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전체기사 비디오 역사 및 개요 필드 가이드 CES2025 with TheMiilk
전체기사

전체기사
연도별 기사보기

CES 관련 기사가 221개가 있습니다.

“망 사용료 내면, 오징어게임도 없다" 넷플릭스의 반박

NETFLIX TELECOM MWC2023

“망 사용료 내면, 오징어게임도 없다" 넷플릭스의 반박

그렉 피터스(Greg Peters) 넷플릭스 공동 CEO는 망 사용료를 부과할 경우, 콘텐츠 투자, 제작 퀄리티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콘텐츠 제공 업체(CP)가 망 이용료를 내야 한다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주장에 대한 반격이다. 지난 2월 28일(현지시각), 문화유산의 도시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에 피터스 CEO가 기조연설자로 나섰다. 그는 전날 티에리 브르통 EU 내부시장담당 집행위원의 기조연설을 인용하며 “나도 (망 사용료 부과가) 이분법적인 선택이 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MWC 2023 첫날에 이어 둘째 날까지도 '망 이용료' 이슈가 제기되고 있다. 넷플릭스는 기꺼이 비용을 지불을 해 콘텐츠를 즐기는 소비자를 위해 고품질을 유지하면서 콘텐츠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투자해 왔다. 더 훌륭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최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혁신적인 스튜디오를 인수하는 등 제작자의 예술적 비전도 지원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전 세계 160개 이상의 통신사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와도 상업적 파트너를 맺어 넷플릭스를 소비자 상품에 번들로 제공하고 있다. 일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엔터테인먼트 회사에 세금을 부과해 네트워크 인프라에 보조금을 지급할 것을 강요하고 있다. 그는 “그런 세금은 상당한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며 망 사용료 부과 시 “콘텐츠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어 지역 창작 커뮤니티에 타격을 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사상 최대 부스 화웨이, 왜 MWC에 집중하는가?
중국 기업 약진, 한국이 살아남을 키워드는 'AI'
중국 스마트폰 넘어 XR 기기 점령 가속화

AR/VR XR MWC2023

중국 스마트폰 넘어 XR 기기 점령 가속화

중국 기업이 포화한 스마트폰 시장을 넘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확장현실(XR) 단말기에 주목했다. HTC, 샤오미, ZEC, TCL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는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023에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단말기를 대거 출시했다. 애플이 6월 세계개발자컨퍼런스(WWDC)에서 혼합현실 기기를 공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중국 기업들은 스페인에서 XR 기기 대전을 벌였다. 팬데믹 동안 '메타버스'는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최근 제너레이티브 AI가 떠오르면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떨어졌지만 단말기 개발은 한창이다. 시장조사기업 IDC에 따르면 AR-VR 헤드셋 시장은 2021년 기준 92% 성장해 판매량 1100만대를 기록했다. 메타의 ‘퀘스트 2’ VR 헤드셋은 매출 기준으로 78%를 점유했다. 삼성전자도 2월 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3'에서 퀄컴, 구글과 협력해 차세대 XR 폼팩터를 준비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다시 이 시장에 들어올 준비를 하고 있다. 업계는 애플 리얼리티 프로(Reality Pro)가 공개되면 시장이 전환점을 맞을 것을 기대한다. 중국 기업은 이 시점을 기다리며 저렴하면서 활용도가 높은 제품 개발에 한창이다.

통신 사업자, MWC에서 "망 이용료 내라" 전면전 선언
MWC2023 중국폰 보니... 가격∙물량으로 삼성 갤럭시만 정조준
MWC2023 개막 앞둔 바르셀로나... 챗GPT는 화두가 아닌 이유는?

삼성전자 챗GPT MWC2023

MWC2023 개막 앞둔 바르셀로나... 챗GPT는 화두가 아닌 이유는?

"메타버스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3년만에 다시 스페인 바르셀로나로 왔습니다. 올해 애플이 메타버스 기기를 내놓는다고 해서 VR, AR이 다시 부상할 것 같다는 기대가 큽니다. 다른 나라 스타트업들은 어떻게 대응하는지 파악하려면 유럽에선 MWC가 가장 좋은 무대라고 봅니다"세계 최대 모바일 ICT 분야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 개막을 하루 앞둔 26일(현지시간) 오전. 이탈리에 로마에 있는 AR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 기업의 대표인 안드레아 볼디니(Andrea Boldini) 씨는 제품 전시를 하기 위해 전시장인 '피라 바르셀로나 그란 비아(Fira Barcelona Gran Via)'로 향했다. 일반 참관객과 기자, 애널리스트는 27일부터 전시장에 입장할 수 있지만 전시 참가자들은 하루 전인 26일부터 본격적으로 분주하게 전시장과 숙소를 오가며 전시 준비에 매진했다. 10년간 MWC를 찾았다는 볼디니씨는 "지난해부터 메타버스가 주요 이슈가 됐지만 전체적으로 과거에 비해 MWC가 흥미가 떨어진 것이 사실이다"며 "모바일 기기가 조금 더 많이 나오는 일반 테크 전시회가 된 것 같다"고 평가했다.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하는 MWC2023는 약 2000개 기업이 전시하고 8만명의 참관객이 운집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MWC는 5G 및 6G, 리얼리티 플러스(Realty+), 오픈넷(OpenNet), 핀테크, 모든 것의 디지털화 등이 핵심 주제다. 하지만 MWC는 새로운 스마트폰의 깜짝 등장 이벤트가 사라졌고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외면하는데다 챗GPT 등 전문가들는 물론 일반인까지 뜨거운 관심을 모으는 주제가 없어서 이벤트에 대한 뜨거운 열기는 찾기 힘들다는 평가가 현장에서 나왔다.

CES2023서 목격한 10개의 퓨처시그널: 웹3-메타버스 임팩트 폭발
CES2023의 교훈 ④ : 기본을 지켜야 승리한다
7번의 재발견, CES2023이 남긴 교훈들
CES2023이 준 교훈 ③ : 초연결, 모이고 연결해야 신미래 만든다
CES2023이 준 교훈 ② : 업의 경계를 지워라

CES2023 METAVERSE MULTIPLATFORM MOBILITY

CES2023이 준 교훈 ② : 업의 경계를 지워라

지난 주 막을 내린 국제가전제품박람회 CES2023에서 확인한 새로운 시그널이다. 1월 5일~8일(현지시간)까지 나흘간 진행된 CES2023는 팬데믹 이후 지난 3년간 일어난 혁신 기술들의 총 집합체였다.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기술의 방향을 바꿨다. 인류는 전쟁과 기후위기, 그리고 인플레이션 급등 속에서 '인간 안보' 중심의 기술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CES는 달라진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인류의 생존을 위해 어떤 기술이 필요하고, 기술 개발을 위해 기업들이 어떻게 협력하고, 어떤 연결고리를 통해 혁신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했다. CES에 참가한 기업들의 경계가 무너진 지는 이미 오래다. 기업들은 기존 사업 영역을 넘어 새로운 영역으로 파괴적인 혁신을 이어가는 한편, 여러 다른 업종 내 기업들과 ‘합종연횡’하며 생존을 모색하고 있었다. 농기계 업체 존디어와 캐터필러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달라진 혁신의 방향은 그간 CES의 간판이었던 가전 등의 토픽을 뒤로 밀어냈다. 대신 디지털 헬스, 게이밍, 웹 3, 메타버스 등 변방에 자리했던 주제들이 전면에 등장했다. CES2023에 참가한 기업들이 전한 메시지는 '개인화' 된 '초연결'로 수렴됐다. 대부분의 혁신은 더욱 개인의 니즈를 위한 맞춤형으로 바뀌었고, 여러 플랫폼에서 해당 기술을 활용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CES 전면에 등장한 모빌리티는 이동 수단을 넘어 콘텐츠를 소비하는 하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태세다.개인화 한 초연결 기술은 가상세계로까지 영역을 확장, 메타버스 산업 내 현실적인 진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