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실리콘밸리의 기업가들이 약물 사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27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 스페이스엑스(SpaceX), 트위터 등을 경영하는 일론 머스크는 케타민(ketamine)을, 구글을 창업한 사르게이 브린(Sergey Brin)은 환각버섯(Magic Mushroom)을 복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스페이스엑스와 페이스북(현 메타) 투자로 유명한 벤처캐피털(VC) 파운더스펀드(Founders Fund) 경영진은 아예 ‘사이키델릭(Psychedelics)’ 콘셉을 가져와 파티를 연 것으로 나타났죠. 사이키델릭 약물은 정신건강 장애, 우울증 등의 치료를 보조하거나 기분전환을 위한 약물을 통칭합니다. 케타민, 환각버섯(실로시빈), 리세르그산디에틸아미드(LSD) 등이 대표적이죠. 일반인에게는 치명적이거나 과다복용, 중독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알려지지만, 식품의약국(FDA)의 사용 승인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성에 관한 자료가 현저히 부족합니다. 이에 WSJ는 일부 기업과 이사회가 이들이 개인적인 시간에 약물을 사용하는 것을 넘어 기업 문화로 옮겨가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직원들에게 마약 테스트를 하지 않죠. 그러자 머스크 창업자는 해당 기사가 WSJ 온라인에 게재된 후 트위터에 “병원에서 처방해 주는 항우울제(SSRI)는 사람들을 좀비처럼 만드는 일이 잦다”면서 “케타민 복용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항변했습니다.👉 정신건강 인력 부족. 환각제 시장 커지는 중사이키델릭은 미국에서 최근 인식이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미국 전국약물사용실태조사(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에 따르면 2020년 140만명의 미국인이 처음으로 환각제를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죠. 리서치 기업 브랜드에센스(BrandEssence)에 따르면 환각제 시장의 가치는 2022년 49억달러에서 2029년 11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이에 월스트리트는 이 산업에 돈을 붓고 있습니다. 파운더스펀드(Founders Fund)는 상업용 실로시빈 개발을 연구하는 회사인 콤파스패스웨이(Compass Pathways)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공동창업자 피터 틸(Peter Thiel)은 정신건강을 위한 사이키델릭을 개발하는 아타이라이프사이언스(Atai Life Sciences)에 개인적으로 투자하고 있죠.이 배경에는 정신건강 인력의 부족도 한몫합니다. 연방보건자원서비스국(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인 약 1억5800만명이 정신건강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이는 10년 전 9500만명보다 증가한 수치죠. 회사와 경영진의 적절한 약물 사용을 지원하는 벨로시티코칭(Velocity Coaching)의 에드워드 설리번 대표는 WSJ에 5년 전에는 약물 사용 지원을 원하는 기업은 소수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고객사의 40%가 이를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수 년 전 실리콘밸리에서 사이키델릭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었지만, 지금은 크게 변했다”면서 “다만 전문가의 도움 없이 강력한 물질을 사용한 경우 일부 사람들은 자가치유가 아니라 자기파괴적인 행동에 빠지게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ejin Kim 2023.06.29 19:15 PDT
1억 6,200만 명의 구독자를 가진 1위 유튜버이자 자신의 식음료 브랜도 보유하고 있는 미스터 비스트(MrBeast)가 오션게이트의 ‘타이타닉 탐험’ 잠수함 투어에 초청 받았지만 응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가정할 수 없지만 만약 비스트가 참가했다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업계에도 큰 이슈가 될 뻔했습니다. 미스터비스트는 2023년 6월 25일(미국 시간) 아침 트위터를 통해 “이번달(6월) 아침 타이타닉 잠수함에 함께 타자고 초청 받았지만 거절했다”며 “내가 거기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무서운 생각이 들었다”고 공개했습니다. 그러나 비스트는 누가 자신을 초청했는지는 정확히 밝히지 않았습니다.지난 6월 18일 대서양에 있는 타이타닉호 잔해를 탐험하려던 관광용 잠수정(오션게이트 운영)은 지상 지원선과 잠수를 시작한 지 1시간 45분 만에 연락이 끊겼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해군을 인용해 잠수정에서는 대서양에서 출항한 지 몇 시간 만에 폭발음이 감지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잠수정에는 운영회사인 오션게이트 익스페디션의 스톡턴 러시 최고경영자(CEO)와 영국 국적의 억만장자 해미쉬 하딩, 파키스탄계 재벌 샤자다 다우드와 그의 아들 술레만, 프랑스의 해양 전문가 폴 앙리 나졸레가 타고 있었습니다. 미스터비스트는 유튜브을 통해 가장 수익을 많이 올리는(2021년 기준 5,400만 달러, 703억 원) 크리에이터로도 유명합니다. 한국에서는 2021년 넷플릭스 ‘오징어게임(Squid Game)’을 실제 게임으로 만들어 총상금 44만 6,000달러를 지급하면서 잘 알려졌습니다.
Hajin Han 2023.06.26 05:32 PDT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가 대주주라는 이유로 미국에서 퇴출 압력을 받아오던 동영상 소셜 미디어 서비스 틱톡이 미국 몬태나주(Montana)에서 틱톡 이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서명됐다. 이 법이 최종 통과된다면 내년(2024년) 1월부터 몬타나에서는 틱톡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몬태나 주지사 그레그 지안포르테(Greg Gianforte)은 2023년 5월 17일(수 미국시간)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하며 “중국 공산당이 몬태나 주민 개인 정보와 민감한 정보를 가지고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어떤 주보다 앞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말했다.
Hajin Han 2023.05.18 14:28 PDT
중국 앱이 미국을 꺾고 전 세계 순위권 안에 들었습니다. 중국 앱의 보안 문제로 미국 정부는 중국 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여왔는데요. 그런 역풍에도 중국 앱의 치솟는 인기는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 리서치 기업 센서타워에 따르면 구글과 애플 앱 다운로드 수를 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 95개 국가 및 지역에서 상위 5개 앱을 살펴보면 틱톡(Tiktok)과 같은 중국 앱이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중국앱: 캡컷, 셰인, 테무, 레몬8...빠르게 성장 중 구체적으로 1분기 상위 5개 앱 총 475개 중 156개가 중국 앱이었습니다. 이는 2020년 대비 8% 포인트 증가한 수치입니다. 틱톡은 82개 마켓에서 상위 5위 안에 들며 전체 86%를 기록, 가장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동영상 편집 앱인 캡컷(CapCut)도 48개 시장에서 상위 5위 안에 들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의 51%에 해당합니다. 패스트 패션 업체 셰인(Shein)은 젊은 층 사이 인기를 끌었으며, 특히 유럽과 남미에서 높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스페인과 브라질을 포함한 10개국에서 상위 5위 안에 들었습니다.1분기 미국과 캐나다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앱은 PDD 홀딩스가 2022년 가을에 출시한 중국의 소셜커머스 앱 테무(Temu)입니다. 2021년 가을에 출시된 바이트댄스의 사진 공유 앱 레몬8(Lemon 8)은 일본과 미국에서 인기가 높습니다.국가별로 따져볼까요? 미국에서 중국 앱은 1위, 2위, 3위, 5위를 차지했습니다. 중국 앱은 약 90%의 국가 및 지역에서 상위 5위 안에 들었지만, 인도와 일본을 포함한 10개 국가에서는 상위권에 들지 못했습니다.토시히코 오카노(Toshihiko Okano) NTT 데이터 경영 컨설팅 연구소 디렉터는 "중국 시장에서 사용자 관점을 염두에 둔 새로운 기술과 혁신이 필수적"이라며 "국내에서 성공하는 기업은 해외에서도 발전하고 있으며 경쟁력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중국 앱은 혁신적인 기술력에 대한 세계적인 인정을 받았지만, 여전히 보안 문제는 이슈입니다. 오사와 준(Jun Osawa) 나카소네 평화연구소의 수석 연구원은 "전 세계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중국 정부의 손에 들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하며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를 보였습니다.
Juna Moon 2023.05.15 06:32 PDT
메타 플랫폼,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지난 몇 달 동안 수천 명의 직원을 해소하면서 비용 줄이기에 나섰는데요. 오히려 비용이 늘어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인공지능(AI) 분야입니다. 지난해 생성AI 등장으로 촉발한 AI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다른 분야는 줄여도 인공지능 도구를 구축하고, 상용화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서버나 다른 기술 인프라에 대한 지출을 늘리고 있습니다. 디인포메이션은 지난 1일(현지시간) 빅테크 기업들의 자본지출(CAPEX), 즉 미래의 이윤 창출을 위해 지출한 비용을 조사했는데요. 메타의 1분기 자본 지출은 71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1년 전보다 28%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또 MS의 자본 지출은 1년 전보다 24% 증가한 78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의 자본 지출은 오히려 36% 감소한 63억달러를 기록했는데요. 루스 포랏 최고재무책임자는 "2분기부터 자본지출을 늘릴 것"이라면서 "올해 자본지출이 지난해보다 높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메타 AI부문 자본지출, 알파벳 웃돌아 기업들의 이 같은 지출은 인간이 쓰는 것 같은 글쓰기와 복잡한 이미지와 비디오, 그리고 그리고 컴퓨터 코드를 생성하는 제너레이티브AI 도구를 제품과 서비스에 통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경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격이 비싼 특수칩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 고성능 컴퓨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건데요. 알파벳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몇 년 동안 AI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서버에 자본을 쏟아부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메타를 주목할만한데요. 메타의 1분기 자본지출은 알파벳의 절반도 안 되는 매출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알파벳의 자본지출을 뛰어넘었습니다. 메타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아우르는 메타버스 개발과 광고 도구에 모두 AI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메타의 수잔 리 최고재무책임자는 지난주 실적 발표에서 메타의 자본지출에 대해 설명했는데요. 기존 비즈니스를 지원하기 위한 일반 컴퓨팅 파워와 스토리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콘텐츠를 보여주는 검색 엔진과 같은 회사의 AI투자, 그리고 제너레이티브 AI 추진 등 세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가까운 미래에 제너레이티브AI 부문의 자본지출이 가장 많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요. 생성AI가 빅테크 기업의 사업모델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권순우 2023.05.02 16:21 PDT
더밀크의 프리미엄 경제방송 미국형님 시즌2에서 더밀크닷컴 유료구독자만을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 중심의 라이브 방송과 유튜브 구독자들을 위한 기업분석 방송을 진행합니다. 오는 29일 오후 6시(미 서부시각), 30일 오전 10시(한국시각) 시작하는 미국형님 라이브 방송에서는 데이비드 리 테일러투자자문그룹 최고투자책임자(CIO)가 이번주 거시경제 주요 사건과 은행 위기, 종목별 주시해야 할 가격영역을 분석합니다. 최근 은행의 유동성 위기에 따른 후폭풍이 거세지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강경한 금리 인상 기조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그간 연준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하락을 최우선 목표로 잡고 금리를 인상해왔는데요, 상업용 부동산, 대출 등 요소가 은행 위기와 맞물려 경기침체 가능성이 나오자 연준의 입지가 약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이에 미국형님 데이비드 리 테일러투자자문그룹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은행 위기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에 미칠 영향과 이번에 위기에 처한 퍼스트리퍼블릭은행 주가를 전망할 예정입니다.라이브 방송에서는 미국형님의 종형 포트폴리오에 대한 설명과 함께 직접 구독자 포트폴리오를 컨설팅하는 시간도 마련됩니다. 컨설팅은 사전에 이 링크를 통해 더밀크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한 더밀크닷컴 유료 구독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미국형님 방송은 기업가치를 분석하는 녹화 방송을 통해 주말까지 이어집니다.녹화 방송에서는 이번주 주목할 기업 3곳을 공개합니다. 이와 함께 최근 틱톡 청문회에 반사이익을 얻을 기업 2곳을 예측하고, 최근 떠오르는 자동차 부속 업계를 분석합니다. 미국형님의 톱픽 방송은 오직 더밀크닷컴을 통해서만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형님 라이브 방송을 시작으로 주말까지 이어지는 미국형님 기업분석 방송에도 구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시청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Sejin Kim 2023.03.29 14:35 PDT
2023년 3월 23일(목) 미국 의회 청문회에 출석했던 틱톡(TikTok)의 CEO 쇼우 지 츄(Shou Zi Chew)는 어린이 보호와 중국 공산당과의 연류, 미국인 개인 정보의 중국 유출 등 회사가 받고 있던 의혹을 적극 부인했다. 앱 사용이 금지되거나 퇴출 위기에 놓인 틱톡을 살리기 위해서다. 그러나 쇼우 지 츄 CEO는 청문회 내내 의원들로부터 ‘예 혹은 아니오(yes or no)’ 스타일의 응답을 강요당했다. 의원 중 일부는 츄 CEO의 답변 내용에는 아예 관심이 없어보였다 의원들은 틱톡을 미국인들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서부터 유해 콘텐츠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는 방법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공격했다. 틱톡의 미국 내 사용자(MAU)는 1억 5,0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된다. 공화당 하원의원 얼 르로이 버디 카터(Earl LeRoy "Buddy" Carter)는 “초당적인 의회 청문회에 온 것을 환영한다”며 “(전부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를 포함해 상당수가 중국 공산당이 의도적으로 틱톡을 통해 미국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려는 심리전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원들은 틱톡 CEO에게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정책과 모회사인 바이트댄스(ByteDance)를 통해 중국과의 관계를 실토하라며 밀어붙였다. 그러나 이런 의혹들에 쇼우 지 츄는 강력 부인하며 틱톡을 옹호했다. 때론 설명을 하려고 했지만 의원을 ‘예 아니오로만 답하라’며 그의 말을 끊었다.
Hajin Han 2023.03.27 01:00 PDT
중국 기업이 대주주인 글로벌 1위 동영상 숏 폼 소셜 미디어 틱톡(Tikok)의 CEO가 첫 의회 청문회에서 민주와 공화 양당 모두에게 맹공을 당했다. 중국 공산당과의 연류설과 미국인의 정보를 중국으로 유출한다는 의혹을 거듭 부인했지만 의원들은 틱톡 CEO의 해명을 믿지 않았다. 또 미국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는 ‘기절(Blackout)’ 챌린지 등 틱톡이 청소년에게 유해한 콘텐츠를 유통을 방치하고 있다는 비난도 쏟아졌다.
Hajin Han 2023.03.24 02:23 PDT
생성AI 기술이 빠르게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이젠 음성으로 코드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시대가 왔다고도 할 수 있는데요.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깃허브'에 오픈AI의 챗 기능을 탑재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전했는데요. '코파일럿 X'라고 불리는 이 플랫폼은 프로그래머들이 텍스트나 음성을 활용해 코딩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됐습니다. 코파일럿X는 GPT-4 기술이 탑재된다고 하는데요. 채팅과 음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개발자의 요청을 지원하고, 문서에 대한 질문에 답변할 수 있는 기능이 업그레이드 됐다고 합니다. 또 코드 블록이 의도하는 바에 대해 심층적인 분석과 설명을 제공한다고 하는데요. 단위 테스트를 생성하고 버그에 대한 수정 제안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프로그래머에게 보다 개인화 한 코딩 작업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깃허브 측은 설명했는데요. 개발자의 생산성을 근본적으로 향상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코딩 정확도 보단 속도 개선 초점"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2018년 인수한 깃허브(GitHub)는 오랜 기간 오픈소스 개발의 주요 허브 역할을 해왔는데요. MS는 2021년 이 플랫폼에 오픈AI의 AI모델 '코덱스'를 탑재해 코드 생성AI 서비스인 '깃허브 코파일럿'을 출시했습니다. 깃허브의 데이터를 활용해 코딩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인공지능 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깃허브 측은 "GPT-4를 적용한 코파일럿 X는 완벽한 정확도보다는 속도를 최적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서 "GPT-4 버전을 탑재해 정확도를 더욱 높였다"라고 밝혔습니다. 생성AI를 기존 제품에 적용한 사례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는데요. 최근 MS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발표 이벤트를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MS는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팀즈를 포함한 구독형 서비스 MS 365에 GPT-4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는데요. 챗GPT와 대화하듯 텍스트만으로 각종 문서를 작성하고, 보고서를 만드는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서 MS는 '코파일럿'이라는 이름을 또 사용했는데요. AI가 사람을 지원하는 '부조종사' 역할을 한다는 개념의 '코파일럿'이 하나의 제품 이름을 넘어 AI와 함께 일하는 방식의 대명사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권순우 2023.03.22 22:58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