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연말이 되면서 투자은행들도 내년 전망에 대한 리포트를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은행이자 월가의 큰형님같은 IB 골드만삭스의 2023년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먼저 매크로 환경은 어떻게 변할까요? 올해 시장을 이끈 최대 요인을 보면 결국 매크로 환경이었죠. 아무리 기업들의 수익이 좋았어도 금리와 인플레이션같은 매크로 환경은 주가를 끌어내린 원동력이 됐습니다. 그만큼 내년도 매크로 환경이 주식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하는기본 펀더멘탈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크리스 정 2022.12.11 16:38 PDT
1. 이번주 주시해야 할 핵심 시그널: 고용보고서, 그리고 제롬 파월 지난 23일(현지시간) 발표된 11월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minutes) 이후 연준의 긴축 기조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로 나타나고 있다. 금리와 달러가 모두 약세로 전화한 가운데 투자심리를 이끌고 있는 '금리의 정점'에 대한 기대는 오는 2일(현지시간, 금) 발표 될 노동부의 고용보고서로 시험에 직면할 것이다. 경제학자들은 미국 경제가 11월 20만 건의 새로운 일자리를 추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이는 2020년 12월 이후 가장 느린 증가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지난 6번의 고용 보고서 중 5번이 시장의 예상보다 좋았던 바 있어 시장의 경계가 커지고 있다. 강력한 고용은 연준의 긴축 기조를 강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시장의 포커스가 연준으로 향하면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에도 주목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준 의사록이 예상보다 완화적인 분위기를 보여줬지만 파월 의장의 발언은 매파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평이다. 고용 보고서를 비롯해 소비자신뢰지수와 대표적인 경기선행 지표로 인식되는 공급관리자협회(ISM)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역시 주목해야 할 데이터다.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각 지역 연은이 경제상황을 업데이트하는 연준의 베이지북에도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또 다른 핵심은 40년 만에 가장 높은 물가 상승세를 겪고있는 미국 경제가 어느 정도 수준의 소비 탄력성을 보여줄 수 있느냐의 여부다. 어도비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연말 최대 쇼핑 시즌의 시작점인 블랙프라이데이에 소매 매출은 전년 대비 2.3%가 증가한 91억 20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7.7%에 달하는 인플레이션과 비교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스 정 2022.11.28 09:33 PDT
1. ETF 자금 흐름현황: FOMC 이후 광범위한 자금 유출지난 주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흐름은 3번 연속 75bp 금리인상을 강행한 연준의 통화정책회의 결과에 따라 급격한 유출세를 겪으며 자산시장의 부진을 반영했다. ETF.com에 따르면 ETF 시장은 약 140억달러의 손실을 겪을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충격을 흡수한 것은 미국 주식관련 상품으로 약 112억달러의 자금이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 ETF는 8월 19일 마감된 주 이후 처음으로 13억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1980년대 이후 전례없는 금리인상 기조를 보여주고 있는 연준의 강경한 스탠스에 S&P500은 FOMC 회의 이후 4.6% 이상 폭락했고 2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ETF 시장 역시 이런 충격을 그대로 받았다. 뱅가드의 미국 주식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VTI는 약 20억달러의 유출을 겪었고 투자등급 회사채 상품인 LQD 역시 17억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주식과 채권이 모두 광범위한 손실을 겪었고 국제채권이 5억, 상품관련 ETF 역시 10억달러 수준의 유출로 현금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산이 흔들렸다. 반면 대형 라지캡 위주의 코어 상품인 iShares의 ITOT는 17억달러가 유입되고 스몰캡 대표 상품인 IWM 역시 11억달러의 유입세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위험 분산에 있음을 시사했다.
크리스 정 2022.09.27 12:14 PDT
1. 자금 흐름 현황: 역사상 최악의 채권시장 붕괴👉 주간흐름: 현금으로 303억달러가 유입되며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금은 4억달러가 유출됐고 주식과 채권은 각각 78억달러와 69억달러의 자금 유출을 겪었다.👉 알아두어야 할 큰 흐름: 전체적으로 여전히 주식시장에서의 대규모 자금 유출은 없다. 올해 주식 ETF로의 자금 흐름은 3760억달러로 2019년과 2020년의 수준을 능가한다. 유럽의 경기침체 가능성으로 유럽 자산시장에서의 자금 유출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국채로의 자금 유입은 금리인상에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 주요 자금 흐름: 주식시장에서 78억달러가 유출됐다. ETF로는 8억달러가 유입된 반면 뮤추얼펀드에서 86억달러가 유출되며 순유출을 기록했다. 채권은 국채 64억달러 유입세를 제외한 모든 상품에서 자금이 유출됐다. 미국, 일본, 유럽 주식시장에서 모두 자금이 유출됐으며 이머징은 10억달러로 2주 연속 자금이 유입됐다. 미국에서는 라지캡 주식이 57억달러로 유일한 자금 유입세를 기록했다. 반면 가치와 성장, 그리고 스몰캡은 모두 각각 20억달러가 넘는 유출이 있었다. 섹터별로는 부동산이 금리인상에도 가장 많은 4억달러의 자금이 유입됐으며 헬스케어와 에너지, 유틸리티가 유입세를 기록했다. 👉 투자전략: 2022년 자산시장의 테마는 주식이 아닌 채권시장의 붕괴다. BofA에 따르면 올해 채권시장은 역사상 최악의 베어마켓에 진입했다. 2차 대전 이후 유럽 재건을 위해 마셜플랜(Marshall Plan)이 발동된 1949년과 1차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Treaty of Versailles)이 체결된 19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채권시장 붕괴라는 평이다. 8월 1일(현지시각) 이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110bp 이상 올랐고 영국은 +123bp, 독일은 +87bp가 상승했다. 모두 1990년 이후 가장 빠른 상승세다. 금리의 급등세를 초래한건 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의 긴축이다. 통화정책이 긴축을 향하고 있지만 재정정책은 에너지 위기와 전쟁으로 인해 더 증가하는 추세다.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막고있지만 정부는 극심한 경기침체를 막기위해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 부양책을 쓰고 있는 형국이다. 금리와 달러가 완전한 하향세를 보이기 전까지 몸을 한껏 움추리는 방어적인 전략이 필요한 때다.
크리스 정 2022.09.23 08:31 PDT
전일(5일, 현지시각) 미 증시는 월가의 예상보다 훨씬 매파적인 정책의 전환을 시사한 12월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이 공개되면서 3대 지수가 모두 큰 폭의 하락 마감했다. (다우 -1.07%, 나스닥 -3.34%, S&P500 -1.94%, 러셀2000 -3.30%)12월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 임원들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빠른 정책의 전환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부분의 관리들이 기준금리 인상을 위해 테이퍼링의 가속화를 요구했으며 8조달러에 달하는 대차대조표도 축소해야 할 것을 시사하면서 시장의 충격은 컸다. WSJ에 따르면 채권 시장이 반영하는 3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71%에 달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한달 전 32%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로 시장이 테이퍼링의 종료와 함께 금리인상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 국채금리는 급등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한때 1.751%까지 상승하며 1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 채권시장의 매도세를 반영했다. 국채금리가 급등하면서 밸류에이션의 부담이 있는 기술주의 낙폭은 확대됐다. 나스닥은 지난 3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일일 하락세를 기록했다. 오늘 시장은 연준의 정책 전환으로 인한 여진이 계속되는 모습이다. 테슬라를 비롯해 애플 등 기술주는 개장 전 1% 수준의 하락세를 보이며 전일의 급락세를 이어갔다. 반면 금리상승의 가능성에 불이 켜지면서 파이낸셜 섹터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와 JP모건 등 은행주들은 강세로 전환했다. 연준의 정책 전환으로 인한 시장의 하락세에 단스케 뱅크 웰스 매니지먼트의 라스 앤더슨 투자 전략가는 "우린 힘든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시장의 변동성은 이달 말 기술주들이 실적을 보고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며 이후 투자자들이 이를 저점 매수의 기회로 여길 수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앤더슨은 여전히 매수의 기회로 여길 종목으로 금리상승에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파이낸셜과 함께 더 광범위한 시장을 목표로 할 것을 주문했다. 암호화폐 시장도 타격이 컸다.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에 대한 노출을 꺼리면서 비트코인은 4만 3천달러까지 하락했다. 반면 에너지와 파이낸셜은 긍정적인 투자의견과 매크로 환경으로 인해 상승세를 보이며 목요일(6일, 현지시각) 시장의 반등세를 주도하고 있다.
크리스 정 2022.01.06 07:25 PDT
미국 블록체인 기업 '서클(Circle)'이 국가 디지털 화폐 은행(national digital currency bank)이 되겠다고 천명했다. 서클은 미국 달러에 연동한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가격 변동을 줄인 암호화폐) 'USDC' 발행사다.9일(현지시각)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 서클 CEO는 회사 블로그를 통해 "법정화폐(fiat currency)와 블록체인을 결합, 디지털 화폐 은행을 구축할 수 있다고 꿈꿔왔다"며 "서클은 미국 연방 정부가 승인한 상업 은행이 되기 위한 길목에 들어섰다"고 말했다.3년 전 코인베이스(티커: COIN)과 함께 론칭한 USDC가 중요 인프라로 성장했고, 많은 기관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인정하는 디지털 화폐 전문 금융기관이 될 조건을 갖추었다는 주장이다.
박원익 2021.08.14 14:01 PDT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계속되면서 미국 은행주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펀더멘털(기초체력)이 튼튼하고 목표주가가 올라간 종목의 흐름이 양호할 것이란 관측이다.‘미국형님’ 데이비드 리 테일러 투자자문그룹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지난 30일(현지 시각) 더밀크TV 라이브에 출연해 “역레포(reverse REPO) 시장의 자금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사실상 연준이 긴축을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원익 2021.07.04 00:11 PDT
월가 대형 IB(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쿠팡(티커: CPNG)에 대한 첫 보고서를 냈다.CNBC 등 외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5일(현지 시각) 쿠팡에 대한 첫 보고서를 발간하고 ‘매수’ 의견을 냈다. 목표주가는 62달러로 제시했다.상장 한달 여 만에 미국 주요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 보고서가 나온 것이다. 쿠팡은 지난 3월 11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 공모가(35달러)보다 40.71% 오른 49.2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5일 종가는 45.84달러였다.쿠팡이 한국 시장에서만 사업을 한다는 약점을 극복하고 뉴욕 증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지 주목된다.골드만삭스는 “쿠팡은 한국 전역에 걸쳐 물류 및 배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며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상당한 경제적 해자(moat, 구조적 경쟁 우위)를 만들었다”고 했다.골드만삭스는 이어 “한국은 높은 전자상거래 침투율(penetration)과 세분화(fragmentation)로 전 세계적으로도 독특한 전자상거래 시장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박원익 2021.04.05 13:20 PDT
블랙스완 이코노미더밀크는 향후 미국 경제를 전망하기 위해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 경제학과에서 개최한 ‘블랙스완 경제(Blackswan Economy)’ 세미나에 참석했다. 글로벌 사모펀드 TPG의 최고투자책임자인 조너선 코슬렛(Jonathan Coslet)과 존 테일러(John B.Taylor) 스탠퍼드 경제학과 교수(2012년 블룸버그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사상가)의 향후 미국경제에 대한 전망이었다.
손재권 2020.06.15 01:16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