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2024년, 인공지능(AI) 기술은 어디에서 왔고 방향으로 가고 있을까? 지난 2022년에는 생성AI가 대중에게 강력하게 인식됐고, 2023년은 비즈니스 세계에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2024년은 연구자들과 기업이 이 기술의 진화를 일상 생활에 가장 실질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면서 AI의 미래를 위해 나아가는 중추적인 해가 될 것이다.IBM 리서치에 따르면 생성 AI의 진화는 극적으로 빨라지긴 했지만, 컴퓨터 진화와 유사한 양상이다. 중앙에서 운영되는 소수의 대규모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기업과 연구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더 작고 효율적인 컴퓨터로 대체됐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점진적인 발전을 통해 취미로도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컴퓨터가 탄생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코드가 필요 없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춘 강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편화 됐다. 생성 AI는 더 작은 패키지로 더 큰 성능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발전하고 있다. 2023년에는 Meta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 제품군인 라마 출시를 시작으로 스테이블LM(StableLM), 펠콘(Falcon), 미스트랄(Mistral), 라마2(Llama 2) 등 오픈 라이선스를 통해 더 효율적인 기반 모델(foundation model)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스탠포드 인간 중심 인공지능 연구소(HAI)에서 발간한 AI 보고서, <2024 AI 인덱스 리포트>에서는 이러한 AI 트렌드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제공하고, 책임 있는 인공지능에 대한 장과 과학 및 의학 분야의 인공지능에 대한 새로운 장을 추가했다. R&D, 기술 성과, 경제, 교육, 정책 및 거버넌스, 다양성 및 여론에 대한 일반적인 요약도 포함됐다. 이 리포트는 500페이지나 된다. 핵심을 추려 AI 트렌드 중 의미있는 시그널이 될만한 데이터 7가지를 꼽아봤다.
한연선 2024.05.05 07:25 PDT
애플(AAPL)이 올해 내내 부진했던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승부수를 띄우면서 실적발표 직후 주가가 7% 이상 급등했다. 애플의 실적은 예상대로 부진한 부분이 있었으나 월가의 예상보다는 나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사상 최대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배당주 인상을 발표하면서 투자자들의 환호를 자아냈다. 특히 그동안 아킬레스건으로 평가받던 'AI 전략 부재'를 탈피할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기대를 샀다. 애플은 3월 30일(현지시각) 마감된 1분기 주당순이익(EPS) 1.53달러로 월가 추정치였던 1.50달러를 소폭 상회했다. 매출 역시 907억 5000만 달러를 기록, 추정치였던 900억 1000만 달러에 부합했다. 관심을 모았던 아이폰 매출은 459억 6000만 달러로 월가 추정치 460억 달러에 거의 일치했으며 전년 대비 10% 감소했다. 애플의 중화권 매출은 8% 감소한 163억 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는 월가 예상치였던 152억 달러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로 화웨이와 같은 현지 업체와의 경쟁으로 시장 점유율을 빼앗길 수 있다는 투자자들의 우려는 다소 줄었다는 분석이다. 최근 3500달러의 가격으로 출시한 애플의 신제품인 비전프로 헤드셋은 애플의 다른 제품에 비해 소량의 제품만 판매된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애플의 신 성장동력 중 하나로 인식되는 서비스는 여전히 긍정적이었다. 서비스 매출은 1분기 동안에만 전년 대비 14.2%가 증가한 239억 달러를 기록했고 유료 구독자는 10억 명이 넘는다고 밝혔다.
크리스 정 2024.05.03 06:15 PDT
뉴욕증시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회의 결과를 기다리는 가운데 예상보다 높은 민간 고용 데이터에 금리인하 기대가 악화되며 약세로 출발했다. 미 최대 페이롤 기업인 ADP에 따르면 4월 민간 부문의 신규고용은 19만 2천으로 전월의 상향 조정된 20만 8천에서 소폭 하락했으나 월가 추정치였던 17만 9천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의 노동시장이 여전히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시그널에 연준의 올해 금리인하 가능성은 더 옅어졌다. 연준의 정책금리에 민감한 2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 소식에 반응하며 이틀 연속 5%를 돌파,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가 큰 불확실성에 놓였음을 시사했다. 한편 월가는 연준이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의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데이터로 단기간 내 금리인하 계획이 없음을 명확히 할 것으로 관측된다. 옵션 시장은 연준의 결정을 앞두고 긴장감을 드러냈다. 시장은 옵션 전략으로 알려진 등가격 스트래들(at-the-money straddle)을 통해 S&P500이 연준의 정책 발표 후, 0.95% 수준의 등락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의 우려가 계속되는 가운데 월가는 '5월에 팔고 떠나라'는 오랜 격언이 이번에는 작동할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5월부터 10월까지는 주식을 보유하기에 최악의 시기였으나 최근 10년 동안 S&P500은 8년간 평균 수익률 약 4%에 달하는 수익률을 기록한바 있다.
크리스 정 2024.05.01 13:37 PDT
실리콘밸리는 요즘 어떤 산업에 열광하고 있을까? 생성AI 열풍에 이어 올해는 관련 응용 산업에 뜨거운 관심이 몰리고 있다. AI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피카(Pika.art)는 창업 7개월만인 2023년 12월, 5500만 달러(716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 회사는 스탠퍼드 컴퓨터공학 박사과정을 중퇴한 데미 구오와 첸린 멩이 창업한 회사다. 창업 이후 약 50만 명의 사람들이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했으며, 현재 매주 수백만 개의 새로운 동영상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폭발적인 관심에 실리콘밸리 투자자들은 열광했다. 첫 두 번의 펀딩은 전 깃허브 CEO 넷 프리드먼(Nat Friedman)이 주도했다. 35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A를 투자한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 피카의 기업 가치를 2억 달러에서 3억 달러 사이로 평가했다.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의 마이클 미냐노는 피카에 대해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팀’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피카를 설립한 데미 구오는 어떤 인물일까?
한연선 2024.04.30 08:28 PDT
18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에서 열린 '신재생 에너지' 세미나에서, 더밀크와 애틀랜타 총영사관, 그리고 한미동남부 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개최한 세미나에서 프란시스코 발레 조지아파워 전력수요 예측 디렉터는 전력 수요 급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신재생 에너지 기업들의 미국 진출 러시는 아이러니하게도 '에너지' 측면에서 위기로 작용하고 있다. 전력 수요가 급격하게 늘면서 충분한 전력 공급 능력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발레 디렉터에 따르면 2021년 이전까지 조지아파워가 공급한 전력은 평균 100 메가와트(MW) 수준이었다. 그는 "예측 가능하고 매우 안정적인 추세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2021년에는 336메가와트로 수요가 늘어났고, 2022년 7월에는 2197 메가와트로 급증했다. 2020년 대비 22배나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이러한 상황은 단순히 조지아주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발레 디렉터는 "전국적으로 전력 수요가 많은 제조기업들이 미국으로 대거 진출하면서 전력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발레 디렉터는 조지아주가 '에너지 부족에 따른 위기를 겪을 것으로 보이는가'라는 질문에 "그럴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최근 2년 간 주의 전력 수요 급증은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수치"라며 "당국으로부터 3300메가와트를 전력 공급 능력을 확대하는 계획안에 승인을 받으면서 늘어난 수요에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순우 2024.04.28 14:00 PDT
‘우리 회사에 생성 AI 기술을 어떻게 도입하면 좋을까’업무 생산성 제고, 비용 절감, 매출 증대는 모든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 중 하나다. 실리콘밸리 기술·산업 전문가들은 생성 AI 기술 도입 및 활용이 경영 목표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조언한다. 그중에서도 기업용 ‘AI 에이전트(agent, 비서)’는 가장 손쉽게 도입할 수 있는 AI 기술, 도구 중 하나다. 간단한 업무를 AI에 맡겨 생산성을 높이거나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브라이언 홀 구글 클라우드 제품 마케팅 담당 부사장은 “AI의 가장 큰 기회는 기업(enterprise)에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구글은 이와 관련, 자체 AI 모델 ‘제미나이’ 기반으로 작동하는 6가지 유형의 AI 에이전트를 소개, 기업의 AI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구체적 방향을 제시했다. 6가지 유형에 걸친 총 101개 기업의 AI 에이전트 도입 사례를 중 일부를 소개한다. 우리 회사에는 어떻게 AI를 적용하면 좋을지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박원익 2024.04.27 01:04 PDT
인공지능(AI) 기술 혁신에 대한 기대로 대대적인 투자가 계속되고 기술주의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는 반면 애플(AAPL)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애플의 주가는 고점에서 약 14%가 넘게 하락했다. 이는 올해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엔비디아 등 경쟁자들과 비교하면 심각한 부진이라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중국 기업인 바이두와 AI 기술 협력 논의를 하고 있다는 보도에도 부진이 계속되고 있어 애플이 AI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라는 해석이다. 애플은 지난해 대부분의 기간 동안 소위 '매그니피센트 7'의 대장주로 기술주 상승을 주도했으나 올해에는 AI와 관련된 부정적인 전망과 아이폰의 판매 약화, 그리고 새로운 반독점 금지 소송이 투자자들의 우려를 사며 주가 하락세를 이끌었다. 그렇다면 월가 투자은행의 반응은 어떨까?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애널리스트는 애플의 현재 상황을 "AI가 애플 성장 스토리의 또 다른 장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평가하며 애플의 기술적 진보와 시장 적응력이 곧 빛을 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벤 라이츠즈, 멜리우스 리서치의 분석가도 애플의 AI 전략에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그는 "향후 아이폰이 AI 기반의 음성 명령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그는 애플이 자체 AI 앱을 통해 업그레이드 된 시리(Siri)와 다른 앱들과의 통합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하며 이 같은 변화가 2025년부터 새로운 아이폰의 슈퍼사이클을 촉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물론 최근 중국에서의 아이폰 판매 둔화를 지적한 IB도 있었다. 데이비드 보그, UBS 애널리스트는 "최근 몇 달간 화웨이의 점유율 상승과 중국 시장의 둔화를 고려할 때, 애플의 성과가 기대에 못 미칠 수 있다."며 애플에 '중립'의견을 제시했다.
크리스 정 2024.04.26 14:24 PDT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19일 IT 전문 팟캐스트 채널 ‘드와르케시’에 출연해 “라마3 405B를 현재 훈련하고 있다. 훈련 단계에서 이미 MMLU(대규모 다중작업 언어 이해) 85%를 기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라마3 405B는 AI 모델의 규모를 비교하는 기준 중 하나인 매개변수(parameters)가 4050억 개인 모델이다. 메타는 전날 차세대 개방형 AI 모델인 라마3 모델 중 매개변수 80억 개(8B) 버전, 700억 개(70B) 버전 두 가지를 먼저 공개했다. AI 업계에서는 “메타 라마가 AI 모델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강력한 성능의 개방형 AI 모델인 라마3가 AI 기술 및 산업 트렌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3가지 시사점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박원익 2024.04.19 15:43 PDT
'라 프렌치 테크(La French Tech)'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조금 낯설게 들리는 분들도 벼슬을 곧게 세운 '붉은 수탉'은 한번쯤 보신적 있으실 텐데요. 라 프렌치 테크는 지금의 프랑스를 있게 한 정부 주도 스타트업 정책, 생태계, 투자자 모두를 통칭하는 말입니다. 이제는 붉은 수탉과 함께 각인된 글로벌 브랜드로 스타트업 불모지였던 프랑스를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스타트업 생태계로 끌어올린 주역입니다. 매년 미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에서도 '라 프렌치 테크'는 유레카파크의 주인공 역할을 하고 있죠. 프랑스는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이며,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과학기술 강국입니다.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또 에꼴 폴리테크니크와 같은 세계적 수준의 대학교에서 우수한 엔지니어들과 석학들을 배출하고 있었는데요. 그럼에도 글로벌 스타트업 혁신 생태계를 구축한 미국, 영국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10년전, 현 마크롱 대통령과 중소기업 혁신 및 디지털 경제부 장관이었던 플뢰르 펠르랭을 중심으로 프랑스 정부는 두팔을 걷고 나섭니다. 정부가 지원하지만 지배하지 않고 스타트업 산업과 핵심 플레이어를 위한 우산 역할이 되어주는 디지털 경제 성장 전략인 라 프렌치 테크가 시작됩니다. 지금 프랑스는 유럽 최고의 기술 허브 중 하나이자, 유럽의 주요 스타트업 생태계 중 유일하게 매년 더 많은 투자금을 모으고 있는 나라가 됐습니다. 특히 '유럽의 실리콘밸리'라 불리는 파리의 스타트업들은 프랑스의 중요한 경제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했는데요. 올 7월 열리는 '파리 올림픽'이 정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변화는 프랑스 젊은이들의 창업에 대한 열망으로 이어졌습니다. 18세부터 29세까지 프랑스 젊은층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60% 정도가 창업을 하고 싶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프랑스는 특히 AI 거인이 되겠다는 야심찬 로드맵을 가지고 있는데요. 프랑스는 미래의 AI 리더를 양성하는데 적합한 교육 생태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미 AI 업계에는 프랑스 출신의 구루들이 많은데요. 메타AI를 이끌고 있는 2019 튜링상 수상자 얀 르 쿤, 애플 시리의 창립자 중 한 명인 루크 줄리아 등이 있습니다. 수년간 씨앗을 뿌리고 정성스레 가꾼 프랑스의 노력이 이제 결실을 맺고 있는 것 같은데요. 최근 ‘프랑스의 기회’가 될지도 모를 엄청난 생성AI 스타트업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유럽판 오픈AI라 불리는 미스트랄AI입니다. 프랑스 인재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뒤지지 않는 기술력을 갖춰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AI를 둘러싸고 전 세계에서 각축전이 벌어진 지금, 프랑스는 글로벌 AI 강국으로 도약하려 합니다. 한국에도 큰 시사점을 주고 있습니다. <CEO 포커스> 20호에서는 1️⃣ 거대 언어 모델의 진화... 단계별 선택 전략2️⃣ 유럽의 샘 알트만, 아서 멘쉬 미스트랄AI CEO3️⃣ 설립 반년 만에 유니콘, 프랑스 AI의 자존심 미스트랄AI를 소개합니다.
김기림 2024.04.16 21:17 PDT
올해 31세인 미스트랄AI 공동 창업자 아서 멘쉬(Arthur Mensch) CEO가 파리의 기술 허브에 연설을 하기 위해 올랐을 때 영국의 투자자 매트 클리퍼드는 "당신은 프랑스 AI의 포스터 차일드(Poster Child, 상징성을 가진 인물)가 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봄, 아서 멘쉬 CEO는 구글에서 일하는 연구원이었고 생성AI는 이제 막 세상에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었다. 1년 후인 2024년 생성AI는 IT 업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술'이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미스트랄AI는 기업가치 2조9000억원에 달하는 유니콘이 됐다. 2023년 5월 탄생한 미스트랄AI는 메타, 구글 출신 엔지니어들이 프랑스에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10개월 만에 약 5억 유로(약 7000억 원)의 투자금을 모았고,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와도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주목받고 있다. 프랑스의 간판 스타트업이 된 미스트랄AI는 최근 강력한 오픈 소스 대형 언어 모델(LLM) '믹스트랄 8x22B(Mixtral 8x22B)'를 공개했다. 메타의 '라마 2'와 오픈AI의 'GPT-3.5' 수준의 성능을 가졌다는 바로 전 모델 '믹스트랄 8x7B'을 능가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출시는 경쟁 업체들이 최신 모델을 공개한 바로 다음날 이뤄졌다. 오픈AI는 비전 기능을 탑재한 'GPT-4 터보 비전(GPT-4 Turbo Vision)'을 공개했고, 구글은 '제미나이 1.5 프로' 출시를 알렸다. 해당 모델을 공개하며 미스트랄AI는 메타, 오픈AI 등과 본격적인 경쟁에 나섰다. 미스트랄AI의 뒤엔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천재'라 추켜세우는 아서 멘쉬 CEO가 있다. AI업계에 '프랑스'를 제대로 각인시킨 아서 멘쉬 CEO에 대해 알아보자.
김기림 2024.04.16 08:13 PDT
메타가 차세대 AI 칩 ‘MTIA(Meta Training and Inference Accelerator, 메타 학습 및 추론 가속기)’ 최신 버전을 공개했다. 전날 구글과 인텔이 각각 새로운 AI 반도체를 공개한 가운데, 빅테크와 반도체 업체 간의 칩 개발 경쟁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메타는 10일(현지시각) 회사 블로그를 통해 AI 작업용으로 설계된 맞춤형 차세대 MTIA 칩의 사진과 자세한 제원을 공개했다. 2023년 5월 1세대 제품인 MTIA v1을 공개한 지 1년여 만의 신제품이다. 메타에 따르면 새로운 MTIA 칩은 전 세대 제품 대비 컴퓨팅 및 메모리 대역폭이 두 배 이상 커졌다. 메타가 개발한 고품질의 추천 광고 및 순위 모델을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내부 테스트 결과 차세대 MTIA는 1세대 모델 대비 4개 AI 모델에서 3배 나은 성능을 기록했다. 메모리 반도체로는 디램(DRAM)을 수직으로 여러 개 쌓은 HBM(고대역폭 메모리)가 아닌 SRAM이 사용됐으며 전 세대 칩 대비 SRAM 용량이 두 배로 늘었다. SRAM과 함께 LPDDR5 디램 용량도 두 배로 확장한 칩이다. TSMC의 7나노(10억분의 1미터, 반도체 회로 선폭을 지칭) 공정으로 생산됐으며 최대 72개의 가속기를 담을 수 있는 대형 랙(rack) 기반 시스템도 함께 개발했다. 여러 개의 가속기를 하나의 가속기처럼 묶어 더 강력한 연산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설계다. 메타 관계자는 “MTIA는 AI 인프라에 대한 메타의 투자 확대의 일환”이라며 “미래 AI 인프라를 보완해 서비스 전반에 걸쳐 새롭고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박원익 2024.04.10 17:17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