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긴축 우려 / 경기침체 공포로 증시 하락
전일(15일, 현지시각) 미 증시는 0.75% 포인트로 수십 년 만에 최대폭의 인상을 단행한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에 인플레이션 공포가 완화되며 주요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다우 +1.00%, 나스닥 +2.50%, S&P500 +1.46%, 러셀2000 +1.36%)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에 증시는 한 때 변동성이 확대되기도 했지만 경제에 자신감을 드러낸 연준의 성명과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 시장의 회복 반등세가 시작됐다. 특히 이미 75bp 금리인상을 완전히 가격에 반영했던 채권시장은 금리가 빠르게 하락하며 시장 회복세를 견인했다. 목요일(16일, 현지시각) 증시는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를 재평가하면서 채권금리가 급등, 전일 상승세가 모두 반납하는 하락세로 장을 출발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연계된 선물 시장은 575포인트 하락 출발했으며 S&P500 선물은 2.3%, 나스닥 선물은 2.8% 하락했다. CNBC에 따르면 목요일 연준을 비롯해 전 세계의 중앙은행들이 공격적인 긴축기조를 보이면서 투자심리가 다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스 국립은행이 시장의 예상을 깨고 15년만에 처음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했고 영란은행은 5번 연속 금리를 올리면서 글로벌 긴축에 대한 우려가 국채금리의 급등세로 나타났다. 스위스를 포함한 유럽 중앙은행들의 공격적인 긴축 기조는 유럽 증시의 폭락세를 야기했다. 독일 DAX 지수는 2.98%, Stoxx600 범유럽 지수는 2.29% 하락했다. 블룸버그는 연준의 '비정상적인' 수준의 금리인상이 야기할 경제 생산의 둔화와 자산 가치의 재평가 가능성이 떠오르며 증시가 하락 반전했다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크 윌슨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금리인상을 훨씬 빠르게 앞당기고 있어 경기침체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며 "채권 시장에는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 평가했다. 전일 3.28%까지 하락했던 10년 만기 미 국채수익률은 글로벌 긴축 기조를 재평가하며 다시 3.44%로 뛰어올랐다. 달러 역시 전일의 하락세를 뒤로하고 상승세를 보였지만 모멘텀은 다소 약한 모습이다. 대조적으로 국제유가는 경기침체 우려가 대두되며 하락, 2주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