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프리미엄 리포트 ‘위클리AI브리핑(Weekly AI Briefing)’입니다. 한 주 동안 쏟아지는 AI 뉴스 홍수 속에서 놓치지 않고 꼭 챙겨봐야 할 정보를 선별해 드립니다. 핵심 요약으로 독자분들이 시간을 아낄 수 있도록 돕고 ‘실리콘밸리+실리콘앨리’ 현장에서 취재하는 더밀크만의 인사이트를 추가했습니다. 보다 깊이 있는 내용은 더 알아보기 링크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출발해 볼까요?
박원익 2024.02.26 21:28 PDT
안녕하세요 뷰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오픈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이번주,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한국에 올 예정입니다. 저커버그 CEO의 한국 방문은 지난 2013년 이후 약 10년 만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조주완 LG전자 사장 등과 만남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죠. 왜 지금일까요? 인공지능(AI) 기술 때문입니다. 지금 AI 산업은 '만인 대 만인의 투쟁'의 구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국가 차원에서도 AI칩 생산과 보유가 곧 국력이 되고 있죠. 메타를 비롯해 오픈AI, 소프트뱅크 등 지금 테크, 투자 기업 수장들은 '월드투어' 중입니다. 엔비디아와 협업하는 동시에 이를 벗어나려는 움직임입니다.
Sejin Kim 2024.02.26 10:59 PDT
최근 프로미식축구(NFL) 슈퍼볼 경기에서 화제 중 하나는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였다. 그는 연인 트래비스 켈시의 경기 직관을 위해 4일간 이어진 콘서트가 끝난 직후에도 34시간에 달하는 8900km 거리를 날아가 이목을 끌었다. 이 장면은 인공지능(AI) 업계에서도 펼쳐지고 있다. 메타, 오픈AI, 소프트뱅크 등 지금 테크, 투자 기업 수장들은 월드투어 중이다. 중동, 아시아, 유럽 등을 순방하며 제휴 기업을 찾거나 자금 조달을 시도하고 있다. 생성AI 서비스의 필수 인프라이자, 현재 엔비디아가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AI반도체를 자체 개발하기 위해서다. 지금 AI 산업은 '엔비디아 vs 나머지'의 전쟁이다. 생성AI 서비스의 경쟁력은 엔비디아 AI반도체의 공급부족∙고비용을 잡는 게 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칩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인터페이스카드(NIC, 이더넷) 자체 개발에 나섰고, 인텔은 경쟁사가 분업해 함께 AI반도체를 제작하는 개방형 파운드리 시스템을 제시, ‘적과의 동침’을 선언했다.
Sejin Kim 2024.02.24 13:00 PDT
오픈AI가 만든 문자 기반 영상 생성모델인 소라(Sora)가 연일 화제죠. 소라는 아직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아 세부사항에 대한 궁금증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회사는 현재 위험성을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레드팀'을 운영, 유해성을 사전 검증하는 단계에 있죠. 이때 일부 테스터들이 소라를 테스트한 결과 1분짜리 비디오를 제작하는 데 렌더링 시간이 1시간 이상이 걸린다는 추측이 나왔습니다. 레딧 게시물, 와이어드 등에서는 테스터들은 “소라 연구원들은 비디오를 렌더링(제작)하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얘기하지 않았지만 ‘일단 누르면 며칠 쉬는 것보다는 부리토 먹으러 나가는 것에 가까운 느낌’이라고 강조했다”고 전했죠. 게시물에 따르면 테스트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프롬프트를 입력할 수 없었습니다. 최대 1분 영상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지만 가장 길게 제작한 영상은 17초로 알려져 있죠. 이를 두고 반응은 분분합니다. 17초까지만 생성된 점을 두고 “20초 후에는 많은 환각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부터 “고품질 비디오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현재의 육체 노동량과 비교할 때 90분짜리 영화에 90시간 걸리는 건 합리적”이라는 해석도 나왔습니다. 👉 샘 알트만이 7조달러 원하는 이유가 소라 때문? 샘 알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대규모 자금을 모집하려는 이유로 ‘소라’가 있다는 추측도 나옵니다. 그는 최근 AI칩 제작을 위해 7조달러(약 9000조원)라는 천문학적 금액을 조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현실성이 떨어진다”부터 “AI칩 산업 하나에 이 금액이 필요한 이유가 타당하지 않다”는 비판이 나왔었죠. 이때 이 정도 금액이 필요한 이유로 ‘소라’의 효율성과 확장성 문제가 꼽힙니다. 생성AI 솔루션에서 고품질 결과물을 얻으려면 여러 가지 다른 프롬프트를 사용해 반복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든 텍스트든 비디오든 마찬가지죠. 그러나 프롬프트를 반복할 때마다 방대한 데이터와 계산이 필요합니다. 산출물이 텍스트가 아닌 영상일 경우 대형언어모델(LLM)이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와 계산은 훨씬 더 무거워지죠. 소라는 사업적으로도 많은 비용을 발생시킵니다. 훈련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문제에 사용료를 지불하는 추세죠. 생성한 콘텐츠에 폭력, 포르노 등을 제어해야 하는 등 ‘책임감 있는 AI’ 개발 비용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소라는 벌써 콘텐츠 제작 업계에 파장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픽사가 괴물이 움직일 때 괴물 털의 움직임을 만드는 데 수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오픈AI 소라는 이를 획기적으로 단축합니다. 팀 브룩스 소라 연구과학자는 와이어드에 “3D 기하학이나 일관성에 대해 트레이닝 하지 않았지만 그저 수많은 데이터를 합쳐 만들어냈다”면서 단일 이미지만으로 영상을 생성하는 스토리텔링 능력을 강조했습니다.
Sejin Kim 2024.02.23 08:33 PDT
글로벌 인공지능(AI) 대장주로 불리는 엔비디아(Nvidia)가 시장의 예상을 상회하는 2023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엔비디아는 21일(현지시각) 오후 4시 장 마감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지난해 4분기 매출이 221억달러라고 밝혔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 206억2000만달러를 웃도는 것은 물론, 전년 대비 265% 급증한 수치다.데이터센터 매출은 184억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409%가량 폭증했다. AI 열풍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AI 전용칩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탓이다.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전용칩인 'H100'의 수요가 폭증, 매출이 265% 급증했다고 설명했다.주당 순익은 5.16달러로 LSEG(전 레피니티브) 애널리스트 예상치인 4.64달러를 크게 상회했다. 이 또한 전년 동기보다 769% 폭증한 수치다.올 1분기 매출 전망으로 240억달러라는 공격적인 수치를 제시했다. 시장의 예상치는 221억7000만달러다. 지난 1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모회사 메타는 2024년 말까지 엔비디아의 주력 AI 전용칩인 H100칩 35만개를 탑재한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고 밝히기도 했다.실적발표 직후 엔비디아는 시간외거래에서 6.67%가량 급등했다. 앞서 정규장은 2.85% 하락 마감했었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해에만 3배 이상 올랐고, 올해도 현재까지 40% 이상 급등했다. 이달 들어서는 16일 기준 18%가량 상승했다.최근 구글 모회사 알파벳(1조7800억달러)과 아마존(1조7510억달러) 시총을 뛰어넘으며 주목받았지만, 최근 조정으로 시가총액이 1조6660억달러대로 줄어들며 시가총액 3위에서 6위로 다시 내려앉았다.그러나 장기 전망은 여전히 밝다. 실적 발표에 앞서 엔비디아 목표주가가 상향됐다. UBS는 목표가를 580달러에서 850달러로 올려 잡았다. 스티펠도 목표가를 665달러에서 86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웨드부시증권도 목표가를 기존 600달러에서 800달러로 상향했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가속컴퓨팅과 생성 AI가 전환점(티핑포인트)에 도달했다”면서 “전 세계적으로 기업, 산업, 국가 전반에 걸쳐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Sejin Kim 2024.02.21 14:51 PDT
바야흐로 엔비디아 천하다. 엔비디아는 올해 시가총액 기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회사가 됐다. 13일(현지시각) 아마존을, 하루가 지난 14일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을 추월했다. 엔비디아 시가총액은 1조8000억달러가량으로 스탠더드앤푸어스(S&P) 지수의 약 4%를 차지한다. 1년동안 S&P 지수 22% 상승을 이끌기도 했다. 이에 엔비디아가 상승세를 지속해 애플과 MS와 함께 2조달러클럽에 진입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과연 앞으로도 지속될까? 낙관론자들은 엔비디아의 사업 구조를 애플에 비교한다. 회의론자들은 각종 외부환경을 변수로 든다.
Sejin Kim 2024.02.17 09:09 PDT
애플의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프로’가 출시되자 기업들이 속속 비전프로 전용 앱을 내놓고 있습니다. 15일(현지시각) 틱톡은 비전프로 전용 앱을 발표했습니다. 앱의 인터페이스는 기존 iOS, 안드로이드 앱과 비슷합니다. 다만 비전프로가 스마트폰보다 더 넓은 화면을 제공하는 만큼, 전용 앱에서는 수직 방향 화면 구성과 '좋아요, 댓글, 즐겨찾기, 공유' 버튼 등을 화면 밖으로 이동해 전체 영상을 가리지 않도록 했죠. 모바일 앱에서는 댓글을 클릭하면 동영상 상단에 댓글이 표시되고, 다른 사람의 프로필을 클릭하면 전체 페이지로 이동하는 구조입니다. 비전프로앱에서는 이를 한 번에 볼 수 있죠. 댓글을 스크롤하면서 영상을 볼 수도 있습니다. 틱톡의 경쟁자인 유튜브도 비전프로 전용 앱이 로드맵에 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출시 당시 슬랙, 줌, 마이크로소프트365, 디즈니, 아마존프라임비디오 등 미국 대형 업무생산성, 콘텐츠 기업들이 앱을 장착한 바 있습니다. 👉 비전프로 앱 40% 늘었다애플 비전프로는 출시 후에도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13일 그렉 조스위악 애플 마케팅디렉터는 X(구 트위터)를 통해 비전프로 전용 기본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1000개 이상 제작돼 풀렸다고 전했죠. 출시 당시 600여개에서 40%가량 증가했습니다. 이는 비전프로와 호환되는 기존 iOS 및 아이패드 OS용 앱 150만개는 포함되지 않은 수치입니다.이에 비전프로의 경쟁자로 꼽히는 헤드셋 퀘스트 시리즈를 제작하는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는 질세라 “퀘스트3가 비전프로보다 낫다”는 리뷰영상을 올렸죠. 그러자 마이크 우에틀러(Mike Wuerthele) 애플인사이더 매니징에디터는 X에 “저커버그가 두려워하고 있다”고 평했습니다.애플은 아직 비전 프로의 실제 판매량을 공개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인 스태티스타는 애플이 출시 첫해에 약 35만 대의 비전 프로를 출하하고 2년 차에는 출하량이 150만대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죠. 애플 분석가로 유명한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애플은 출시일에 맞춰 출시일에 맞춰 약 8만대의 재고를 확보했고, 온라인에서는 애플이 출시 근 2주 만에 약 20만대를 판매했다고 추측했습니다.
Sejin Kim 2024.02.15 21:00 PDT
미국 프로미식축구리그(NFL) 결승전인 슈퍼볼(Super Bowl)은 미국인들 최대 스포츠 축제다. 미국 외 세계에서는 월드컵(축구)와 올림픽, 크리켓 및 럭비(영국 등 커먼웰스 국가) 등이 인기 스포츠이지만 미국에서는 야구, 농구보다 '미식축구'가 국기로 꼽힌다. 슈퍼볼이 미국에서 최고 인기 스포츠가 된 이유는 '프론티어 정신'을 좋아하는 미국인의 특성에 맞고 4쿼터제, 최첨단 광고, 하프타임쇼 등 미디어에 친화적인 시스템이 인기에 불을 지폈다는 분석이 정설로 꼽힌다. 올해(2024년) 슈퍼볼은 무려 1억 2340만 명의 시청자 수를 기록하며 역대 슈퍼볼 최고 시청 기록을 경신했다. 종전 최고 기록인 지난해 시청자 수 1억 1,510만 명보다 약 7% 증가했다. 역대 최다 시청자 기록으로 알려진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중계방송 이래 최고치였다. 올해 슈퍼볼 시청자 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은 경기가 연장전으로 이어지면서 극적인 역전승으로 끝난 것과, 치프스 소속 트래비스 켈시 선수와 테일러 스위프트의 러브스토리가 가미됐기 때문이었다. 최고 인기 스포츠에 '미스 아메리카'인 테일러 스위프트의 극적 등장, 그리고 승리 후 '입맞춤'까지 이어지며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콘서트보다 더 콘서트 같은 장면을 연출 해냈다. 스위프트는 10일 저녁 일본 도쿄에서 콘서트를 연 후 17시간 시차를 이용해 슈퍼볼 킥오프 수 분 전 미국 라스베가스 경기장에 도착했다. 테일러 스위프트를 비롯해 래퍼 아이스 스파이스(Ice Spice), 가수 라나 델 레이(Lana Del Rey), 배우 블레이크 라이블리(Blake Lively) 등이 참석했다.
Sejin Kim 2024.02.13 06:22 PDT
12일(현지시각) UAE두바이에서 열린 세계 정부 정상회의(World Governments Summit) 무대에 오른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은 프로그래머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일상 언어를 이용해 프로그램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 밝혔다. WGS 행사에서 오마르 빈 술탄 알로라마(Omar Sultan Al Olama) UAE AI·디지털경제부 장관과 ‘AI미래, 누가 생성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대담을 나누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다. 엔비디아의 연례행사 GTC를 약 6주 남겨 둔 상황에서 공개석상에 모습을 보인 젠슨 황 CEO였기에 이목이 집중되기도 했다. 최근 AI기술의 주목을 받으며, 엔비디아와 주력 GPU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그의 행보였기에 발언에 관심이 집중됐다. 그는 대담에서 AI발 산업혁명은 모든 산업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AI주권을 위한 소버린(Soveriegn) AI의 중요성, 기술 리더십의 재편 등의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기도 했다.
Youngwon Kim 2024.02.13 00:04 PDT
샘 알트만 오픈AI CEO가 이끄는 ‘AI 반도체 프로젝트’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현재 이 프로젝트가 조달을 추진 중인 투자 유치금 규모가 한화로 무려 '1경원'에 가까운 7조달러(약 93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AI 모델을 구동하기 위한 인프라로서 AI 반도체가 중요한 건 맞지만, 거론되는 투자금 규모가 천문학적이어서 충격적이라는 반응이다. 7조달러는 골드만삭스가 향후 10년 동안 AI 발전으로 전 세계가 벌어들일 것으로 예측한 돈(GDP 증가분)과 같은 금액이다. 미국 연방정부가 발표한 2024 회계연도(FY2024, 2023년 10월1일~2024년 9월30일) 예산 규모(6조9000억달러) 보다도 큰 액수다. 대한민국 예산(2023년 기준)과 비교하면 15배에 달한다. 대범하다 못해 '현실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박원익 2024.02.10 18:31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