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은 버냉키처럼 실수하고 싶지 않았다
지난 2012년 5월. 신참 연준 위원 제롬 파월은 워싱턴DC 연준 본부 에클스 빌딩에 처음 출근했다.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4년 전 터진 2008년 금융위기의 뒷수습을 하는 중이었다. 버냉키는 2008년 금융위기를 2번에 걸친 양적완화로 수습해나가고 있었다. 2008년 12월부터 1차로 1조7500억 달러를 풀었다. 1차는 전격적이었다. 2010년 11월엔 2차로 6000억 달러를 풀었다. 2차는 우여곡절의 끝이었다. 규모는 달라도 원리는 같았다. 1차와 2차 모두 시중 은행으로부터 중앙은행이 정부보증채권과 주택저당증권을 매입하는 방식이었다. 쉽게 말해 시중 은행이 중앙은행으로 채권과 증권을 들고 오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무조건 달러 현금으로 바꿔 줬다. 이런 식의 돈풀기엔 맹점이 있었다. 연준은 납세자들한테 경제를 살리기 위해 달러를 풀겠다고 약속했다. 그런데 연준이 달러를 나눠준 대상은 메인스트리트가 아니라 월스트리트였다. 정작 월스트리트는 리스크는 피하고 공짜 돈은 즐기느라 가계대출은 조이고 주식 투자만 했다. 경기는 죽는데 주가만 날았다. 이른바 돈맥경화였다.월스트리트 탓만도 아니었다. 2008년 금융위기의 원인 제공자는 분명 월가의 투자은행과 상업은행들이었다. 리먼 브라더스 파산이라는 스모킹건까지 있었다. 당연히 규제가 강화될 수밖에 없었다. 또 당연히 규제 강화를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금융위기 직후 상업은행의 대출 기준 강화 순비율(Net Percentage of Domestic Banks Tightening Standards) 규제는 무려 80%까지 높아졌다. 한 마디로 개인과 기업의 대출 문턱이 턱 없이 높아진 상태였다. 이렇게 되면 연준이 아무리 달러를 풀어도 메인스트리트로는 돈이 흘러갈 리가 없었다. 시중은행을 거쳐 실물시장에 돈을 풀어야만 하는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구조적 한계였다.이걸 간과한 게 버냉키의 실수였다. 버냉키는 헬리콥터 벤이라고 불리면서까지 달러를 공중 살포했다. 1930년대 대공황 당시 에클스 연준의장이 돈풀기를 주저하는 바람에 디플레이션이 유발됐다는 걸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벤 버냉키는 자타공인 대공황 연구의 대가다. 벤 버냉키는 마리너 에클스 같은 실수를 저지르고 싶지 않았다. 실제로 무제한적인 양적완화(QE : Quantitative Easing)로 디플레이션만큼은 막아냈다. 적어도 시중에 통화량이 부족해서 경기가 침체되는 에클스의 실수만큼은 되풀이하지 않았다. 대신 아무리 돈을 풀어도 메인스트리트의 경기는 좀처럼 살아나지 않았다. 여전히 실업률은 8%가 넘었다. 대공황 이후 최고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