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세계 최대규모의 기술 박람회 CES를 주관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의 게리 샤피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4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트렌드쇼2025'의 기조연설 무대에서 내년 CES를 이렇게 전망했다. CTA는 한국에서는 최초로 CES2025 공식 미디어 파트너인 더밀크의 프리미엄 컨퍼런스 '트렌드쇼2025'를 통해 한국 기술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내년 CES를 전망하는 'CES2025 프리뷰'를 제공했다. 영상을 통해 한국의 기술 커뮤니티와 만난 샤피로 CEO는 한국이 내년 CES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미래의 문을 여는 CES2025'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CES2025를 앞두고 한국 관계자들과 소통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샤피로 CEO는 "한국은 반도체, 스마트 홈 솔루션, TV 등 기술 혁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힘줘 말했다. 특히 "삼성과 LG와 같은 선도적인 기업들이 CES에서 매년 혁신적인 기술들을 선보이고 있다"면서 "실제로 올해 1월 열린 CES2024에서 한국은 미국 외 국가 중에서 가장 많은 약 1만5000명이 참석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샤피로 CEO는 “한국 기술 커뮤니티의 지속적인 지원과 혁신에 감사드린다”며 한국의 기술 혁신이 CES와 글로벌 기술 산업의 성공에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그는 "2025년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전 세계 기술 커뮤니티와 함께 기술의 미래를 탐구하고, 삶을 개선할 혁신적인 잠재력을 함께 발견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하며 인사를 마쳤다.
권순우 2024.10.25 17:04 PD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startups often face challenges in managing their finances due to limited resources, making it difficult to hire a dedicated Chief Financial Officer (CFO). In addition to managing income and expenses, accurately predicting the company’s "runway" is a constant struggle, complicating their financial operations.To address these challenges, a company has launched a platform leveraging generative AI. B2B fintech specialist Webcash, led by CEO Kang Won-joo, unveiled its new AI financial assistant, "AICFO," on the 17th, specifically designed for CEOs and CFOs.During the launch event at the Conrad Hotel in Yeouido, Seoul, Webcash Vice Chairman Yoon Wan-soo introduced the AI-driven financial assistant solution, AICFO, stating, "We aim to set a new standard in corporate financial management with our AI assistant, which is tailored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He further explained, "This project represents a three-year investment of KRW 10 billion, and we are confident that we have created the best AI assistant for corporate financial management."AICFO is a solution that collects real-time financial data to monitor a company’s financial status and utilizes generative AI to predict and analyze cash flow. It offers 24/7 monitoring from anywhere, providing financial data in real-time. This flexibility makes it particularly useful for CEOs and CFOs on overseas business trips, offering cost-saving benefits as well.According to Vice Chairman Yoon, AICFO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services like Salesforce’s Einstein by being an entirely independent AI service. It is specifically designed for CEOs and CFOs rather than for lower-level staff, simplifying the service’s functionality. The use of a mobile-centric interface further highlights this focus.Yoon emphasized, "The landscape of the financial market has completely shifted. We are now transitioning from an era of manual work to one where we work through speech commands, fundamentally changing how we operate." He added, "This is our first product launch since the introduction of 'Kyungri Nara' in 2017. The emergence of ChatGPT in November 2022 gave new clarity to our previously uncertain project. We aim to expand into the global market by broadening our reach with AI-driven assistant software."
권순우 2024.10.21 02:05 PDT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은 어려운 자금 사정 때문에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따로 채용하기가 쉽지 않다. 수입이나 지출 관리는 물론, '런웨이'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아 자금 운용에 늘 어려움을 겪곤 한다. 이런 기업의 난제를 풀기 위해 '생성AI'를 활용한 플랫폼을 내놓은 기업이 있다. B2B 핀테크 전문기업 웹케시(대표 강원주)는 지난 17일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CFO를 위한 AI자금비서 'AICFO'를 출시했다. 윤완수 웹케시 부회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생성형AI 기반의 자금 비서 솔루션 'AICFO'를 공개하고, "기업 자금 관리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3년간 100억원을 투자한 프로젝트"라며 "오랜 기간 준비했다. 기업 자금관리에 특화한 'AI 비서'를 가장 잘 만들 수 있다고 자신한다"고 말했다. AICFO는 실시간 금융 데이터를 수집, 회사의 자금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생성AI를 통해 자금 흐름을 예측, 분석하는 솔루션이다. 실시간 금융 데이터를 제공하면서도 24시간 365일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해외 출장 중에도 활용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윤 부회장에 따르면 AICFO는 세일즈포스의 아인슈타인 등 다른 서비스와 달리 독자적인 AI 서비스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특히 기업 실무자가 아닌 CEO, CFO를 주 타깃으로 해 서비스를 단순화했다. 모바일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윤 부회장은 "자금시장의 판도가 완전히 달라졌다"며 "이제 손으로 일하는 시대에서 말로 일하는 시대로 일하는 방식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2017년 출시한 '경리나라' 이후 처음으로 선보이는 제품"이라며 "2022년 11월 챗GPT가 등장하면서 우리의 불확실했던 프로젝트가 더욱 선명해졌다.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AI비서형 소프트웨어로 영역 확장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순우 2024.10.21 02:05 PDT
브릭스(BRICs)라는 용어를 만들어낸 경제학자인 짐 오닐스는 이머징 마켓의 성장 잠재력을 강조하며 금융주에 대한 투자 기회를 이렇게 강조했다. 그 외에도 이머징의 성장과 관련해 금융주 투자를 권장한 월가의 구루는 많다. 이머징 마켓 투자의 선구자로 인식되는 마크 모비어스와 핌코의 전 CEO인 모하메드 엘-에리안, 그리고 '채권왕'으로 인식되는 제프리 건들락까지 이머징의 성장은 곧 금융의 성장으로 인식했다. 이들의 조언은 일반적으로 이머징 마켓의 폭발적인 경제 성장과 금융 시스템의 발전이 결과적으로 금융주의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누 홀딩스(Nu Holdings, 티커: NU)는 2013년 설립된 브라질에 본사를 둔 핀테크 기업으로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은행 누뱅크(Nubank)의 모기업이다. 주요 서비스로는 모바일 뱅킹을 비롯해 신용카드, 대출, 투자 상품 등이 있다. 누 홀딩스는 빠른 성장과 혁신적인 서비스로 많은 저명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2021년 12월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하였으며 주요 투자자로는 워런 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와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 세쿼이아 캐피탈, 그리고 소프트뱅크 등에서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크리스 정 2024.06.24 16:00 PDT
북미 최대 소셜 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인 ‘레딧(Reddit)’이 본격적인 상장 준비 절차에 돌입했다. 올해 레딧이 미국 증시에 상장하면 2019년 핀터레스트 이후 ‘5년 만의 대형 소셜미디어 기업 상장’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구글·메타·아마존 등 빅테크를 비롯해 틱톡, 스냅을 비롯한 소셜미디어, 전통 언론사, 디지털미디어 기업들이 광고 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레딧의 상장이 산업 지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원익 2024.01.18 14:26 PDT
골드만삭스와 애플의 연합이 깨지고 있다. 두 회사의 협업으로 나온 애플카드가 2019년 큰 반향을 일으킨 가운데 두 회사는 2024~2025년 종료하는 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파트너십은 2029년까지였다. 28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포춘 등에 따르면 애플은 골드만삭스에 향후 12~15개월 이내에 계약을 해지하자는 내용의 제안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2019년 두 회사가 출시한 애플 신용카드와 2023년 출시된 저축계좌 등 전체 개인금융 분야를 포함한다. 애플이 신용카드에 대한 새로운 은행을 찾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Sejin Kim 2023.11.29 13:00 PDT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지만, 올 연말 미국에선 폭발적인 소비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경기침체가 올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미 기업들이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는 탓이다. 기폭제는 추수감사절(11월23일), 블랙프라이데이(11월24일), 사이버먼데이(11월27일)를 아우르는 ‘사이버위크’다. 어도비는 이 사이버위크 기간에만 미국 전자상거래 기업 매출이 372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전년보다 5.4% 증가한 수치다. 연말 예상 매출액의 16.8%을 차지하기도 한다. 어도비는 11~12월 두 달 동안 미국 온라인에서 2218억달러(약 287조원)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전년보다 4.8%, 101억달러(약 14조원) 늘어난 금액이다. 맥킨지는 일부 임의소비재 기업의 경우 연말에 발생한 매출이 2023년 전체 매출의 40%까지 차지할 수 있다고 봤다. 당장 블랙프라이데이 날 온라인 지출은 신기록을 세웠다.이들은 대체 어디에 돈을 쓰고 있을까? 미국의 최신 소비 트렌드는 크게 4가지로 축약된다. 모바일, 옴니채널, 경험, 선구매후결제(BNPL)다.👉 2023 테크템 선물 10선
Sejin Kim 2023.11.26 08:48 PDT
패트릭 콜리슨(Patrick Collison) 스트라이프 공동설립자 겸 CEO는 3일(현지시각) 개최한 자체 컨퍼런스 ‘스트라이프 세션 2023’(Stripe Sessions 2023) 기조연설을 통해 “매년 100개 이상의 기업이 스트라이프로 각각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처리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등으로 세계 경제가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결제 소프트웨어·인프라 등 인터넷 경제는 여전히 성장세에 있으며 핀테크(Fintech, 금융+기술) 기업인 스트라이프가 그런 성장을 뒷받침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스트라이프가 지난 4월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스트라이프로 처리된 결제 총액은 8170억달러(약 1084조원)으로 2021년 대비 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스트라이프의 신규 고객 수는 19% 늘었으며 매주 평균 4600개의 새로운 고객사가 스트라이프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다.스트라이프가 다른 기업을 제치고 핀테크 기업가치 1위(2023년 3월 기준 기업가치 500억달러, 한화 약 66조3000억원)를 유지하는 비결은 무엇일까. 스트라이프가 전 세계 50개국 시장에 진출, ‘인터넷 경제의 애플’로 자리매김한 배경은 뭘까. 스트라이프 세션 2023에서 발견한 스트라이프의 4대 성공 비결을 더밀크가 심층 분석했다.
박원익 2023.05.04 16:05 PDT
암호화폐 시장은 악재의 연속이었다. 지난 2022년에는 테라 루나와 에프티엑스(FTX)가 파산하면서 여기에 자금을 묶어 놨던 블록파이, 셀시우스, 제네시스 등 기업들도 고객 인출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고 덩달아 파산했다. 이른바 암호화폐 유동성 위기다. 이후 암호화폐 시장 유동성은 급격히 쪼그라든 상태다. 하지만 이 유동성이 마른 현 사태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와 눈길을 끈다. 26일(현지시각) 미국 텍사스에서 열린 컨센서스(Consensus)2023에선 헬렌 브라운(Helene Braun) 코인데스크 기자, 마이크 벨시(Mike Belshe) 비트고(BitGo) 대표(CEO), 가이 힐스키(Guy Hirsch) 크라켄(Kraken) 글로벌매니징디렉터, 존 파머 시카코옵션거래소(CBOE)디지털 회장, 크리스 쥘케(Chris Zuehlke) 컴버랜드(Cumberland) DRW 파트너가 패널토론 세션에서 새로운 암호화폐 시장 구조를 논했다.
Sejin Kim 2023.04.29 09:11 PDT
미국 시가총액 1위 기업 애플(Apple)이 내놓은 새로운 예금 상품(savings, 저축)으로 실리콘밸리와 월스트리트 금융계가 떠들썩하다. “미국 평균의 10배가 넘는 4.15%의 수익률”이라는 파격적인 금리를 내걸었기 때문이다. 최소 예치금, 최소 잔액 유지 조건도 없으며 애플 카드 구매 금액의 최대 3%를 돌려주는 리워드(보상) 프로그램 ‘데일리 캐시’도 적용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현금을 보유한 기업 중 하나인 애플이 기술업계뿐 아니라 금융업계에서도 더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애플이 어느 때보다 공격적인 행보를 선보인 이유는 무엇일까? 왜 지금이며 왜 금융업일까? 애플 예금 상품 출시와 관련된 다섯 가지 주요 시사점을 정리했다.
박원익 2023.04.18 17:16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