하는 조정국면에 진입했다. 일관된 모습을 보이지 못한 기업들의 실적 역시 도움이 되지 못했다. 비용상승 압박에 기업들의 혼란이 순익의 변화로 나타나면서 증시는 확실한 실적 모멘텀을 받지 못하는 모습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그리고 중동에서 발생한 지정학적 불안 요인 역시 투자자들의 우려를 사고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인정하면서 러시아에는 '재앙' 이 될 것이라 경고했다. 전일 실적을 발표한 주요 은행 중 모건스탠리(MS)는 견고한 수익에 비용상승 압박을 무난하게 견디며 상승했다. 필수소비재의 대명사라 불리는 프록터앤드겜블(PG) 역시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한 가격 결정력으로 매출과 순익을 모두 지키는 실적을 발표하며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연준의 매파적인 금리인상 기조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겹치면서 투자자들의 스탠스는 극도로 방어적으로 변하는 모습이다. 금리인상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우려로 나타나고 인플레이션은 투자자로 하여금 가격 결정력과 순익에 대한 까다로운 선택을 강요하고 있다. 리버프론트 투자그룹의 레베카 펠튼 수석 투자 전략가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어닝 시즌은 다소 불안정한 모습이다. 투자자들은 비용과 임금 상승 압력에 대처하는 기업들의 코멘트를 주시해야 할 것."이라며 "연준의 정책 전환에도 주식시장은 상승할 것."이라며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오늘 시장은 아메리칸 항공(AAL)과 트레블러스(TRV), 그리고 기술주인 넷플릭스(NFLX)의 실적에 주목할 것으로 관측된다. 경제지표로는 주간 실업수당청구와 주택 판매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기존주택판매가 발표될 예정이다.
크리스 정 2022.01.20 05:58 PDT
미 정부기관이 '선입후결(Buy Now, Pay Later)' 서비스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일종의 무이자 할부금융 서비스인 BNPL 서비스가 큰 인기를 끌면서 해당 서비스가 소비자 부채 증가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입니다. 17일(현지시각) CNBC는 미 소비자 금융 보호국(CFPB, The Consumer Financial Protection Bureau)이 전날 어펌, 애프터페이, 클라르나, 페이팔 등 대표 BNPL 서비스 제공업체 상품의 위험성과 이점에 대한 정보를 요구했다고 전했습니다. CFPB는 "BNPL 서비스가 소비자 부채 누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소비자보호법이 적용되는지, 결제사업자가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수집하는지가 우려된다"고 설명했는데요. BNPL로 소비자는 즉시 물건을 구입할 수 있지만,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소비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BNPL은 팬데믹 기간 동안 온라인 쇼핑이 급증하면서 신용이 부족하고 직관적인 서비스를 선호하는 MZ세대들 사이 큰 반응을 불러왔습니다. 여기에 대규모 경기 부양책으로 소비자 늘어난 점도 주요 테크기업들이 BNPL 사업에 뛰어들게 한 또 다른 이유였습니다. 페이팔은 지난해 말 자체 BNPL 상품을 출시했고 블록(Block)은 애프터페이를 인수했습니다. 어펌과 클라르나 등 스타트업들도 선전했고요. 문제는 이 부문 기업들의 매출이 늘어날지는 몰라도 손실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애프터페이는 올해 1억9400만 호주달러 규모 손실을 냈는데요. 이는 2020년 2680만달러에서 훨씬 더 늘어난 수준입니다. 집(Zip)의 2021년 회계연도 세전 손실 역시 7억2400만 호주달러로 1년 전 2060만달러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이날 미 규제당국의 발표 이후 해당 기업들의 주가는 급락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어펌(티커: AFRM), 블록(티커: SQ)이 각각 10.6%, 4.6% 내렸고 호주 증시에서 애프터페이(8%), 집(6%), 세즐(Sezzle, 10%)도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정부의 규제 강화 움직임이 BNPL 업체들에 큰 타격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핀테크라는 새로운 영역에서 사실상 할부금융을 부추겼던 이들이 어떠한 관리감독을 받게 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송이라 2021.12.17 09:44 PDT
전일(2일, 현지시각) 미 증시는 급락세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고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우려 역시 완화되면서 주요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다우 +1.82%, 나스닥 +0.83%, S&P500 +1.42%, 러셀2000 +2.74%)미국에서 두번째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나왔다는 소식에 잠시 장이 출렁였지만 이 역시 증상이 경미하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새로운 코로나 변이에 대응하는 치료제 소식 역시 호재였다. 영국의 제약 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 비어바이오텍의 코로나 항체 치료제가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가 있다고 발표,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여기에 바이든 대통령 역시 새로운 코로나 변이로 인한 확산에도 추가 경제봉쇄는 없을것임을 재확인하자 경제 정상화에 영향을 받는 기업들이 급등했다. 변이의 등장으로 급락세를 보였던 여행, 항공, 레져 등 경기 민감주들이 일제히 반등에 나선것이다. 보잉(BA)이 7.54% 급등했고 카니발 크루즈라인(CCL)이 9.22%, 델타항공(DAL)이 9.28%로 상승세를 견인했다. 반면 애플(AAPL)의 아이폰13 수요 둔화 소식은 기술주 약세로 나타났다. 이로인해 관련 기업들 특히 반도체에 차익 실현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나며 약세를 리드했다. 한편 채권시장은 오미크론 변이와 연준의 매파적 전환으로 인한 경제 둔화 우려를 강하게 발산하는 모습이다. 장단기 금리차는 더욱 축소됐고 국채 수익률 곡선의 평탄화는 가속화됐다. 연준 임원들이 일제히 매파적인 발언을 쏟아낸 점도 국채 수익률의 반등세(채권 매도세)를 이끌었다. 랜달 퀄스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높아 긴축을 더 가속화해야 할 것."이라고 발언했고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는 테이퍼링을 내년 1분기에 완료해야 할 것이라 주장했다. 메리 달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와 토마스 바킨 리치몬드 연은 총재도 같은 주장으로 연준이 확연히 매파적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시그널하며 금리 상승세를 촉발, 파이낸셜 섹터의 강세가 뚜렷히 나타났다. 오늘 시장은 중국 최대 공유차량 업체인 디디추싱(DIDI)의 상장 폐지 이슈가 부각되는 가운데 미 노동부의 고용지표에 주목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일 발표된 신규실업수당청구는 팬데믹 이전의 수준을 회복하며 고용시장이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크리스 정 2021.12.03 04:44 PDT
세계가 배터리 산업에 주목하고 있다. 10년내로 전세계에서 판매되는 신차의 100%가 전기차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시장은 흥분에 휩싸여 있는 모습이다. 매출이 전혀 없는 전기트럭 업체인 리비안(RIVN)이 기업 공개를 하자마자 세계 최대의 자동차 업체 중 하나인 유럽의 폭스바겐을 시총에서 한때 앞선 것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얼마나 폭발적인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MS)는 글로벌 배터리 경제가 기존의 석유를 중심으로 움직이던 100년이나 된 공급망을 재편할 것이라 전망했다. 모건스탠리는 지난 15일(현지시각) 고객에게 보내는 메모를 통해 "배터리 생태계는 진정한 교차 자산으로 혁신적인 잠재력을 반영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향후 배터리 산업은 전기 자동차 및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넘어 자산시장과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 원자재에서 공공 정책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연결점이 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모건스탠리는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가 배터리 경제를 5년에서 10년정도 가속화했다고 믿고있다. 그들은 각 국의 그린에너지 지원 정책으로 전기차(EV) 판매가 급증하면서 EV배터리 시장만 2040년까지 252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거대한 기회가 도래하고 있다고 확신하면서 모건스탠리는 역량을 총동원 해 배터리 산업을 분석했다. 전세계 7개 지역의 분석가 25명이 배터리 관련 기업들을 분석해 카테고리별로 최고의 선택을 제시한 것이다. 모건스탠리는 배터리 생태계와 관련된 가치 사슬을 원자재 채굴부터 배터리 셀 구성, 제조 및 팩키징, 전기차 업체로의 인도에서 배터리 리사이클링 등 5개 영역으로 나누어 해당 분야의 주요기업을 선정했다.
크리스 정 2021.11.21 01:28 PDT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월가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소셜미디어의 새로운 장을 열었던 페이스북(FB)의 마크 저커버그는 미래가 메타버스에 있음을 확신하며 사명을 '메타 플랫폼(Meta Platform Inc)'으로 개명했을 정도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MS)는 지난 11일(현지 시각) "차세대 투자 테마는 메타버스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메타버스는 전 세계의 사람들과 가상의 현실인 메타버스에서 만나(Meet), 놀고(Play), 보고(Watch), 거래(Trade) 하는 새로운 세상을 창조한다. 이는 지금까지 이미지와 영상으로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왔던 기존의 소셜미디어에 한 단계 발전한 세상이다. 에드워드 스탠리 모건스탠리 투자 전략가는 "메타버스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만나 친분을 나누는 매체를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고 전망했다. 메타버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한 두 회사의 기술력만으로는 불가능한 만큼, 이 역시 테크 업계의 전반적인 공헌이 필요한 사안이다. 스탠리는 "지금까지 기업들이 메타버스를 구축하기 위해 성공적으로 상호 운용하고 있지만, 진정한 메타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여전히 메타버스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 테마임을 강조했다. 모건스탠리는 이에 메타버스와 연관되어 있는 기업들의 하위 테마와 상위 테마별 주식을 아래와 같이 선정했다.
크리스 정 2021.11.17 16:02 PDT
전일(14일, 현지시각) 미 증시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하회했으나 연준의 긴축 기조에는 영향을 줄 수 없을 것으로 관측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다우 -0.84%, S&P500 -0.57%, 나스닥 -0.45%, 러셀2000 -1.38%)전반적으로 물가지표가 전월대비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며 7개월래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음에도 시장은 공급망의 부진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로 공급망의 부진과 함께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면서 기업 마진과 소비가 전반적으로 함께 둔화될 것으로 본 것이다. 연준의 긴축 기조 역시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이 되면서 성장둔화 우려는 더욱 커졌다. 성장을 반영하는 미 국채금리는 전일 1.350%까지 상승했으나 하락을 지속하며 1.273까지 하락했다. 국채금리의 급락으로 파이낸셜과 산업재가 약세를 견인했다. 기술주는 스트리밍 관련주가 악재성 재료로 하락하고 애플(AAPL) 역시 신제품 발표에도 매물이 출회하며 하락했다. 다만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분기 배당금 상향 조정 가능성을 보이고 인튜이트(INTU)는 이메일 마켓팅 플랫폼인 메일침프를 인수한다는 소식에 상승하며 차별화를 보였다. 미국의 물가 상승압력이 계속되는 가운데 영국은 9년만에 가장 큰 폭의 인플레이션 상승폭을 기록해 2022년 금리인상 기조가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중국은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등 경제지표가 일제히 예상보다 부진했지만 인민은행이 유동성을 공급하자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로 하락폭은 제한됐다. 다만 당국이 카지노 업체를 규제하고 주요 대출기관에 부실기업인 에버그란데의 대출 이자 지급을 기대하지 말라는 소식으로 투자심리는 더 악화됐다.
크리스 정 2021.09.15 06:14 PDT
델타변이의 확산이 미 경제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시그널이 지난 3일 (현지시각) 발표된 고용쇼크로 확실히 나타나면서 주요 투자은행들이 경고에 나섰다. 골드만삭스(티커 GS)는 델타변이의 확산이 소비자들의 행동 패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했으며 이로 인해 소비지출이 둔화될 가능성을 지적했다. 또한 9월 연방 실업수당 지원이 종료되면서 정부 부양책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도 상품 수요에 대한 감소를 부를 것으로 판단했다. 골드만삭스는 이로 인한 소비의 둔화가 결국 미국의 성장을 갉아먹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4분기 전망을 기존의 6.5%에서 5.5%로 하향조정했다. 올해 연간 성장률은 기존 6.0%에서 5.7%로 내렸다. 이는 월가 컨세서스인 6.2%보다 낮은 수준으로 골드만삭스가 좀 더 비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최근 델타변이가 확산되면서 소비자심리지수가 모두 악화됐으며 공항 및 교통, 레스토랑 예약같은 경제 정상화가 연관된 데이터가 모두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는 이에 미국의 실질 소비자지출이 이번 3분기에 연간 기준으로 약 0.5%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4분기 소비 성장률 전망을 기존의 6%에서 3.5%로 크게 하향 조정했다.
크리스 정 2021.09.08 13:48 PDT
전일(7일, 현지시각) 미 증시는 성장둔화에 대한 우려가 강해진 가운데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의 부정적 견해까지 더해지며 투자심리가 악화됐다. 골드만삭스는 델타변이 확산과 재정 부양책의 종료를 근거로 미국의 4분기 GDP 성장률을 기존의 6.5%에서 5.5%로 하향조정했다. 반면 모건스탠리는 성장둔화와 입법 및 정책 불확실성을 들며 미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축소'로 하향조정했다. 코로나 확산과 경제 둔화 이슈가 산업재를 비롯한 경제 순환주들의 약세를 초래한 가운데 투자의견이 상향 조정된 일부 스트리밍 업종은 강세를 보이며 나스닥은 상승마감 하는등 업종 중심의 차별화가 진행됐다. (다우 -0.76%, S&P500 -0.34%, 나스닥 +0.07%, 러셀2000 -0.72%)성장둔화가 연준의 통화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오늘 증시는 뉴욕 연은의 존 윌리엄스 총재와 댈러스 연은의 로버트 카플란 총재의 발언에 주목할 것으로 전망된다. 9월 연준의 통화정책회의 이전 미국 지역별 경제에 대한 연은의 의견을 볼 수 있는 베이지북 역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또한 함께 발표될 미 노동부의 구인 및 이직현황을 담은 7월의 JOLTs 보고서 역시 고용시장의 회복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크리스 정 2021.09.08 04:42 PDT
제프 베조스 블루오리진 창업자, 리처드 브랜슨 버진갤럭틱 회장은 2021년 7월 민간 우주여행을 성공리에 마친 후 이 같이 의미부여했다. 의미있는 성공이었음이 분명하지만 자신들의 '우주여행'은 넓은 우주 비즈니스에 비하면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지금은 '억만장자'들이 가는 이벤트가 됐지만 수십년 후엔 민간인들도 진짜 여행하듯 여행을 가게 된다면 이 날의 이벤트는 '시작점' 이었음을 평가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글로벌 우주 산업은 어떻게 성장하게 될까? 블루오리진과 버진갤럭틱은 모두 모건스탠리의 최근 조사를 근거에 두고 '성장 비즈니스'임을 강조했다. 모건스탠리는 1조달러 규모로 형성되는 우주 산업을 우주여행, 위성발사, 심우주 탐사 등 10가지 비즈니스로 구분했다. 더밀크는 오는 2040년까지 1조달러 이상 규모로 산업이 커질 것이란 모건스탠리의 글로벌 우주산업 리포트를 분석했다. 우주여행은 1조달러의 우주 비즈니스 중 일부일 뿐이다.
김인순 2021.07.21 22:18 PDT
지난 15일(현지시각) 미 증시는 예상을 뛰어넘는 놀라운 6월의 소매판매지수에도 불구하고 내년 물가상승률을 4.8%로 예상하며 크게 위축된 소비심리에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 4주만에 처음으로 주간 하락을 기록했다. 지난 주 화요일부터 시작된 2분기 어닝시즌은 지금까지 약 8%의S&P500 기업들이 실적을 보고했으며 이 중 85%가 예상을 뛰어넘는 수익을 보고, 2009년 4분기 이후 가장 긍정적인 실적을 보이고있다. 이번 주는 S&P500 기업중 76개가 실적을 보고하고 다우지수를 구성하는 기업 중 9개가 실적을 보고, 본격적인 2분기 어닝시즌에 돌입한다. 오늘 실적을 발표하는 IBM(IBM)을 비롯해 넷플릭스(NFLX), 치폴레(CMG), 코카콜라(KO),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XN), 인텔(INTC), 아메리칸항공(AAL), 트위터(TWTR)등이 실적을 보고할 예정이다. 경제 데이터 측면으로는 오늘 전미 주택건축업자협회(NAHB)의 7월 주택시장지수를 포함해 이번주 내내 건축허가, 신규주택착공 및 기존주택판매 등 주택시장과 관련된 주요지표가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증시는 영국의 코로나 확진자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가운데 미국 역시 전세계 확진자 추세 평균인 16%를 크게 뛰어넘는 60%의 증가추세를 보이며 성장둔화 우려가 가시화, 3대 지수 모두 일제히 약세 출발했다. 10년만기 미 국채 금리는 높은 물가에도 불구하고 성장둔화 우려와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해지며 1.3%를 다시 하락, 1.25%로 낮아졌다. 한편 국제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가 합의에 성공, 하루 40만 배럴의 증산에 합의했다. 하지만 이번 합의로 주요 산유국 대부분이 생산량 쿼터를 확대하며 2022년 5월부터 하루 163만 배럴이 추가 공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제유가는 글로벌 코로나 확산세에 대한 우려와 증산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크리스 정 2021.07.19 04:50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