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최고의 기업만 선별해서 간단하게 쉽고 필요한 투자정보를 알려드리는 알파브리핑입니다. 여러분 텐베거 주식이라는 말 아시죠? 월가의 거장 피터 린치가 사용한 용어입니다. 텐베거란 주가 수익이 10배가 되는 주식을 의미하는 건데요. 텐베거가 되려면 주가가 약 900%가 올라야 합니다. 그런데 2000년부터 올해까지 무려 13만 퍼센트가 오른 기업이 있습니다. 엔비디아냐고요? 아닙니다. 2000년부터 가장 많이 상승한 괴물같은 기업은 바로 괴물 그 자체 몬스터입니다.
크리스 정 2023.07.28 16:00 PDT
AI 버블의 시대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좀 편차가 있습니다. 나스닥이 올해 28% 정도 폭등하는 사이 S&P500은 8% 올랐고요. 다우지수는 단 1% 정도만 올랐습니다. 나스닥 안에서도 그 격차는 심합니다. Ai 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는 빅테크 7의 주가는 올해 평균 61%가 오르면서 대부분의 상승분을 혼자 먹었습니다. 물론 여기에도 메타나 엔비디아 같은 기업은 100%가 넘게 올랐고요. C3.ai 같은 AI 관련기업은 120% 정도 올랐어요. 완벽하게 그들만의 버블인 거죠.
크리스 정 2023.05.20 13:50 PDT
한국 투자자가 가장 좋아하는 미국 기업 1순위는 바로 테슬라입니다. 고점에서 62%나 하락하면서 역대 최대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지금도 테슬라에 대한 한국인들의 사랑은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최근 한 달 동안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매수 결제한 미국 주식 1위는 여전히 테슬라입니다. 개별주식으로 2위인 애플과는 매수 결제규모가 거의 4배가 넘게 차이가 날 정도입니다. 무엇이 이렇게 테슬라에 열광적이게 하는걸까요?
크리스 정 2022.12.18 20:16 PDT
한 해가 마무리 되고 있습니다. 2022년은 역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한 해가 기록될 것입니다. 전쟁이나 에너지 위기같은 부분을 제외해도 시장이 펀더멘탈적으로 아주 큰 전환을 한 지점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40년만에 기록적인 수준으로 오른 인플레이션은 반대 급부로 금리를 그만큼 충격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게 했습니다. 연준과 각 국 중앙은행을 그만큼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렸고 금융환경은 또 그만큼 악화됐습니다. 2022년이 쇼크의 발단을 맡았다면 2023년은 그 충격이 표출되는 시기가 될 것이란 전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크리스 정 2022.12.12 16:15 PDT
연말이 되면서 투자은행들도 내년 전망에 대한 리포트를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은행이자 월가의 큰형님같은 IB 골드만삭스의 2023년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먼저 매크로 환경은 어떻게 변할까요? 올해 시장을 이끈 최대 요인을 보면 결국 매크로 환경이었죠. 아무리 기업들의 수익이 좋았어도 금리와 인플레이션같은 매크로 환경은 주가를 끌어내린 원동력이 됐습니다. 그만큼 내년도 매크로 환경이 주식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하는기본 펀더멘탈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크리스 정 2022.12.11 16:38 PDT
다우지수가 폭풍 질주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 내내 금융시장을 압박했던 높은 금리와 강달러, 그리고 매크로 환경을 생각하면 가치주가 전면 포진한 다우지수의 상승세는 어느정도 이해가 되는데요. WSJ에 따르면 올해 다우지수와 나스닥 그리고 S&P500의 격차가 무려 89년만에 가장 큰 격차를 보이며 3대 지수를 압도했다고 합니다. 거의 100년만에 나타난 다우지수의 부활입니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하는 것은 이런 기조가 최소한 내년까지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기술 성장주가 시장을 압도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환경은 저물가에 저금리가 유지되는 골디락스 환경인데요. 내년은 이런 환경이 나타나기가 상당히 어렵죠.
크리스 정 2022.12.05 21:30 PDT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금리인상 기조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언하면서 연준의 정책이 긴축에서 드디어 완화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걸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죠.시장의 기대는 너무 앞서갔죠. 사실 연준이 보여준건 7대를 때리던걸 이번달에는 5대만 때려줄께라는건데 시장은 당장 내년 연준이 금리인하라는 사탕도 줄꺼야라고 기대하고 있죠. 하지만 이런 모습이 드물지는 않습니다. 주식시장은 언제나 상황을 앞서가기 때문입니다.
크리스 정 2022.12.04 17:43 PDT
살다보면 길이 안보일 때가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지도도 잘 모르겠고 살면서 느끼는건 참 내 맘대로 되는게 정말 하나도 없다는거죠. 투자도 그렇습니다. 꼭 내가 사면 내리고 안되겠다 싶어 팔면 오릅니다. 그래서 가끔은 이미 성공한 사람들을 벤치마크하는것도 좋을때가 있습니다. 대가들은 지금같은 혼란스러운 장에서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그래서 오늘은 대가들이 지난 분기 어떤 투자를 했는지를 살펴보는 13F 보고서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리스 정 2022.11.20 15:57 PDT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정책 전환 메시지를 기다리던 투자자들은 크게 한 방 먹은 느낌입니다. 분명 연준은 정책전환에 대한 신호를 분명하게 줬습니다. 하지만 출구전략의 문을 보여준 제롬 파월 의장은 그 문을 열어주지는 않았습니다.수요일 FOMC 회의가 끝나고 시장은 환호했습니다. 연준이 성명을 통해 “이후 금리를 결정할 때는 누적된 긴축 통화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시간차를 감안하겠다.”면서 상황을 두고보겠다는 정책전환 시그널을 던졌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 환호는 불과 30분을 가지 못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이 엄청나게 매파적인 메시지를 기자회견 내내 쏟아냈기 때문이죠.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내리고 있다는 증거를 보지 못했다면서 심각한 경기침체를 감당하더라도 물가는 꼭 잡고 말겠다는 의지를 천명했습니다. 이제 월가의 포커스는 "연준의 최종금리가 어디까지 향하고 채권금리는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입니다.
크리스 정 2022.11.07 15:18 PDT
금리 상승세가 다시 매서워지고 있습니다. 연준의 정책을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이제 4.6%를 넘었습니다. 2008년 이후 최고치입니다. 사실상 5%를 향해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금리 시그널에 주식시장은 다시 위축되는 모습입니다. 예상보다 나은 3분기 실적이 저가 매수세를 자극하고 있지만 상황이 쉽지는 않습니다. 역사적인 과매도세에 몰린 저가 매수, 긍정적인 기업 실적, 모두 좋지만 문제는 결국 금리입니다. 높은 금리는 미래 수익에 대한 부담이 됩니다. 결국 주가는 가만히 있어도 밸류에이션은 반대로 높아지는 매직을 선보입니다. 주식은 위가 아닌 아래를 향할 수 밖에 없습니다. 너무 강력한 고용도 부담입니다. 오늘 발표된 신규 실업수당 청구는 다시 하락하며 경기침체와는 거리가 있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모두가 경기침체를 외치고 있지만 정작 기업들은 해고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강력한 고용시장은 소비를 자극하고 물가를 자극합니다. 인플레이션 우려는 커지고 그만큼 연준의 긴축에 대한 두려움도 커집니다. 여전히 시장은 안갯속에 있습니다. 시장이 안정을 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금리의 하락이 절실해 보입니다.그만큼 투자자들의 관심은 금리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크리스 정 2022.10.23 13:57 PDT