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어떻게 2년 만에 위기를 기회로 만들었나
“3년 전 웨이모(Waymo)를 떠올려 보면 당시 다른 사람들은 비관적이었지만, 구글은 그 시점에 투자를 늘렸습니다.”순다 피차이 구글 CEO는 21일(현지시각)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본사에서 진행된 기자 간담회에서 “구글은 항상 기초적인 연구와 과학·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었고,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구글의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구글 I/O 2025’ 기간 열린 간담회에서 오랜 기간 전략적으로 지속된 연구 및 기술 투자가 결실을 보기 시작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이모는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 산하 기업이다. 피차이 CEO는 알파벳 CEO도 겸임하고 있다. 실제로 웨이모는 최근 로보택시 서비스를 확장하며 최근 빠르게 성장 중이다. 완전 무인 자율주행차량 기반으로 운영되는 로보택시 운행 건수가 5개월 만에 두 배로 증가, 1000만 회를 돌파했다. 유료 서비스이며 현재는 샌프란시스코, 오스틴, 로스앤젤레스, 피닉스 지역에서만 이용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괄목할 만한 성과다. 2009년 구글 내부 자율주행 자동차 프로젝트로 시작된 웨이모는 약 10년여 만인 2018년 말 상업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작했다. 운전석에 안전요원이 탑승하지 않은 완전 자율주행 기반 로보택시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시작한 건 2020년 말부터였다. 문자 그대로 ‘연구실 프로젝트’가 오랜 기간 투자 끝에 상용화된 사례다. 현재 미국에서 상업용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웨이모가 유일하며 마운틴뷰 등으로 서비스 제공 지역을 계속 확장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