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1. ETF 자금 흐름현황: 올해 최저점, 시장은 대규모 매수세로 대응했다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와 연준의 매파적 긴축 기조에도 저점에서 매수하려는 투자자들의 저가매수세(Buy-the-Dip)가 불을 뿜으면서 지난주에만 176억달러가 미국 상장 ETF로 유입됐다. ETF.com에 따르면 14일(현지시각) 금요일 마감된 주의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 119억달러가 미국 주식 ETF로, 30억달러가 미국 채권 ETF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유입액은 현재까지 4404억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의 6695억달러와 비교되지만 여전히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특히 지난 주 S&P500이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음에도 미국 주식으로 자금이 강하게 유입됐다는 점과 가장 큰 규모의 유입을 기록한 상품이 S&P500 대표 상품인 SPY라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주가 하락세를 매수의 기회로 본 것으로 관측된다. SPDR의 대표 상품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ETF 상품인 SPY는 지난주에만 46억달러의 자금 유입세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스몰캡에 무게를 두는 전체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뱅가드의 VTI도 9억달러의 유입세를 보였다. 특히 중국에 대한 반도체 규제로 반도체 기업들이 급락한 상황에서 VanEck의 반도체 상품인 SMH가 7억 2245만달러의 자금 유입세를 기록해 투자자들이 최근 하락세를 매수 기회로 여기고 있음을 시사했다. 연준의 금리인상이 곧 완화될 것이란 기대는 국채로의 전환에도 서두르는 모습을 연출했다. 미 국채시장에 광범위한 노출을 자랑하는 iShares의 GOVT에 무려 27억달러가 유입돼 전체 자산 규모의 11%가 넘는 자금이 한꺼번에 쏟아져 들어왔다. 세금혜택을 받는 채권으로 구성된 뱅가드의 VTEB 역시 14억달러로 전체 자산의 7%가 넘는 자금이 대규모로 유입됐다.
크리스 정 2022.10.18 08:39 PDT
미 정부가 이달 초 자국 기업이 중국 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는 초강력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했는데요. 이에 따른 후폭풍이 거세게 일고 있습니다. 16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반도체 산업의 핵심 포지션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 국적의 임원들이 이번 수출제한 조치로 일과 국적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조치에는 미국기업뿐 아니라 미국 시민권자와 영주권자, 미국 거주자가 중국 반도체 업체를 지원하는 것을 제한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기 때문인데요. 16개 중국 상장 반도체기업에서 근무하는 최소 43명의 임직원들에겐 직접적 타격이 미칠 전망입니다. 이들 대부분은 최고경영자(CEO)부터 부사장, 이사회 의 장 등 C레벨입니다. 컨설팅기업 컨트롤리스크의 데인 차모로(Dane Chamorro) 글로벌리스크 책임자는 “기술은 이를 움직이는 사람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니다”라며 “중국 기업에 미국 인재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건 중국이 기술 체인을 상승시키려는 시도에 직접적 타격을 가하는 조치”라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에 있는 일부 기업들은 이 규정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 내려지기 전까지 미국인 직원들을 특정 업무에서 배제시키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 반도체 냉전시대…미국 중심 패권 지속될까 과거 미국은 국가안보란 목적 하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무기의 핵심 부품에 대한 수출 통제를 해오곤 했는데요. 반도체를 둘러싼 중국과의 패권 경쟁은 아직 존재하지는 않지만, 상용화될 경우 엄청난 힘을 갖게 될 기술을 향한 선제조치라는 분석입니다. 즉, 인공지능(AI)과 양자컴퓨팅 등 떠오르는 분야에 필연적으로 필요한 게 주요 칩 기술이기에 이에 대한 수출을 통제해 중국의 발전을 둔화시키려는 계획이라는 것입니다. 이번 조치의 핵심은 일본과 이스라엘, 영국 등 동맹국들이 미국의 공격적 행동에 얼마나 기꺼이 동조할 의향이 있냐는 건데요. 프로토콜은 “바이든 정부와 서방 지도자들이 발전하는 중국의 기술력에 국가안보를 걱정하는건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국가 안보 외에 행동을 취하게 만드는 경제적 요인을 무시할 수 없다”고 전했습니다.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한 미국의 IT 기술이 현재 글로벌 리더인건 사실이지만, AI와 양자컴퓨팅은 누가 1위를 선점할 지 모르는 미지의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영국과 일본 및 기타 국가에서 자국의 칩 생산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오스트리아와 덴마크는 양자컴퓨팅 연구에 수십억달러를 쏟아붓고 있습니다. 칩 기술만 확보한다면 미래 어느 시점에서는 더이상 미중 양강구도가 아닐지도 모르는 일이니까요. 새로운 힘의 균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야에 과연 대한민국은 어느 지점에 와있는지 생각해볼 때입니다.
송이라 2022.10.17 05:04 PDT
브라이언 라코브스키(Brian Rakowski) 구글 제품 관리 임원(VP, Product Management)은 6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진행된 하드웨어 신제품 공개 행사(Made by Google)에서 “구글 ‘픽셀(Pixel)’은 언제나 스마트폰 혁신의 리더였다”며 이렇게 말했다. 지난달 7일 애플이 공개한 아이폰14 시리즈에 ‘올웨이즈온디스플레이(Always On Display·AOD)’, ‘충돌 감지(Crash Detection)’ 기능이 새롭게 적용됐다는 사실을 콕 집어 언급한 것이다. AOD는 스마트폰 화면을 껐을 때도 날짜, 시간, 배터리 잔량 등 정보가 화면에 표시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충돌 감지는 자동차 사고 등 강한 충격이 감지됐을 때 자동으로 구조 요청을 보내는 기능을 말한다. 그는 “AOD는 ‘픽셀2(2017년 출시)’때부터 적용됐었고, 충돌 감지 기능 역시 픽셀에는 3년 전 도입됐다”며 “천체 사진(Astrophotography)을 가능케 한 카메라 저조도 성능 개선 역시 일찌감치 선보였다”고 했다.
박원익 2022.10.06 14:51 PDT
트위터 인수건을 놓고 트위터와 소송전을 벌이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원래 가격으로 트위터를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시장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4일(현지시간) CNBC,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언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가 기존 인수가인 주당 54.20달러에 트위터를 다시 인수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전했는데요. 지난 7월 인수계약 파기를 선언한 지 3개월 만에 입장을 번복한 겁니다. 머스크 CEO의 트위터 재인수 추진설은 머스크와 트위터의 법정 싸움을 앞두고 나왔습니다. 머스크는 당초 4월 트위터를 440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는데요. 7월 변호사들을 통해 계약파기를 통보했습니다. 트위터가 실제 사용자 수와 관련해 허위 정보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 투자자들에게 제공했다고 주장했는데요. 트위터는 델라웨어 형평법 법원에 계약 이행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고 오는 17일 첫 심리를 앞두고 있었습니다. 여러 매체의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번 주내 트위터는 머스크의 소유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맘 바꾼 머스크 왜? 소송비 우려? 머스크는 트위터가 허위 계정에 대해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인수 해지를 통보했는데요. 트위터는 머스크의 사기 주장이 잘못된 것이며, 트위터가 플랫폼 상에서 가짜 계정을 집계하는 방식 때문에 오해를 빚은 것이라고 반박해왔는데요. 오히려 머스크가 주식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트위터 인수 가격보다 기업가치가 하락하자 마음을 바꾼 것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 머스크의 변심은 막대한 '소송비' 때문으로 풀이되는데요. 소송전을 벌이더라도 득이 없을 것으로 판단한 겁니다. 또 머스크가 재판에서 승소할 가능성이 낮다는 의견도 주를 이뤘는데요. 트위터 주주들은 이미 지난달 머스크의 회사 인수 제안을 승인했습니다. 트위터 입장에서도 소송전을 벌이기보다는 인수되는 편이 낫다는 판단을 내린 겁니다. 트위터와 머스크는 세기의 재판 대신 화해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아졌는데요. CNBC는 이르면 오는 7일 거래가 성사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날 머스크의 재인수설에 트위터 주가는 22% 이상 폭등한 뒤 거래가 중단됐습니다.
권순우 2022.10.04 13:55 PDT
아마존이 다음 달로 다가온 두 번째 프라임 데이 행사를 앞두고 28일(현지시간) 기능이 향상된 하드웨어 기기를 대거 발표했습니다.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하는 킨들에서부터 할로 라이즈 슬립 모니터, 에코, 링, 파이어 TV, 아스트로 로봇 등 다양한 신제품을 선보였는데요. 가장 눈길을 끄는 품목은 바로 '킨들'이었습니다. 아마존은 이날 스타일러스를 사용해 글을 작성할 수 있는 '킨들 스크라이브(Kindle Scribe)'를 선보였는데요. 10.2인치의 사이즈로 디스플레이가 더욱 커졌다는 장점이 있고, 무엇보다 읽기만 가능했던 킨들에서 글을 작성하거나 쓸 수 있는 기능으로 확장됐습니다. 악시오스는 "아마존의 킨들 제품을 선보인 이래 가장 중요한 업데이트"라며 "100만 대 이상을 판매한 킨들이 이제 글쓰기가 가능한 태블릿과 경쟁하게 됐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시장의 주목을 받은 또 다른 제품은 바로 '할로 라이즈(Halo Rise)' 였는데요. 할로 라이즈는 스마트 알람, 기상 조명, 머신 러닝을 이용해 수면 패턴을 감지하는 비접촉 수면 모니터링 기능을 갖췄습니다. 더버지에 따르면 할로 라이즈는 스마트워치 등을 착용할 필요 없이, 내장 센서 기술을 사용해 움직임과 호흡 패턴을 추적한다고 하는데요. 방의 주변 조명 수준, 습도, 온도와 같은 데이터를 수집해 얼마나 잘 잠을 잤는지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합니다.👉아마존 제 4의 기둥은 '홈 오토메이션'? 아마존의 성장을 지탱하는 네 가지 기둥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었는데요. 전자상거래와 아마존 프라임, 클라우드가 세 기둥(핵심 비즈니스)을 받치고 있다면 아마존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네 번째 기둥을 찾고 있습니다. 이날 발표한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는 '홈 오토메이션'에 미래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요. 앞서 언급한 아마존의 할로 라이즈는 알렉사와 연동해 라이즈가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면 패턴에 대한 답을 에코에게 들을 수 있습니다. 또 스마트 알람과 동기화해 좋아하는 노래를 들으면서 기상할 수도 있습니다. 아스트로 로봇 기능도 집안의 환경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업그레이드됐는데요. 문이 열려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애완동물 감지 기능이 탑재돼 애완동물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밖에 버추얼 가드 + 아스트로 기능은 링과 아스트로 기능을 통합한 것으로 스몰 비즈니스에 절도 등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 이를 알리는 보안 시스템 역할도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밖에도 알렉사 보이스 리모트 프로 등은 음성 도우미를 이용해 리모컨을 찾을 수 있는 등의 기능도 업그레이드됐습니다. 아마존의 새로운 하드웨어 제품을 보면 주거를 중심으로 한 '인텔리전스' 개념을 통해 편의를 높이고 있다고 느껴지는데요. 데이브 림프 하드웨어 책임자는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아마존의 초점은 가상현실에 초점을 맞춘 다른 회사들과는 다르다"며 "기술은 사용자와 사용자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개인화되고 직관적이어야 한다. 아마존은 '생활환경 지능(ambient intelligence)'에 주력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권순우 2022.09.28 12:20 PDT
아마존이 매년 1회 실시했던 프라임데이 세일을 올해는 2번으로 늘렸습니다. 26일(현지시각) CNBC에 따르면, 아마존은 오는 10월 11~12일 ‘프라임 얼리 액세스 세일(Prime Early Access Sale)’이란 명칭으로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갖는다고 발표했습니다. 아마존은 이미 지난 7월 한차례 프라임데이 세일을 가졌는데요. 3개월 만에 같은 류의 할인을 또 실시하는 겁니다. 아마존이 한 해에 이러한 할인행사를 두 번 실시하는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자밀 가니(Jamil Ghani) 아마존 프라임 부문 부사장은 “이번 행사는 프라임 구독 프로그램 회원을 대상으로 수십만개의 할인 상품이 제공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015년부터 시작된 프라임데이 행사는 일반적으로 1년에 한 번 여름에 개최했는데요. 팬데믹 이후인 2020년과 2021년에는 이벤트 시기를 다소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또 의류판매와 애완동물 중심 할인행사, 가을 미용 이벤트 등 다른 종류의 할인 행사를 갖기도 했습니다. 다만 아마존측은 향후 아마존이 프라임 회원을 위한 할인 이벤트를 한 번 이상 실시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을 거부했습니다. 👉더 빨리 할인! 거시경제 악화에 전략 수정하는 리테일업계미국 소매업계는 통상 추수감사절 연휴부터 시작되는 블랙프라이데이 할인부터 크리스마스 시즌까지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합니다. 많은 미국인들은 쇼핑목록을 정해놓고 연말에 몰아서 쇼핑을 하곤 하는데요. 아마존이 최초로 1년에 2번이나 프라임데이 할인을 실시하는 건 그만큼 온라인 판매상황이 시원치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역대급 인플레이션에 소비자들은 필수소비재 외 지갑을 열길 꺼리고요. 잠재적 경기침체 우려도 소비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이미 지난 분기부터 온라인 부문 매출성장이 큰 폭으로 둔화되는 아마존으로서는 본격적인 할인 시즌에 돌입하기 전 또 한 번의 프라임데이로 소비자들을 유인하려는 전략인 것이죠. CNBC는 “주요 소매업체들이 블랙프라이데이와 사이버먼데이 훨씬 이전부터 할인 프로모션을 발표하고 있다”며 “아마존도 이러한 추세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과연 아마존의 이른 할인 전략이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게 할 수 있을까요. 지난 7월 프라임데이 때는 예상을 깨고 사상 최대 프랑미데이 실적을 기록한 아마존의 2번째 프라임데이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 지 4분기 실적을 지켜봐야겠습니다.
송이라 2022.09.26 08:42 PDT
안녕하세요. 신기주의 신미래의 MC 신기주 기자입니다. 더밀크닷컴을 통해서는 처음 신미래의 새로운 에피소드 소식을 전하는 것 같습니다. 신기주의 신미래는 더밀크가 만드는 팟캐스트 방송입니다. 글로벌 테크 기업들의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전망해요. 그것도 실리콘밸리와 뉴욕과 할리우드와 아틀란타와 시애틀의 더밀크 저널리스트와 리서처를 실시간으로 연결해서 생생한 정보와 깊이 있는 분석을 이야기하죠. 애플 팟캐스트와 팟빵을 통해 아래 링크에서 들어보실 수 있어요. 👉애플 팟캐스트 👉팟빵지난 9월 24일 토요일에 방송된 신미래는 여덟 번째 에피소드였습니다. 이번 주제는 아이폰의 미래였습니다. 👉아이폰의 미래 사실 신미래의 첫 번째 에피소드는 지난 8월 6일에 방송된 애플의 미래였어요. 👉애플의 미래
신기주 2022.09.25 07:46 PDT
미국 정치권에 은퇴한 고령 유권자들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초당파 연구 기관인 오픈시크릿즈(OpenSecrets)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2019~2020년 선거 기간에만 100만명이 넘는 퇴직자가 의회 캠페인과 정치위원회에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당 후보자들은 2022년 중간선거 기간에도 퇴직자들로부터 이미 1억4500만달러를 모금한 상태입니다.이들이 2016년부터 2020년 선거 주기까지 기부한 금액은 3억7800만달러 이상입니다. 선거자금 5달러당 1달러 이상을 기부한 셈입니다. 2016년 이전 10달러당 1달러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근 6년동안 빠르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2016년 선거 이후로 은퇴자들은 정치인들의 선거운동 모금자층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왜 이렇게 됐을까?그렇다면 왜 유독 은퇴자들의 기부액이 늘었을까요? 첫 번째로 정치인들이 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이메일과 문자메시지로 대대적으로 홍보한 게 꼽힙니다. 15~20년 전에는 정치권에 기부하려면 수표를 작성하거나, 우편으로 돈을 보내거나 아니면 직접 모금 행사에 참석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온라인 쇼핑처럼 기부도 간단해졌습니다. 도어그 베버(Doug Weber) 오픈시크릿즈 선임연구원은 인사이더에 "공화당은 물론 민주당도 퇴직자 기부금으로 혜택을 보고 있다"며 "이는 양당 현상"이라고 말했습니다. 자금 모집 편의성 확대와 함께 정치적 갈등 확대도 꼽힙니다. 쉴라 크럼홀즈(Sheila Krumholz) 전무이사는 "최근 몇 년간 당파적 갈등이 고조된 것은 나이 든 미국인들 사이에서 더 높을 수 있다”면서 "단순히 은퇴한 사람들이 돈을 많아서 일 수도 있습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타임즈가 캘리포니아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한 분석에 따르면 고령자들은 청년층보다 기부금을 환불하는 경우도 높았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70세 이상은 50세 이하에 비해 기부금 환불요청이 4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ejin Kim 2022.09.24 01:45 PDT
안녕하세요 뷰스레터 독자 여러분. 지난 7월, 저는 처음으로 더밀크 한국 오피스를 방문해 그동안 원격으로 인사했던 얼굴들을 실제로 만났습니다. 동료분들이 ‘찐’이라며 죠이님이 브이로그에도 소개한 ‘닭볶음탕’을 함께 먹었는데요, 정말 ‘찐’으로 맛있었습니다. 그런데… 배불리 먹고 나오면서 너무나 신난 나머지, 실수로 제 아이폰을 바닥에 놓쳤습니다. 액정이 시멘트 바닥에 완전히 추락했습니다. 순간 모두 멈췄습니다. 이건 안 봐도 100% 박살이었습니다. 떨리는 손으로 폰을 돌렸더니 액정은 소금가루가 돼 있었습니다. 저보다 더 걱정해 주는 동료분들 앞에서 태연한 척했지만 사실 그때 산산조각 난 액정처럼 제 마음도 찢어졌습니다. 배터리가 빨리 닳아서 이참에 새로 살까 싶었지만 아이폰14를 위해 액정만 교체하고 9월까지 버티자는 마음으로 애플 이벤트 데이를 기다렸습니다.
박윤미 2022.09.12 15:11 PDT
애플이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자인 ‘다이내믹 아일랜드(Dynamic Island)’를 적용한 플래그십 스마트폰 ‘아이폰 14 프로(iPhone 14 Pro)’를 공개했다. 디스플레이 상단에 움푹 패인 자리를 일컫는 ‘노치(Notch)’ 디자인이 5년 만에 사라졌다.역대 아이폰 중 최초로 저궤도 위성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점도 관심을 끌었다. 지상에 기지국이 없는 네트워크 사각지대(blinde spot)에서도 스마트폰과 인공위성을 직접 연결해 통신을 가능케 한다. 위성 통신·인터넷 서비스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Starlink)’, 아마존의 ‘카이퍼(Kuiper) 프로젝트’ 등 빅테크들이 경쟁하는 차세대 인프라 서비스로 평가된다.
박원익 2022.09.07 17:15 PDT
인공위성으로 모바일 인터넷을 지원하는 ‘위성 인터넷’을 향한 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미국 등 사각지대가 많은 지역의 인터넷 환경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글로벌 위성 인터넷 산업은 우주 개발기업 ‘스페이스X’가 주도하고 있다. 자회사인 ‘스타링크(Starlink)’를 통해서다.위성 인터넷은 유선 인터넷망(광케이블)과 기지국에 의존하지 않고 인공위성이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스타링크는 현재 저궤도 위성 2800여 개 및 관련 핵심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다.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는 8월 25일(현지시각) 트위터를 통해 “‘스타링크 V2’를 내년에 출시할 예정”이라며 “스타링크 V2는 스마트폰으로 직접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전 세계의 인터넷 사각지대(dead zones worldwide)를 없앨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업계에 따르면 2세대 위성인 스타링크 V2는 안테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직접 인터넷 송출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스타링크는 산간 오지 주택에만 서비스를 공급해 왔는데, 스타링크 V2 네트워크가 구축되면 서비스 영역이 일반 스마트폰으로 넓어질 전망이다.머스크 CEO는 “문자와 음성 전화에 적합한 수준으로 (아직) 고대역폭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비상 전화 및 문자를 위해 테슬라 자동차에도 스타링크 접속 기능을 탑재할 것”이라고 했다.
박원익 2022.08.31 13:52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