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는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인터내셔널 데이터 코퍼레이션(IDC;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은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새로운 데이터가 연평균 23% 성장해, 2025년에는 약 175제타바이트(ZB; Zettabyte)의 데이터가 생성될 것으로 예측했다. 1제타바이트는 약 1조 기가바이트에 해당하며, 이는 그동안 전세계에서 팔린 모든 아이폰(20억대 이상)의 데이터를 합친 것보다도 몇배나 많다.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새롭게 생성되고 있는지 그야말로 가늠하기조차 힘든 수치다.이렇게 많은 데이터가 생성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글로벌 테크 카운슬(Global Tech Council)은 “데이터 중심 사고방식 덕분에 이러한 변화가 가능하다"면서 "빅데이터 교육, 분석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데이터가 증가하면 데이터센터는 당연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 2021년 글로벌 인터넷 데이터 시장 보고서(Global Internet Data Centers Market Report)에 의하면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데이터센터의 시장 규모는 2027년 1434억 달러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에 따르면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는 전 세계 전력의 약 8%를 소비할 것으로 예상된다.데이터센터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걸까? 데이터센터는 방대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 처리, 배포할 수 있는 중앙 집중화된 시설이다. 조직의 가장 중요하고 독점적인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데이터센터는 조직의 모든 운영에 중추적인 역할을 맡게 되므로, 데이터센터에 고장이 발생하면 지속적인 운영을 하는데 큰 차질이 생기게 된다.데이터센터의 고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건 냉각기술이다. 노트북을 오래 사용하다보면 노트북이 뜨거워지고 팬의 소리가 거칠어지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기업체의 데이터센터는 비즈니스의 지속을 위해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되는 곳이 많다. 이때 데이터센터의 냉각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열이 발생하고 이는 장비의 고장, 심각하게는 가동 중지로 이어진다.따라서 효과적인 데이터센터 냉각기술은 기업의 생산성, 기후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다. 오늘 소개하는 회사는 서브머(Submer)로 침수냉각 방식을 사용해 데이터 관리의 신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솔루션을 제시한다.
황재진 2022.04.17 04:42 PDT
각 기업에서 해킹 및 보안 사고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에 따른 피해도 막대하다. 기업들이 '보안'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분야 중 하나는 바로 '접근 관리(Access Control)'다. 개인 인증 방식을 도용하면 개인의 계좌나 기업의 비밀 정보에 접근하는 '열쇠'가 된다.그러나 문제는 가장 기본적이지만 대부분의 조직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분야가 바로 접근 관리란 점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접근 관리를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은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이다. 하지만 아이디, 패스워드 유출 등 보안 사고가 빈번해 접근 관리에 어려움을 겪자 최근에는 많은 조직이 멀티 팩터 인증(MFA: Multi Factor Authentication) 방식을 활용한다. MFA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 시 기존 프로세스에 일회성 인증번호를 발급을 추가해 기존의 아이디, 패스워드 접근 방식의 리스크 줄이고자 한다. 하지만 MFA도 아이디, 패스워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개인정보의 유출, 도용 문제 그리고 사용자 스마트폰 분실 등 타인의 부적절한 시스템 접근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다.또 조직의 규모가 수천, 수만 명 단위로 커지고 다양한 종류의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SaaS)를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접근 권한 관리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고 운영상 문제도 속출한다. 예를 들어 보안 감사 또는 보안 진단 때 나오는 가장 많은 지적 사항은 바로 퇴사자 또는 계약직원의 접근 계정 삭제가 즉시 이뤄지지 않는 다는 점이다. 네트워크 접근은 차단되었더라도 특정 회사 시스템에는 여전히 부적절한 개인의 권한이 부여 돼 있는 경우도 많다. 이렇듯 사이버 공격 등 개인 정보 유출로 인한 조직의 IT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등장한 기술이 바로 계정접근관리(IAM : Identity Access Management)다. 어스아이디.ai(authID.ai)는 최근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계정접근관리(IAM: Identity Access Management) 분야의 뜨는 스타트업이다. 생체 인식 정보로 시스템 인증 및 접근 권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Youngjin Yoon 2022.04.11 16:45 PDT
팬데믹의 장기화로 비즈니스 환경이 디지털 중심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기업들은 새로운 비즈니스 도약을 위해 고객 경험, 비즈니스 모델, 운영 등 기업 전반에 디지털 소프트웨어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경쟁력 확보를 위해 효율적인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API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요청하고 제공받는데 도움을 주는 구성 요소다. 예를 들어, 항공사 예약 앱을 만들려고 한다면 각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정형화된 API를 통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아야 한다.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중간자 역할을 한다.디지털 환경이 일반화 될수록 API를 사용하는 빈도수는 증가한다. 분산된 API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한 곳에 모아 관리해야 한다. 기업에서 사용하는 API를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을 개발한 기업이 바로 라피드API(RapidAPI)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라피드API의 인터페이스는 마치 앱스토어에 진열된 애플리케이션을 보는 것과 비슷하다. 앱스토어에서 누구나 쉽게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찾아볼 수 있듯이 개발자가 API를 찾아보기 쉽게 진열해 놓았기 때문이다. 라피드API의 플랫폼을 이용하면 효과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개발 속도는 끌어 올릴 수 있고 개발자 인력 부족의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김주현 2022.04.11 16:27 PDT
가끔씩 직장 동료나 상사에게서 평소와 다른 뉘앙스의 이메일이 올 때가 있다. 십중팔구는 해킹이다. 해킹당한 이메일 계정으로 모든 직원들에게 이상한 메일이 보내지고 피해자는 당혹감을 면치 못한다. 문제가 해킹만 있는 건 아니다. 스팸 폴더를 열어보면 무수한 스팸 이메일들이 하루가 다르게 차곡차곡 쌓인다. 이렇게 사이버 위험은 우리의 삶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조직에서는 매년 직원들에게 사이버 보안 교육을 실시하며 사이버 위험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통계를 살펴보면 사이버 위험은 전 세계 기업의 가장 큰 우려 사항 중 하나다. 알리안츠 리스크 바로미터(Allianz Risk Barometer)의 2022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사이버 위험(44%)은 비즈니스 중단(42%)이나 자연 재해(25%)보다 기업을 더 불안하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사이버 위험이 우리 삶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고, 기업의 골치를 썩이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사이버 보안 방법은 없을까 생각해보게 된다. 오늘 소개하는 기업은 브라우저를 통해 기업의 사이버 보안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기업 아일랜드(Island). 마이크 페이(Mike Fey)와 댄 아미가(Dan Amiga)가 이끄는 아일랜드는 엔터프라이즈 브라우저(Enterprise Browser)를 통해 사이버 보안과 직원 생산성의 판도를 바꾸려 한다.
황재진 2022.04.10 06:50 PDT
최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4일(현지시간) 마감한 제56차 총회에서 지구의 온도 상승 폭을 오는 2100년까지 1.5도로 제한하는 '지구 온난화 제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2030년까지 43% 가까이 줄여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기후변화와 관련한 기술과 스타트업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광물을 이용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혁신 기술을 선보이는 기업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신생기업 에어룸(Heirloom)은 2020년에 설립된 회사로 광물을 이용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스펀지처럼 흡수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에어룸은 오는 2035년까지 대기 중에 있는 10억 톤에 달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해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는데 기여하는 비전을 갖고 있다.
김주예 2022.04.05 14:15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