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시장 진출, 기술력이 전부는 아닌데..."
“AI를 어떻게 플랫폼에 활용하나요?”“사용자는 어떻게 유입시키고, 어떻게 유지하나요?”“수익은 어떻게 창출합니까? 실제로 돈을 지불하는 주체는 누구죠?”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한복판에서 열린 스타트업 피칭 무대에는 날카롭고 실전 같은 질문이 쏟아졌다. 20여 개 한국 스타트업이 온, 오프라인으로 무대에 올랐고, 발표가 끝날 때마다 심사위원들의 질문이 이어졌다.특히 유명 연예인의 스타일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왈라랜드'의 발표 이후, 투자자들의 집중 공세가 이어졌다. 기술적 활용에서부터 비즈니스 모델, 마케팅 전략, 수익 구조에 이르기까지, 날카로운 질문 공세에 발표자들의 긴장한 모습이 역력했다.피칭은 영어로만 진행됐다. 일부 미국 현지 심사위원들의 빠르고 복잡한 질문에는 한국 심사진이 간혹 통역을 맡아주는 장면도 연출됐다. 이날의 피칭 무대는 단순한 소개 자리가 아니었다. 2023년 애너하임에서 열린 제21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에 이어 다시 한 번 개최된 이번 대회는, 미국 진출을 노리는 K스타트업에게 실질적인 투자 연결의 기회를 제공하는 장이었다.행사장은 열기로 가득했다. 기업 대표와 실무 담당자들은 때론 유려한 프레젠테이션으로, 때론 거친 영어로, 자신들의 제품과 서비스를 소개하며 미국 벤처캐피털과의 연결 고리를 만들어갔다.대회는 정부, 기관, 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실용성과 효율성이 배가된, 실질적인 비즈니스 확장 플랫폼으로 평가받고 있다.실제 현장에서 느껴진 분위기는 명확했다. 스타트업들에게 이 무대는 더 이상 연습장이 아니었다. 심사위원 중 한 명은 "피칭에 참가한 건설자재 기업 중 한 곳을 눈여겨보고 있다"며 "투자는 물론, 미국내 네트워크를 활용해 실제 계약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도 봤다"고 귀뜸했다. 단순한 스타트업 피칭이 아닌, 미국 시장 진입을 향한 진정한 '테스트베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