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오는 10월, 더밀크닷컴은 창간 5주년을 맞이합니다. 더밀크닷컴은 지난 2020년 "기술의 변화 속도가 빨라질수록 본질을 꿰뚫어보는 안목이 더욱 중요하다"는 믿음으로 시작됐습니다. 그리고 매년 개최해온 트렌드쇼를 통해 다음 해를 지배할 테크 트렌드를 깊고 정확하게 분석해왔습니다.돌이켜보면 지난 5년은 정말 격동의 시간이었습니다. 팬데믹, 메타버스 열풍, 크립토 붐과 암호화폐 겨울, 그리고 챗GPT 출현으로 시작된 AI 혁명까지... 더밀크는 누구보다 빨리, 깊게 기술 혁명의 본질을 분석하고 알려드리려 노력했습니다. 지금, 확신을 갖고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지난 5년보다 앞으로 5년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사실입니다.올해 트렌드쇼2026에서는 'AI와의 경쟁' 이라는 화두를 던집니다. 최근 몇 달 동안 AI 업계에서 일어난 변화를 보면, 우리가 완전히 새로운 시대의 문턱에 서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구글 제미나이와 오픈AI가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 점수인 35점을 기록했습니다. 단 1년 전만 해도 은메달 기준인 28점이었는데 말입니다. 오픈AI는 자율적 판단이 가능한 GPT-5를 내놨고 "모든 앱은 에이전트가 될 것"이라며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대체하는 '앱 없는 세상'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합니다. "내 일자리가 사라지는 건 아닐까?"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건 아닐까?" 하지만 이미 현실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팔란티어는 대학 학위 대신 'SAT/ACT 기준만 충족하면' 월 750만원의 고연봉 인턴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메타는 오픈AI 출신 인재 12명을 비롯, 세계 최고 수준의 AI 연구자들에게 수백억에서 수천억원의 보상 패키지로 '슈퍼인텔리전스랩'을 만들었습니다. 스탠퍼드에서는 AI가 일자리에 미친 영향을 논문을 통해 생성AI 도입 이후 22-25세 초급 개발자들의 고용이 13%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핵심을 놓치면 안 됩니다. 기업들은 AI를 도입해서 사람을 줄이려는 게 아니라, AI와 함께 일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인재를 찾고 있다는 것입니다.스탠퍼드 논문에서도 드러난 것은 대학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만으로 무장한 신입사원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는 반면 현장에서 체득한 판단력과 문제해결 경험을 가진 숙련자들은 AI 시대에도 여전히 필요한 존재로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 트렌드쇼 2026, 무엇이 다른가?
손재권 2025.09.01 22:33 PDT
안녕하세요. 큐리어스 죠이입니다. 이제 구정도 지났으니 변명할 여지 없이 2023년 새해 계획을 실행에 옮길 때가 왔습니다. 구독자 여러분은 올 한 해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 저는 1월을 맞아 야심차게 구비했던 다이어리의 밀린 페이지가 벌써 몇주째 쌓여가고 있는데요. 이번 주말은 거창한 한 해 계획은 바라지도 않고 다음주 계획이라도 꼼꼼하게 세워봐야겠습니다.사실 저같은 P형(인식형)들은 연말쯤 되면 연초 세운 목표를 기억해내는 것조차 어려운데요. 저와는 반대로 평생을 꿈꿨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연초부터 뉴욕을 찾은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대한민국 대표 강사 김미경 아트스피치앤커뮤니케이션 대표입니다. 작곡을 전공해 피아노 학원을 운영하다 우연한 기회에 강연에 적성을 찾아 전국 팔도를 누비면서 사람들의 가슴을 파고드는 강연으로 이름을 날린 분이죠. 팬데믹 때 강연이 뚝 끊기면서 앞날이 캄캄했지만, 덕분에 만든 김미경TV는 160만명의 구독자가 있는 대표 유튜브 채널로 키워냈습니다. 사실 전 김미경 대표의 오랜 팬입니다. 학창시절 ‘언니의 독설’을 보면서 가슴 뛰었고요. 결혼하고 나서는 ‘꿈이 있는 아내는 늙지 않는다’를 읽으면서 마음을 다독였어요. 그런데 이 분의 진짜 힘은 그간의 베스트셀러에 머물러있지 않는다는 점이에요. 끝없이 공부하면서 차세대 인터넷인 웹3 세계에 3050 여성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돌격 앞으로!를 외치고요. 연초부터 뉴욕에 간 이유도 한국어가 아닌 언어로 더 넓은 이들의 마음을 얻기 위한 긴 여정을 시작하기 위해서입니다. 엄청난 에너지 아닌가요? 이처럼 김 대표는 온 힘을 다해 자신의 꿈을 이뤄가는 CEO이자 동시에 3명의 자녀까지 훌륭하게 키워낸 엄마이기도 합니다. 아이 둘 키우면서도 허구언날 허덕이는 저같은 사람에게는 그야말로 ‘넘사벽’ 인생 선배인거죠. 그래서 직접 만나봤습니다. 김 대표가 풀어놓는 인생 이야기, 엄마 이야기 같이 들어보실래요?
송이라 2023.01.29 19:54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