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클라우드 리더가 인터넷・모바일 시대를 대표하는 기업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베세머 벤처 파트너스는 SaaStr Build 행사에서 모바일과 인터넷 트렌드의 대명사였던 FAANG(Facebook, Apple, Amazon, Netflix, Google)이 과거와 달리 주식 시장에서 성장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대신 클라우드 리더 기업 MT SAAS(Microsoft, Twilio, Salesforce, Amazon, Adobe, Shopify)가 성장을 주도했다.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메가 트렌드며 향후 전 세계 GDP 전반에서 가장 강력한 거시 테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3년 뒤 클라우드는 모든 소프트웨어의 지배적인 모델이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내놨다.베세머 벤처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주가를 분석한 결과, MT SAAS는 180% 성장했다. 반면, FAANG은 130% 성장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S&P 지수는 20%, 다우존스 지수는 10% 성장했다.
톱 5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업 시가 총액이 1조 달러(약 1132조원)를 넘어섰다. 전체 클라우드 기업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치면 2조2000억 달러(약 2490조원)에 달한다. 베세머 벤처스 파트너스는 SaaStr빌드 행사에서 1년전과 비교해 SaaS 기업 시가총액이 70% 증가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은 클라우드 사용량 증가를 불러왔다. 미국에선 병원에 가지 못하는 대신 원격의료가 증가했다. 병원 내에서 코로나19 감염을 우려한 환자들이 원격진료를 이용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300% 늘었다. 원격학습도 클라우드 사용량 증가에 기여했다. 93%의 가구가 여전히 원격 교육중이다. 줌과 캔버스 등 LMS 솔루션을 사용한다. 브라이트휠(Brightwheel)은 교사와 가족을 연결하고 커뮤니케이션하게 지원한다. 중소기업과 음식점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환 압박이 심했다. 토스트(Toast)는 중소기업과 레스토랑 등이 모바일 주문, 온라인 결제에 적응하게 도왔다. 건설업도 궁극적으로 물리 대면을 피할 수 없는 업종이다. 팬데믹은 이런 사업도 클라우드 기술로 협력하게 움직였다.
세계 최대 콘텐츠·엔터테인먼트 기업 ‘월트디즈니(DIS)’는 지난해 터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큰 고역을 겪었다. 사무실 폐쇄,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1만명에 달하는 콜센터 직원이 사무실에 모여 일할 수 없게 된 것이다.계속 콜센터를 운영해야했던 디즈니가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솔루션은 ‘토크데스크(Talkdesk)’였다. 토크데스크는 클라우드(가상 서버) 기반으로 인터넷 상담 플랫폼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디즈니는 단 24시간 만에 원격 콜센터 환경을 구축했고, 성공적으로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박원익 2021.02.18 18:31 PDT
우량 기업만 들어가는 S&P 500이나 다우존스를 뛰어넘는 지수가 있다. 벤처캐피탈 기업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Bessemer Venture Partners)가 만든 BVP 나스닥 이머징 클라우드 지수(BVP Nasdaq Emerging Cloud Index)다.BVP는 2013년에 이머징 클라우드 지수를 만들었다. 해당 지수는 지난 몇년 동안 상장된 비즈니스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으로 구성된다. 탄탄한 매출에 성장성까지 갖춘 기업이다. 아마존 AWS나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형 주식은 포함되지 않는다.이머징 클라우드 지수는 2013년 8월 이후 나스닥, S&P 500, 다우존스 지수보다 월등한 성장률을 보였다. 이머징 클라우드 지수에 포함된 기업 전체 시가총액(2월 12일 현재)은 2859억달러(약 315조)다. 나스닥이 1만4095억달러(약 1553조9700억원), S&P500 기업이 3935억달러(약 433조8300억원), 다우존스 기업이 3만1458억달러(3468조 2400억 원)다. 시가총액은 가장 작지만 성장률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머징 클라우드 지수가 만들어진 2013년 8월 이후 성장률은 1212.7%에 달한다. 같은 기간 나스닥은 289.2%, S&P 500은 137.6%, 다우존스는 108.6% 성장했다.
김인순 2021.02.16 09:27 PDT
미국 대형 자동차 업체들이 테크 기업들과 손잡고 클라우드 컴퓨팅에 사활을 걸고 있다. 머지 않은 미래에 상용화될 자율주행기반 모빌리티의 핵심이 바로 소프트웨어, 그 중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체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고수해오던 완성차 업체들은 과감히 이를 버리고 첨단 테크회사들에 아웃소싱하며 기술발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다음 무대가 모빌리티로 이동하면서 테크와 자동차 업계간 주도권 싸움도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송이라 2021.02.03 15:45 PDT
아마존(AMZN)이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온라인 쇼핑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 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 1000억달러를 돌파했다. ‘전설’ 제프 베조스가 최고경영자(CEO)에서 물러났지만, 우상향하는 회사 실적에는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란 분석이다. 아마존은 2일(현지 시각) 2020년 4분기 매출액이 1256억달러(약 140조원)를 기록, 전년 같은 기간(874억달러)보다 44% 증가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 매출 전망치(1197억달러, 약 133조5000억원)를 넘어선 수치다.4분기 순이익은 72억달러(약 8조원)를 기록했고, 주당순이익(EPS)은 14.09달러로 시장 추정치(7.23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박원익 2021.02.03 09:12 PDT
마이크로소프트(MSFT)가 예상치를 넘는 클라우드 사업 호조를 보였다. MS는 26일(현지시각) 4분기(MS 회계 2분기) 매출이 1년 전보다 17%나 상승한 431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는 MS가 이번 분기에 402억 달러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측했다. MS는 예측치를 뛰어넘는 성과를 내며 1.2% 상승한 232.33달러로 마감했다. MS 주가는 지난 12개월 동안 41% 상승했다. MS 퍼블릭 클라우드 물결 거세MS는 퍼블릭 클라우드 부문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를 바짝 추격했다. 클라우드 비즈니스 가치가 1조 달러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MS의 현재 시가 총액은 1조 7000억달러다. 사티아 나델라 CES는 "지난 한해 모든 회사와 산업을 휩쓸고 있는 두번째 디지털 혁신 물결을 목격했다"면서 "모든 조직이 자체 디지털 능력을 키우는게 탄력성과 성장을 이끄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에미 후드(Amy Hood) MS CFO는 "상용 클라우드 수익이 전년대비 34% 증가한 167억 달러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Azure)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클라우드(Intelligent Cloud)의 매출은 146억 달러로 21% 증가했다. 월가 예상 범위 인 135억 5000만 달러에서 138억 달러를 상회했다. MS의 애저 퍼브릭 클라우드 비즈니스는 경쟁사인 AWS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MS는 윈도 시절부터 기업과 오랜 관계를 맺어왔다. 코로나19 등으로 갑작스럽게 디지털전환을 시작한 보수적인 기업이 클라우드를 도입할 때 MS를 파트너로 선정했다.
김인순 2021.01.26 22:52 PDT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는 12일(현지시간) CTA's Vision for the Tech Industry in the Decade Ahead에 깜짝 출연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CES2021의 공식 기술 파트너다.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던 CES를 디지털 전환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행사에 애저(Microsoft Azure), 팀즈(Microsoft Teams)와 파워플랫폼(Microsoft Power Platform)을 제공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올 디지털 CES2021의 기술 인프라를 운영 중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CES2021 운영으로 디지털 컨퍼런스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만들고 있다. 전세계 동시 접속을 통한 온라인 키노트와 미팅, 전시가 모두 디지털로 이뤄지고 있다. 올 디지털 CES를 클라우드 인프라가 뒷받침하고 있다.
김인순 2021.01.13 00:00 PDT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빅테크 기업이 엣지 컴퓨팅 시장 선점 레이스를 시작했다. CB인사이트는 '빅테크 기업의 엣지 컴퓨팅' 보고서를 내고 빅테크 기업이 5000억 달러(약 551조원)에 달하는 새로운 시장 선점에 집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80년간 컴퓨팅 트렌드는 중앙 집중 메인프레임에서 분산형 개인컴퓨터(PC)로 움직였다. 여기서 또 다시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처리하는 중앙집중식으로 변화했다. 이런 변화는 기업 흥망성쇠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IBM이 메인프레임 시장을 선도했다. 그 이후 마이크소프트가 PC 시대를, 아마존이 클라우드 시장을 이끌고 있다. 엣지 컴퓨팅은 다시 분산 컴퓨팅 시대로 전환을 의미한다. CB인사이트는 엣지 컴퓨팅 시장이 2000년대 초기 PC 시대와 유사하다고 분석한다. 컴퓨팅 변화에 따라 이를 주도하는 기업이 뒤바뀐다.
김인순 2020.12.20 23:32 PDT
세일즈포스가 슬랙을 277억달러(약 30조2900억원)에 인수한다는 발표가 났다. 실리콘밸리 많은 전문가들은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초대형 M&A가 나올 것으로 보면서 '넥스트 빅딜'이 어디일지 예상하고 있다. 디인포메이션은 세일즈포스의 슬랙 인수가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M&A 시장에 큰 신호탄이라고 보도했다. 물망에 올라 있는 드롭박스(Dorpbox), 박스(Box), 몽고DB(MongoDB) 등이다. 🎯 2021년, M&A 빅딜은 계속된다. 회계컨설팅기업 PwC는 코로나19 이후 장기적 가치를 창출하려는 기업이 인수 목표를 찾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지금이 M&A 하기에는 더할나위없이 좋은 시기다. 팬데믹으로 시장 변동성이 높아지며 거래 가격이 매력적이다. 이자율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내려가 거래 자금 조달에 필요한 차입금도 그 어느 때보다 저렴하다. 실제 레피니티브(Refinitiv)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7월과 8월에 발표된 M&A 합산 가치는 2600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8월에 50억 달러 이상되는 거래가 9건이나 있었다. 이는 1999년 이후 가장 많다. 세일즈포스와 슬랙, AMD와 자일링스 등 기술 부문이 거래를 주도했다.디인포메이션은 은행가, 투자자, 기술 업계 임원을 모아 2021년 다양한 인수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기업이 큰 규모 인수합병에 나서는 것은 이를 통해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를 보기 때문이다. 기업 주식 성과를 보여주는 지표인 BVP 나스닥 이머징 클라우드 인덱스(Nasdaq Emerging Cloud Index)는 현재 90% 상승했다. 전체 나스닥은 36% 올랐다. 코로나19로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기업간 더 많은 통합이 요구되는 것도 원인이다.
김인순 2020.12.13 14:48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