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미국 정부의 중국 기술 기업에 대한 수출 제재가 강화되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중국, 이란, 파키스탄 등에 위치한 기술 관련 기업을 대거 블랙리스트(수출 통제 목록)에 추가함에 따라 미국 기술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깊어졌다. 25일(현지시각) 미국 상무부는 중국, 이란, 파키스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 위치한 법인 및 단체 80개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2023년 블랙리스트에 오른 대만 서버 업체 인스퍼의 자회사 6곳을 포함해 네트릭스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수마 테크놀로지, 수마-USI 일렉트로닉스 등 중국 기업들이 대거 포함됐다.이번 조치는 중국을 염두에 둔 조치로 해석된다. 전체 제재 대상 중 54개 가 중국 기업이기 때문이다. 엔비디아, 인텔, AMD가 설계한 미국 첨단 칩을 대량으로 구매해 온 기업들을 단속하기 위한 조치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실제로 이날 엔비디아의 주가는 26일 5.74%, AMD는 4.02%, 인텔은 3.22% 급락하며 기술주 하락을 주도했다.
박원익 2025.03.26 15:54 PDT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19일(현지시각) 캘리포니아주 산호세 시그니아 바이 힐튼 호텔에서 열린 GTC 2025 기자간담회에서 “엔비디아는 세계 최고의 알고리듬을 만드는 회사”라며 이같이 말했다. 물리학, 생물학, 로봇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속 컴퓨팅(accelerated computing)을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엔비디아 GPU를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스택 ‘CUDA’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황 CEO는 전날 기조연설에서 13개에 달하는 쿠다 전문 분야를 언급하며 모든 산업을 위한 ‘CUDA-X’를 발표했다. 기조연설에서 그는 “우리는 이제 가속 컴퓨팅의 전환점에 도달했다. CUDA가 이를 가능하게 했다”며 알고리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도 그는 엔비디아를 종합 AI 플랫폼 기업으로 재정의하며 비슷한 주장을 반복했다. 황 CEO는 “엔비디아는 유일한 AI 회사다. 클라우드용 AI, 자동차용 AI, 로봇용 AI, 엔터프라이즈용 AI를 보유하고 있다”며 “전체 인프라, 네트워킹 스위치, 스토리지(저장소)는 물론 작은 DGX 스파크부터 슈퍼 팟에 이르기까지 모든 크기와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했다.
박원익 2025.03.19 14:36 PDT
중국에 가히 ‘로봇혁명’이라고 불릴 정도로 로보틱스 시장에서 빠르게 올라오고 있다. 현재 로봇 산업의 빅4는 화낙(FANUC, 일본), ABB(스위스/스웨덴), 야스카와(Yaskawa, 일본), 쿠카(KUKA, 독일 태생이지만 2015년 중국 유통 업체 Midea그룹이 인수)다. 이들의 공통점은 수십 년의 업력, 코봇, 로봇, 여러 산업 등 광범위한 제품 포트폴리오에서의 대량 생산 능력이다, 하지만 연구개발(R&D) 비율은 비교적 낮다. 차세대 로봇을 만드는 자본 집약적이고 위험 지향적인 탓. 이 사이를 중국이 빠르게 기회를 틈타 올라오고 있다. 세미애널리시스와 IFR에 따르면 중국은 2018년 직원 1만명당 로봇 수에서 상위 10위에 들지 못했지만, 2024년에는 직원 1만명당 470대의 로봇을 탑재, 독일을 제치고 세계 3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연간 로봇 설치 규모는 일본, 미국, 한국, 독일 등 4개국의 합을 훨씬 웃돈다.
Ray Park 2025.03.14 22:51 PDT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의 사업구조 재편에 기술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립-부 탄(Lip-Bu Tan) 신임 CEO가 인텔의 키를 잡게 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구조 재편 기대감에 13일(현지시각) 인텔의 주가는 14.6% 급등한 23.7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인텔 이사회는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반도체 업계에서 풍부한 경험을 갖춘 뛰어난 기술 리더 립-부 탄을 오는 3월 18일부로 최고경영자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작년 말 팻 겔싱어 전임 CEO의 갑작스러운 은퇴 이후 인텔은 데이비드 진스너, 미셸 존스턴 홀트하우스 임시 공동 CEO 체제로 운영됐었다. 탄 신임 CEO는 지난 2024년 8월 인텔 이사회에서 물러난 후 인텔 이사회에 다시 합류하게 됐다.
박원익 2025.03.13 16:14 PDT
미국 반도체 공룡 인텔이 신임 CEO(최고경영자)로 립-부 탄(Lip-Bu Tan)을 선임했다. 탄 신임 CEO 선임 소식에 12일(현지시각) 인텔의 주가는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 12% 가량 급등하고 있다.인텔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인텔 이사회는 반도체 업계에서 풍부한 경험을 갖춘 뛰어난 기술 리더 립 부 탄을 오는 3월 18일부로 최고경영자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작년 말 팻 겔싱어 전임 CEO의 갑작스러운 은퇴 이후 인텔은 데이비드 진스너, 미셸 존스턴 홀트하우스 임시 공동 CEO 체제로 운영됐었다. 탄 CEO는 지난 2024년 8월 인텔 이사회에서 물러난 후 인텔 이사회에 다시 합류하게 됐다. 진스너는 수석 부사장 겸 최고 재무 책임자, 존스턴 홀하우스는 인텔 제품 부문 CEO를 맡게 된다. 임시 이사회 의장직을 맡았던 프랭크 예이(Frank D. Yeary)는 탄 CEO의 취임 후 독립 이사회 의장(independent chair of the board, 사외 이사)으로 물러날 예정이다.예이 의장은 “립-부는 기술 업계 전문성, 제품 및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 위탁 생산) 생태계 전반에 걸친 깊은 인맥, 주주 가치 창출에 대한 입증된 실적을 갖춘 탁월한 리더”라며 “인텔의 차기 CEO로 꼭 필요한 인물”이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턴어라운드(turnaround, 반등)를 가속화하고, 앞으로 다가올 중요한 성장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탄 CEO는 “인텔 같은 상징적인 회사에 CEO로 합류하게 돼 영광”이라며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주를 위한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재편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인텔은 강력하고 차별화된 컴퓨팅 플랫폼, 방대한 고객 기반, 공정 기술 로드맵 재구축을 통한 견고한 제조 기반을 갖추고 있다”며 “인텔 팀 전체가 만들어온 기반 위에서 계속해서 미래 비즈니스를 구축해 가겠다”고 했다.
박원익 2025.03.12 14:43 PDT
안녕하세요 뷰스레터 구독자 여러분,스핀오프 레터, [비저너리(Visionary)]의 김세진입니다.기술 산업 투자자라면 ‘하이프(과대광고)’는 내용에 동의하든 하지 않든, 주목해야 할 흐름입니다. 주로 부정적인 어조가 있지만, 이 시류를 타면 투자를 받거나 주가 부양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죠. 생성AI 열풍이 불자 기존 기업들이 앞다퉈 AI를 내건 것처럼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인공지능(AI)과 크립토(암호화폐)의 결합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데이비드 삭스 전 페이팔 COO를 인공지능(AI) 및 크립토 차르'로 임명한 게 주목할 만한 장면이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에는 역시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폴 앳킨스 전 SEC 위원을 지명했습니다. 이후 수 시간 만에 비트코인은 10만달러를 넘어섰죠.기술 산업에 대한 미국 차기 행정부의 지원에 이제는 산업 간 결합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생성AI와 크립토 산업의 결합이 대표적이죠. 오늘 비저너리에서는 각각 다른 신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상품을 살펴봅니다.
Sejin Kim 2024.12.14 06:23 PDT
“대체 무슨 일이야?”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기습선포한 시간은 한국시간으로 지난 3일 밤 10시 24분경이었습니다. 미국 동부에서는 아침 8시24분이었죠. 모두가 출근하는 시간입니다. 뉴스를 생산하고 소비하기 좋은 시간이기도 하죠. 제 휴대전화엔 문자 메시지가 쏟아졌고 이 소식은 주요 외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습니다. 계엄 사태 이후 한국은 순식간에 '위험국가'가 됐습니다. 재선에 성공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최측근은 물론, 스웨덴 총리, 사우디아라비아 왕자까지 방한 일정을 줄줄이 취소했고, 전 세계 주요국에서 한국 경계령이 발효됐죠. 미국 국무부는 계엄령 해제 발표 이후에도 상황이 유동적일 수 있다며 여권·비자 면접 업무를 일시 중단하고 직원들의 재택근무를 확대했습니다. 당장 미국과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들은 직격타를 맞았습니다.[놓치고 있는 미국의 중요한 움직임]트럼프는 왜 '차르'를 좋아하나... 국경, AI에 크립토까지 신설 추진바이든 vs 트럼프 마지막까지 치열하다... 전기차, 반도체비트코인, 아직 금은 아니다. 그럼 어떤 포지션?비트코인 20만달러 될까?... 트럼프의 코인노믹스미국에서는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한국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한국 증시 저평가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한국 증시가 다른 시장보다 저평가받는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강화될 수 있다면서 투자 시 주의를 당부하고 있는 상황이죠. 미국에서도 윤석열 대통령이 더이상 정상적인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에서는 한국의 '회복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어디서나 예상치 못한 사건사고, 재난재해는 발생합니다. 진정한 경쟁력은 예상치 못한 '사건 이후' 드러납니다. 시스템이 갖춰져 있으면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하면 우왕좌왕하며 회복과 치유할 수 있는 시간을 놓쳐 상처가 커지게 됩니다. 엑스(X) 등 소셜미디어(SNS)에서 South Korea(한국), Martial law'(계엄령) 등의 해시태그를 검색하면 해외 네티즌들이 한국의 계엄 사태를 두고 "놀랍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는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대통령이 '미쳤다'는 평가가 주류를 이루는 반면 현재까지 조회수 300만을 기록 중인 다른 해외 네티즌의 엑스 글은 한국 국민들의 신속한 계엄 사태 대처에 감탄하는 내용이었습니다. "한국은 사람들이 신속하고 단호하게 반응했기 때문에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계엄령을 해제할 수 있었다. 그것이 민주주의를 지키는 방법"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 다른 해외 네티즌은 "한국은 민주주의를 구했다. 주목하라, 미국인들이여(Take note, Americans.)"라고 올렸습니다.
Sejin Kim 2024.12.06 14:10 PDT
인텔을 위기에서 구출해줄 것이라 믿었던 팻 겔싱어(Pat Gelsinger) 최고경영자(CEO)가 은퇴를 결정했다. 주가 부진에 이은 미래 사업 불투명으로 사실상 경질된 것. 인텔 뿐 아니라 반도체 산업이 격변기에 놓은 상황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인텔의 실패는 거버넌스(의사결정구조)의 실패로 볼 수 있다. 미국에선 최고경영자(CEO) 등 리더십 교체기간이 급격히 짧아졌다. 위기 상황이라는 진단에서다. 이사회와 겔싱어 CEO는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내 반도체 업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 미 제조업 3대장... GE, 인텔, 보잉의 몰락은 삼성에 무엇을 말해주나?
Sejin Kim 2024.12.04 05:03 PDT
안녕하세요 뷰스레터 구독자 여러분,스핀오프 레터, [비저너리(Visionary)]의 김세진입니다.우주 물류, 우주 중공업 들어보셨나요? 이번 주 가장 주목할 만한 장면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텍사스에서 진행된 스페이스X 로켓 발사를 참관한 모습이었습니다.현재 미국에선 ‘뉴 맨해튼 프로젝트’ 논의가 힘을 받는 중입니다. 과거 원자폭탄 개발로 제2차 세계대전의 시류를 바꾼 것처럼, 생성 인공지능(AI), 우주 경제 등 혁신 기술의 변화 속에서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죠.이중 우주 경제는 단순히 탐사의 영역을 넘어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소행성 채굴, 기후 모니터링 등 21세기 경제를 지배할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머스크 밸류체인(가치사슬)의 핵심이기도 하죠.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는 재사용할 수 있는 로켓 기술과 글로벌 통신에 필수적인 위성 발사 등 민간 우주 탐사의 최전선에 서 있습니다.스페이스x는 민간 기업 중 각종 발사 성공과 비용 낮추기로 초격차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 진입하긴 늦은 걸까요? 더밀크는 스페이스X에 초기 투자한 채드 앤더슨을 미국 뉴욕에서 만났습니다. 그는 “로켓 발사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고 말했습니다.[더밀크 주요 기사][현장] 피지컬100 시즌3가 넷플릭스에 주는 의미엔비디아 마진과 성장 모멘텀 둔화?..."나무를 보지말고 숲을 보라"비트코인 아직 고점 아니다. 답은 '트럼프노믹스'에
Sejin Kim 2024.11.22 10:52 PDT
세계 경제 중심지 미국의 차기 대통령에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인해 ‘자유무역의 종말’이라는 이야기가 현실로 성큼 다가왔다. 미국은 그간 동맹국을 중심으로 제조업 사슬을 만들고 혜택을 부여해왔다. 한국은 이 가치사슬의 중요한 행위자 중 하나였다. 그러나 보호무역주의,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주장하는 트럼프 후보의 재집권으로 인해 한미 무역관계가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다. 현 바이든 행정부가 실시한 경제 정책의 대대적인 변화로 인해 국내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국 경제에서 두 가지 주목해야 할 사항은 현재 조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 시행되고 있는 1) 관세 정책과 2)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면 보조금을 주는 반도체칩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of 2022, 이하 칩스법),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정책의 향방이다. 👉 [웨비나 안내] 미 대선 후폭풍 긴급 진단… 내 월급∙주식 어떻게 되나?
Sejin Kim 2024.11.06 03:22 PDT
안녕하세요 뷰스레터 구독자 여러분,스핀오프 레터, [비저너리(Visionary)]의 김세진입니다.한국에서 삼성전자, 나아가 한국 전체 제조업/산업의 위기론이 연일 커지고 있습니다.삼성의 캐시카우이자 한국 경제의 버팀목이었던 반도체는 기술 경쟁력 약화와 그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고전하고 있습니다. 한국 코스피 시가총액의 약 16%를 차지하는 삼성전자의 위기설에 한국 제조업 전반에 대한 우려도 뒤따르는 중이죠.이는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거의 ‘비상사태’ 분위기입니다. 뉴욕에서 빅테크, 스타트업, 규제 기관을 불문하고 관계자들과 얘기할 때 빠지지 않고 나오는 주제가 인텔과 보잉입니다. 반도체와 항공기는 실리콘밸리의 수익성과 국방까지 직결되기 때문이죠. 주요 경쟁국인 중국과 유럽연합(EU) 기업이 빠르게 치고 올라오는 분야기도 합니다. 미국 대선과 맞물려 미국서 대두되는 제조업 위기론은 한국에 큰 변수가 되고 있습니다. 미국·중국 간 대립으로 미국이 동맹국 중심의 글로벌 반도체 분업 체계를 무너뜨리려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습니다. 주요 제조업 사슬에 있는 한국이 대응하고 배워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주요 기사>AI 열풍에 '오픈 워싱' 기승... 이젠 안속는다25년 후 치매 환자 3배... 브레인 케어 시장이 뜬다일잘러의 정의가 바뀐다... 경력보다 AI 활용력
Sejin Kim 2024.11.03 13:35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