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손재권 대표의 성장 이야기는 10년 넘게 실리콘밸리의 변화를 기록해온 저널리스트의 여정입니다. 그는 단순히 뉴스를 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조적 변화의 신호를 읽고 이를 한국의 맥락 속에서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바꾸는 법을 배워왔습니다.그가 전하는 첫 번째 교훈은 현장의 힘입니다. 아무리 많은 리포트를 읽어도, 직접 보고 듣는 경험만큼 깊은 이해는 없습니다. 손 대표는 실리콘밸리에서 해고, 주가 폭등, 조직 개편의 순간들을 몸으로 겪으며 통찰을 쌓았습니다. 참관객들은 이를 통해 “현장에 가까이 가는 것”이 성장의 지름길임을 배웁니다.두 번째는 비교의 시선입니다. 그는 미국과 한국을 끊임없이 비교하며, “왜 한국은 다르게 움직이는가”를 묻습니다. 이런 비교를 통해 놓친 기회를 발견하고, 산업을 객관적으로 보는 눈을 기릅니다.세 번째는 공유의 가치입니다. 손 대표는 자신이 배운 것을 리포트와 트렌드쇼를 통해 나누며, 공유의 과정에서 통찰이 더 깊어진다고 말합니다. 배운 것을 나누는 것이 곧 학습의 완성이라는 점을 깨닫게 합니다.마지막으로 그는 정직한 경고를 남깁니다. 한국이 AI 무풍지대처럼 보여도, 사실은 폭풍전야라는 현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는 용기가 진정한 성장의 출발점임을 일깨웁니다.
권순우 2025.10.19 17:09 PDT
AI 시대를 논하는 강연은 많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추상적인 미래 전망이나 일반론에 그칩니다. “AI가 세상을 바꿀 것이다“,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뒤처진다“는 말은 맞지만 정작 중요한 질문에는 답하지 못합니다. 내가 속한 조직에서, 내가 하는 일에서, 나의 자원과 제약 조건 안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가?트렌드쇼 2026의 독특한 가치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일곱 명의 연사는 각자 완전히 다른 분야에서 AI 전환을 직접 실행해온 사람들입니다. 학계의 연구자, 글로벌 스타트업의 창업가, 대기업의 전략가, 1인 미디어 기업가, 데이터 컨설턴트, B2B 테크 기업가, 그리고 저널리스트까지 다양한 트랙을 대표합니다. 참관객들은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시나리오를 발견하고, 그것을 자신의 상황에 맞게 변형하고 적용하는 구체적인 청사진을 얻게 될 것입니다.👉 트렌드쇼2026 등록 마감임박!
권순우 2025.10.17 22:11 PDT
AI 시대에 가장 위험한 함정은 단순히 새로운 도구를 배우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착각하는 것입니다. 챗GPT 프롬프트를 잘 쓰는 법을 배우고, 코파일럿 단축키를 외우고, 미드저니 명령어를 익히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변화에 대응할 수 없습니다. AI 시대란 의미는 도구의 시대가 아니라 사고방식의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트렌드쇼 2026의사들이 전하는 가장 큰 가치는 바로 이 사고방식의 전환입니다. 이들은 이미 각자의 영역에서 판을 바꾸는 경험을 했고, 그 과정에서 완전히 새로운 렌즈를 통해 세상을 보는 방법을 터득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보다 AI를 잘 적응했고 AI 시대에도 '멘토'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참관객들은 그들로부터 단순한 정보나 기술이 아니라 세상을 읽는 새로운 방법, 문제를 정의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 그리고 실행으로 가는 전략적 사고의 흐름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 트렌드쇼2026 등록 마감임박!
권순우 2025.10.16 17:36 PDT
하형석 미미박스 대표의 말이다. Y컴비네이터 투자를 받은 첫 한국 기업을 이끌며 글로벌 K뷰티의 토대를 닦은 그는 요즘 진짜 'AI 모먼트'를 체감하고 있다. 지난 2016년 개인적으로 알렉산더 왕의 '스케일AI'에 엔젤투자를 했는데 지 9년 만에 그 배당금이 연봉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스케일AI는 메타에 약 148억 달러(20조 원)에 인수됐다. Y콤비네이터 후배 기업인 스케일AI에 투자한 이후 '묻어둔 돈'이라고 생각했는데 메타에 인수되고 큰 액수의 배당금이 나올 줄은 꿈에도 상상못했다. 하 대표는 샌프란시스코 미미박스 본사 근처에 있던 오픈AI 사무실을 여러 차례 찾았지만 당시에는 "직접 보고도 AI의 잠재력을 믿지 못했다"고 솔직히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는 이제 뷰티 업계에서 AI 혁신을 얘기하는 선구자가 됐다. "AI와 가장 거리가 먼 산업이 소비재라고 생각했지만, 누군가는 뷰티에서 AI 전환 이야기를 시작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다.하형석 대표가 K뷰티의 미래를 낙관하는 근거는 명확하다. 규모부터 K팝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이다. "K팝이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지만, 우리가 더 큰 시장점유율을 가져갈 수 있는 분야는 뷰티"라고 그는 단언한다. "전 세계 뷰티 기업 1위부터 10위까지 시총을 합치면 약 5천억 달러 정도 됩니다. K뷰티가 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봅니다."실제로 현재 미국 내 K뷰티 수입 규모는 프랑스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그 배경에는 K뷰티만의 독특한 성장 공식이 있다."한국이라는 작은 시장에서 시작했고, 미국 리테일러에 바로 진입하기 어려운 탓에 자연스럽게 온라인에 집중했습니다. 그런데 그 전략이 오히려 강점으로 작용했죠."수치가 이를 뒷받침한다. K뷰티 상장사들의 온라인 매출 비중은 40~50%대로 글로벌 평균인 25%의 두 배에 달한다. 아마존, 메타 등 미국 빅테크 플랫폼에서의 마케팅 집중도가 높았고, 이는 곧바로 온라인 이커머스 성과로 이어졌다. 더 흥미로운 점은 K뷰티 특유의 현금흐름 구조다.
권순우 2025.09.06 03:27 PDT
Last weekend, I enjoyed watching the Netflix movie 'K-Pop Demon Hunters (KDH)' with my children.It was a 'gift set' full of Korean culture, including the familiar scenery of Seoul in the anime, the lifestyle and food of Koreans, the familiar girl group Huntrix, Namdol (Saja Voice) wearing a lampshade with the concept of the 'Grim Reaper', the tiger and magpie inspired by Korean traditional folk tales, the Ilwol Obondo symbolizing the king, the indoor scenery overlooking the Han River, the fortress road of Naksan Park in Dongseong-dong, and cup noodles.This animation, which is all 'Korean', was not made in Korea. It is an American film made in the United States with American capital. It was produced by 'Sony Pictures', which became a masterpiece animation studio with its unique mise-en-scène and directing while making Spider-Man, and it is quickly spreading to homes and smartphones around the world on the global streaming platform Netflix. It is a film directed by Korean director Maggie Kang, who was born in Korea, immigrated to Toronto, Canada, graduated from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and works for a famous animation studio. Since its release, KDH has been ranked No. 1 on Netflix in 26 countries and has entered the top 10 in 93 countries. The OST album debuted at No. 8 on the Billboard 200 chart, making it the highest-performing soundtrack released this year . This shows that Kedeheon is becoming a global cultural phenomenon beyond just a content success.
손재권 2025.07.09 00:57 PDT
지난 주말에 아이들과 함께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KDH)''을 재미있게 봤습니다.애니메이션 속에 익숙한 서울의 풍경이 나오고 한국인들의 생활 양식과 음식이 그대로 나오는가 하면 익숙한 걸그룹 헌트릭스, 누가봐도 '저승사자' 컨셉의 갓을 쓰고 도포를 입은 남돌(사자보이스), 우리 전통 민화에서 모티프를 딴 호랑이와 까치, 임금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 한강이 보이는 실내 풍경과 주요 장면으로 나온 동숭동 낙산공원 성곽길, 컵라면까지 한국 문화가 한가득 들어간 '선물세트' 였습니다.초등학생인 저의 두 딸 아이는 다소 생소할 수 있었는데 제가 "한국인임이 자랑스럽지?"란 물음에 자연스레 고개를 끄덕입니다. 모든 것이 '한국적'인 이 애니메이션은 한국에서 만든 게 아닙니다. 미국 자본으로 미국에서 만든 미국 영화입니다. 스파이더맨을 만들며 특유의 미장센과 연출로 명작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반열에 오른 '소니 픽처스'에서 제작했고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를 타고 전 세계 안방과 스마트폰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태어나 캐나다 토론토로 이민을 간 후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유명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활약하는 한국계 메기 강 감독의 작품입니다. 케데헌은 공개 후 26개국에서 넷플릭스 1위를 차지했으며, 93개국에서 톱10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OST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 8위로 데뷔, 올해 발매 사운드트랙 중 최고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케데헌이 단순한 콘텐츠적인 성공을 넘어 글로벌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손재권 2025.07.09 00:08 PDT
“한국 화장품의 품질, 기술력은 세계적인 수준입니다. 최근 NBC 선정 자외선 차단제(선크림) 평가에서도 한국 제품이 1위를 했죠.”김소형 스탠포드 이노베이션 & 디자인 연구센터 (SCIDR) 센터장은 더밀크와의 인터뷰에서 “이제 한국 기업들이 우수한 제품을 바탕으로 K뷰티의 다음 단계를 준비해야 할 때”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센터장이 언급한 제품은 한국 브랜드 ‘라운드랩(Round Lab)’의 자작나무 수분 선크림. 지난 10일(현지시각) 미국 NBC가 발표한 ‘올해의 선크림’에서 110개 테스트 제품 중 1위를 차지했다. NBC 에디터들이 총 3800달러어치 제품을 직접 구매해 몇 주 동안 실제로 사용하고, 피부과 전문의들의 조언을 반영해 순위를 매긴 결과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한국 뷰티 및 푸드 제품이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K뷰티와 K푸드가 미국 시장에서 ‘메이저 브랜드’로 도약하는 건 다른 이야기다. 소셜미디어에서 바이럴 되거나 제품이 입소문을 타고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더라도 흐름을 이어가려면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기 때문. “식빵 절반에만 선크림을 발라 토스터에 구운 후 상태를 확인하는 자극적인 틱톡 영상이 바이럴 되거나 유명 인플루언서가 사용한 화장품이 인스타그램에서 화제가 되곤 했습니다.” 반짝 인기를 넘어 스테디셀러로서 안착하려면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게 김 센터장의 주장이다. 김 센터장은 K뷰티, K푸드의 미국 진출을 돕는 이 분야 최고 전문가 중 하나다. 그녀가 생각하는 ‘K뷰티·K푸드’가 미국 시장에서 성공 시대를 열기 위한 핵심 열쇠는 무엇일까?
박원익 2025.06.21 14:39 PDT
18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23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이날 오전 개최된 ‘바이오 혁신 조찬 포럼’에서는 노화 예방과 이를 늦추기 위한 기술 솔루션 및 연구 개발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최근 헬스케어 산업은 '안티에이징', '슬로우에이징', 그리고 시간을 되돌려 노화를 지연시키려는 ‘리버스 에이징’ 트렌드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에서도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가 그대로 반영됐다. 줄기세포 기반 중증 무릎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조인트스템’을 개발한 네이처셀은 이번 박람회에서 줄기세포를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과 샴푸 등 다양한 안티에이징 제품과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조인트스템’은 미국 FDA로부터 혁신치료제(BTD)로 지정되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연사로 나선 라정찬 네이처셀 회장은 “인간의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건강한 삶을 오래 유지하려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줄기세포를 통해 피부 재생력을 높이고 젊음을 되찾는 응용 분야도 더욱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권순우 2025.04.18 21:29 PDT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켈리 레플러 미국 중소기업청(SBA) 청장이 17일(현지시간) 미국과 한국 간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날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제23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개회식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핀테크 기업 바크(Bakkt)의 창업자이자 CEO 출신인 레플러 청장은 전 조지아주 연방상원의원을 지냈으며,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중소기업청장으로 임명됐다. 그는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대규모 관세 정책을 시행한 직후, 폭스뉴스 인터뷰를 통해 “오늘은 즐거운 날이자 해방의 날”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레플러 청장은 이날 연설에서도 트럼프 행정부의 친성장(pro-growth) 정책 기조를 전폭 지지하는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지난달에만 22만8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됐고, 에너지, 인프라, 기술,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6조 달러가 넘는 신규 투자가 유치됐다”며 “이 같은 회복은 우연이 아닌, 정책적 결단이 만든 결과”라고 말했다.이어 “감세 영구화 추진, 과도한 규제 철폐, 에너지 산업 활성화, 국경 보안 강화,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한 단호한 대응은 모두 미국의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전략”이라며 “그 결과 미국 제조업이 다시 활력을 찾고 있으며, 중소기업과 지역 공동체가 경제 회복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강조했다.한미 경제 협력에 대해서도 그는 긍정적 전망을 밝혔다. 레플러 청장은 “SBA는 미국과 한국 기업 간 국경을 초월한 투자 및 파트너십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70년 넘게 이어져온 양국의 경제 동맹은 공정성과 투명성, 상호 번영이라는 가치를 기반으로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SK그룹, 기아, 현대, 큐셀, LG에너지솔루션 등 한국 기업들이 최근 5년간 조지아주에만 수만 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했다”며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공정 무역 확대, 장기적이고 투명한 한미 협력은 앞으로도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이야말로 양국이 함께 지속 가능한 번영의 미래를 설계할 최적의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권순우 2025.04.18 00:51 PDT
스탠퍼드 대학교 이노베이션 & 디자인 연구센터(SCIDR)가 한국의 우수한 컨수머 브랜드들의 미국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SCIDR는 오는 5월 19일부터 28일까지 ‘코리아 베스트, 아메리카스 넥스트(Korea’s Best, America’s Next)’를 주제로 컨수머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2기를 운영한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미국 시장 진출을 꿈꾸는 한국의 푸드·뷰티·소비재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이번 프로그램은 현지 시장에 대한 깊이 있는 교육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김소형 SCIDR 센터장은 “기존 제품의 불편함을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브랜드들이 미국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며 “한국 브랜드 역시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며 프로그램 취지를 설명했다. SCIDR의 컨수머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은 K-컨수머 브랜드들이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소비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실질적인 시장 공략 전략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번 프로그램은 미국 MZ세대를 겨냥한 푸드, 뷰티 및 소비재 브랜드를 비롯, 미국 소비자의 감성을 반영한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 브랜드와 제품이 없더라도 뛰어난 감각과 명확한 비전을 가진 팀, 빠른 성장을 목표로 하는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다.SCIDR 관계자는 “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을 선발해 맞춤형 교육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선정 기준을 밝혔다. 1차 지원서 접수는 오는 3월 21일(한국시간) 마감된다.선발 기업에게는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 네트워킹 기회가 제공된다. 핵심 과정으로는 ➤10일간의 미국 소비재 시장 집중 교육 ➤미국 시장에 적합한 브랜드 스토리 구축 ➤제품-시장 적합성(Product Market Fit) 점검 ➤실제 미국 소비자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주거 공간 방문을 통한 심층 조사 등이 포함된다. 또 ➤수백 명의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선보일 수 있는 부스형 행사 운영 ➤ 미국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분석 및 시장 공략 전략 제공 그리고 ➤미국 내 다수의 벤처 투자자 및 업계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킹 기회 등이 제공될 예정이다.📹 2024년 1기 프로그램 보러가기
권순우 2025.03.06 08:12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