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도 상승...9월 100bp 금리인상 가능성 대두
수요일(14일, 현지시각) 미 증시는 소비자물가지수(CPI) 충격으로 인한 폭락장에 이어 숨을 고르는 모습을 보이며 개장 전 소폭 회복했다. 물가는 정점에서 여전히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예상보다 훨씬 높게 나오면서 연준의 긴축기조가 더 강화될 것이란 평이다.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와 경제 성장에 대한 전망을 재평가하면서 자산시장의 변동성은 폭풍처럼 휘몰아쳤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9월 연준의 75bp 금리인상 가능성은 확실시 됐고 100bp 인상 가능성도 무려 42%에 달했다. 연준의 정책금리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3.80%로 급등했다. 사실상 올해 연준의 최종금리가 4% 이상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달러 게이지는 화요일(13일, 현지시각) 3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소폭 후퇴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했다. 시장의 충격이 컸지만 이전과 같은 패닉 매도세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평이다. 주식 폭락세의 규모는 인상적이었지만 공포지수로 인식되는 CBOE 변동성 지수(VIX)는 상대적으로 약한 상승폭을 보였다는 점에서 공황 상태의 매도가 아닌 기대의 재조정 수준이라는 평이다. 금리의 피크 아웃 가능성이 사라지며 주가 밸류에이션에 대한 부담은 더욱 높아졌다. 매시우 래처 뱅크 줄리어스의 주식 전략 책임자는 "올해 말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면 연준이 경기침체를 관리하기 위해 완화할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우린 아직 거기까지 도달하지 못했다."고 평가하며 "그동안 높은 실질금리로 인해 수익 조정치는 계속 하향 조정되고 밸류에이션은 억제될 것. 현재로서는 방어적인 포지셔닝을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주장했다. 한편 글로벌 증시 역시 미국의 인플레이션 충격에 광범위한 폭락장을 연출했다. 일본을 비롯해 홍콩과 호주, 한국 증시가 모두 급락했고 유럽 증시 역시 대부분 하락세를 이어갔다. 특히 달러 강세가 아시아 통화권에 부담으로 작용한 가운데 한국 원화는 큰 하락세를 보인 반면 일본 엔화는 정부 개입 선언으로 강세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