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전체기사 비디오 역사 및 개요 필드 가이드 CES2025 with TheMiilk
전체기사

전체기사
연도별 기사보기

CES 관련 기사가 221개가 있습니다.

피부에 밀착시켜 '심전도' 무선 모니터링 ... 위스메디컬, CES 출사표

CES2024 HEALTHCARE WEARABLE

피부에 밀착시켜 '심전도' 무선 모니터링 ... 위스메디컬, CES 출사표

미국과 한국 디지털 의료기기 시장에 본격 진출하는 이성훈 위스메디컬 대표의 포부다. 위스메디컬은 2024년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 라스베이거스서 열리는 CES2024에서 소프트 웨어러블 기술을 탑재한 진단 디바이스 '테드에이드(TedAid)'의 첫 선을 보인다. 헬스케어 웨어러블 시장은 이미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의 차세대 격전지가 됐다. 하지만 빅테크 기업들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스타트업은 빠른 실행으로 시장을 돌파할 수 있다. 때문에 위스메디컬과 같은 의료분야 스타트업이 내년 CES2024에서 더욱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위스메디컬은 미국 조지아텍 박사과정 중 관련 기술을 개발한 이성훈 대표와 미국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의 권위자인 여운홍 조지아텍 교수가 의기투합해 설립한 회사다. 소프트 웨어러블 기술을 이용해 심전도, 뇌전도, 근전도, 안전도 등 의료에 필수적인 생체정보를 연속적이면서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이를 AI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진단하는 디바이스를 개발, 최근 상용화에 나섰다. 조지아텍에서 최근 전자공학박사를 취득한 이 대표는 "연구 과정에서 현재 모니터링 장비들의 문제점들을 인지하게 됐다"며 "실제 개발한 디바이스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창업을 선택했다. 의료 현장과 심폐질환자 등 환자들의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K스포츠 '드론 축구' 라스베이거스 CES에 뜬다

CES2024 DRONE SPORTS 드론축구

K스포츠 '드론 축구' 라스베이거스 CES에 뜬다

2022년 국제축구연맹(FIFA) 추산에 따르면 전 세계 축구 팬은 35억~40억명이다. 전 세계 인구 72억명 중 절반이 사랑하는 스포츠인 셈이다. 축구의 매력은 골을 넣고 막기위해 펼쳐지는 공격수와 수비수간 펼쳐지는 '치열함'과 '긴장감'에 있다. 그런데 하늘을 나는 '드론'으로 축구를 한다면 어떨까? 드론과 축구의 규칙(룰)이 결합, 드론축구라는 새로운 스포츠가 탄생했다. 드론 경주대회(레이싱)는 존재하지만 이를 '스포츠'로 승화시킨 것은 '드론 축구'가 처음이다. 그런데 놀라운 점은 이 드론축구의 종주국이 한국이고 특히 '전북'의 한 기관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드론축구는 5명의 선수가 한팀이 돼 3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드론골을 더 많이 넣어야 승리하는 스포츠다. 축구장과 같은 경기장에서 축구공 모양의 드론을 조종해 경기를 치른다. 손을 쓰는 게 금지된 축구와 달리 드론을 조종하는 손에 성패가 달린 독특한 게임이다. 드론과 축구를 창의적으로 묶어낸 드론축구는 2016년 한국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전주시와 캠틱종합기술원(이하 캠틱, Camtic)이 그 주인공이다. 개발 후 미국, 캐나다, 인도, 싱가포르 등 20개국에서 주목받았다. 현재 한국에서는 1800여 개 드론축구 팀이 있으며 세계 30여 개국이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캠틱종합기술원과 전주시는 드론 축구의 저변 확대를 위해 CES2024에 참가하게 됐다. 👉 부스위치: LVCC노스홀 LVCC 9427

2024년 AI 플랫폼 전쟁 중... 뤼튼 "AI 슈퍼앱되겠다"
Sky’s the Limit for Wrtn Technologies
"CES 해외 출장부터 국내 출장까지 비즈플레이에서 원스톱 해결"
주유소가 진화한다...복합에너지 허브+물류 거점 변신
인텔·삼성·LG… CES2024서 ‘AI 혈투’ 벌인다

CES2024 AI INTEL CES

인텔·삼성·LG… CES2024서 ‘AI 혈투’ 벌인다

CES2024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산업 분야는 단연 AI다. 2023년은 AI 챗봇 ‘챗GPT(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 제품의 출현과 확산으로 어느 때보다 AI 기술이 주목받은 한해였다. 오픈AI가 개발한 챗GPT는 2022년 11월 30일 공개된 후 두 달 만인 2023년 1월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1억 명을 돌파했다. 이후 2023년 3월 14일 고성능 대규모 언어 모델(LLM) ‘GPT-4’가 출시되며 AI 기술 및 제품 경쟁이 가속화됐다. 중요한 건 이런 경향성이 2024년에도 계속 이어질 것이란 사실이다. 오픈AI가 지난 11월 자체 개발자 컨퍼런스 ‘데브데이(OpenAI DevDay)’에서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챗GPT의 활성 사용자 수는 여전히 1억 명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포춘 500대 기업 92%가 오픈AI 생성형 AI 제품을 이용 중이다. 뉴욕 기반 투자회사 코투(Coatue)는 11월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우리는 여전히 AI 시대 초입에 있다(We’re at Day 1 of AI)”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AI 강자 구글은 12월 6일 GPT-4를 뛰어넘는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 울트라(Gemini Ultra)’의 벤치마크(benchmark, 성능 지표) 점수를 공개, 다시 한번 치열한 경쟁을 예고한 상태다. 제미나이 울트라는 수학, 물리학, 역사, 법률, 의학, 윤리 등 57개 과목을 조합해 지식, 문제 해결 능력을 테스트하는 ‘MMLU(대규모 다중 작업 언어 이해)’에서 90.0%의 점수를 획득해 최초로 인간 전문가를 능가한 AI 모델로 기록됐다. 2024년의 문을 여는 CES2024에도 이미 이런 트렌드가 반영됐다. CES 주최 기관 CTA는 최초로 혁신상 부문에 AI를 추가했고, 게리 샤피로 CTA 회장 역시 이번 CES2024의 최고 화두로 AI를 꼽았다. AI는 혁신상 부문에 새롭게 추가됐음에도 전체 출품작의 7%를 차지했을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CES2024, 전시 규모 10% 늘었다... 기조연설 인텔, 스냅 추가
더밀크, CTA와 CES2024 공식 미디어 파트너 체결

CES2024 CES CTA

더밀크, CTA와 CES2024 공식 미디어 파트너 체결

더밀크가 세계 최대규모의 기술 박람회 'CES'의 공식 파트너사가 됐다. 더밀크는 최근 CES를 주관하는 전미소비자기술협회(CTA)와 공식 미디어 파트너십(CES MEDIA PARTNERSHIP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더밀크는 내년 1월 9일~12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2024'를 기점으로 향후 2년간 CES를 후원하는 공식 미디어 파트너로 활동하게 된다. 파트너십 계약에 따라 CTA는 더밀크에 다양한 취재 접근성을 제공하게 된다. 우선 'CES.tech' 파트너 페이지 링크 등에 더밀크의 로고가 표시된다. 더밀크는 CES2024 공식 미디어 파트너 로고를 사용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계약 체결 시점부터 CTA 관계자와의 단독 인터뷰 기회도 제공받는다. 또 CES의 공식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접근성도 부여받는다. 여기에 CES 출품 기업의 홍보 담당 기업 정보를 제공 받게 된다. CTA 측은 "더밀크와의 미디어 파트너십을 체결하게 돼 기쁘다"며 "더밀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에 CES 뉴스와 정보를 전달하는 한편, 깊이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해 기업들의 미래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손재권 더밀크 대표는 "더밀크와 CES를 주관하는 CTA와의 공식 미디어 파트너십 체결은그간 CES의 중요성과 기술 인사이트를 한국과 우리 기업에 제공해 온 더밀크의 노력을 인정받았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CES 등 글로벌 테크 경제 이벤트에서 나온 인사이트를 가장 먼저 알리고 분석하겠다"고 밝혔다. 더밀크는 CES2024 현장을 심층 취재 보도하는 한편, 다양한 현장 이벤트를 통해 한국 기업들에게 미래 혁신을 경험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문의: CES@themiilk.com👉더밀크CES 웹사이트: CES2024 프로그램 안내

혁신상으로 보는 CES 3대 키워드… AI·지속가능성·인간안보

CES2024 SUSTAINABILITY HUMAN SECURITY AI

혁신상으로 보는 CES 3대 키워드… AI·지속가능성·인간안보

세계 최대 테크 전시회 ‘CES2024’의 핵심 키워드는 무엇일까. CES 주최 기관 CTA(미국소비자기술협회)가 발표한 혁신상 수상 제품, 배경 설명에서 발견한 핵심 키워드는 AI·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Eco-Design & Smart Energy)·인간안보(Human Security for All) 세 가지였다. CTA가 1차로 공개한 ‘최고혁신상(Best of Innovation)’ 수상 제품 27개를 더밀크가 분석한 결과(중복 부문 포함) 지속가능성 부문에 포함된 제품이 3개로 가장 많았다. 인공지능(AI), 인간안보, 사이버보안에 속하는 제품 역시 각각 2개로 다른 부문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CTA에 따르면 29개 부문에 걸쳐 총 3000개 이상 제품이 출품됐다. CES2023 대비 40%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AI 부문이 신설됐으며 지속가능성, 디지털 헬스 부문으로 제출된 제품이 가장 많았다는 게 특징이다. CES 혁신상은 1976년에 제정됐다. CTA 전문가 그룹이 출품 제품의 기술력과 디자인, 소비자 가치 등 혁신성을 종합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한다. 이번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임베디드 기술(내장형) 등 소형 제품부터 TV를 비롯한 가전, 헤드폰과 컴퓨터 주변기기, 자동차 및 로봇 관련 솔루션, 스마트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이 혁신상을 받았다. 삼성전자, LG전자, HD현대, 두산, SK에코플랜트, 아모레퍼시픽, 코웨이 등 대기업부터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국내 기업이 다수의 혁신상을 수상했다는 점도 눈여겨볼 특징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현재까지 공개된 CES2024 혁신상 수상기업 310개 중 한국 기업이 143개를 차지(46%)했다. 혁신상 수상작 전체 목록과 수상 기업은 CES2024 전시 기간 중 발표된다. 라스베이거스 ‘베네치안 엑스포(Venetian Expo)’ 전시장에 마련된 이노베이션 어워드 쇼케이스(Innovation Awards Showcase)에서 수상작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혁신 제품을 실제로 만져보고 체험하길 원하는 전 세계 IT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이 라스베이거스로 쏠리고 있다.

美 라스 새 랜드마크 호텔 ‘퐁텐블로’... "CES 개막 한달 전 개장"

CES2024 CES

美 라스 새 랜드마크 호텔 ‘퐁텐블로’... "CES 개막 한달 전 개장"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역대 최대 규모의 호텔이 문을 연다. 2024년 1월 세계최대 기술전시회 CES2024 방문객들은 라스베이거스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최근 라스베이거스 관광청에 따르면 스트립 북쪽 끝에 개발 중인 호텔 ‘퐁텐블로(Fontainebleau)’가 오는 12월 13일 개장할 예정이다. 2021년 리조트 월드가 개장한 이후 2년 만에 스트립에 처음 들어서는 호텔이다.CES가 열리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에 인접한 ‘퐁텐블로 라스베이거스’는 67층 규모로 완공을 앞두고 있다. 스트립뿐 아니라 네바다주에서 가장 높은 랜드마크가 될 전망이다. 미국 플로리다주 퐁텐블로 마이애미비치의 자매 호텔로도 잘 알려져 있다.37억달러가 투자된 새 호텔은 객실과 컨벤션 시설, 식당 등 부대시설 측면에서도 ‘랜드마크’가 될 만한 조건을 갖췄다.총 25 에이커 규모의 호텔은 3644개의 객실을 보유했다. 호텔에는 1만 4000평방피트 규모의 피트니스 센터와 대형 스파, 그리고 마이애미비치를 콘셉트로 한 오아시스 풀 수영장 등이 조성됐다.36개 식당들도 문을 연다. 차이나 클럽(Chyna Club), 멕시칸 레스토랑 ‘칸티나 콘트라마르(Cantina Contramar)’, 마더 울프(Mother Wolf) 등 유명 셰프들의 식당이 오픈을 앞두고 있다.부동산 정보 제공업체인 코스타(Costar)는 “새 호텔을 통해 향후 6000여 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라고 전망했다.

CES 앞둔 라스베이거스, '스포츠 메카' 변신... 경제효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